• 제목/요약/키워드: 전통 미의식

검색결과 63건 처리시간 0.038초

전통 화(靴)에 나타난 미적 특성 및 미의식 (Aesthetic Features & Awareness Observed in Traditional Boots)

  • 이재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46-57
    • /
    • 2018
  • 패션은 한 시대와 지역의 일상적이고 보편적인 미의식을 표현하는 문화 요소로서, 신발 역시 우리나라만의 미의식을 반영하는 패션의 하나라는 관점에서 전통 화(靴)에 나타난 미적 특성을 통해 그 안에 내포되어 있는 미의식을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미적 특성은 형식적인 면에서 곡선과 직선, 단순한 형태, 대비되는 색상과 소재 등 각 요소들의 균형 있는 사용이, 내용적인 면에서 신분과 지위의 상징으로서의 활용과 사상적 의미 부여가 특징적으로 나타났다. 미의식은 첫째, 곡선과 직선의 절충(折衷)으로 한 가지 요소에 치우침이 없이 서로의 특징을 수용하여 균형을 이루는 중용(中庸)의 미를 추구했다는 점이다. 둘째, 무심(無心)과 기교(技巧)의 조화(調和)로 형태와 색상, 소재에 대한 표현을 적절히 조절하여 비움과 채움을 자연스럽게 나타냈다는 점이다. 셋째, 정신과 물질의 합일(合一)로서 전통 화가 신분과 지위를 나타내는 표식으로 활용되었으나 물질에 정신적인 의미를 부여함으로써 기운생동(氣韻生動)의 가치를 추구했다는 점이다.

한국전통문양을 응용한 니트 드레스 디자인 연구

  • 이윤미;박재옥;이연희
    • 복식문화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복식문화학회 2003년도 정기총회 및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81-81
    • /
    • 2003
  • 전통문양은 우리 민족의 집단적인 가치 감정이 표현된 미술로서, 우리 고유의 민족성과 생활양식에 의해 발전되어왔다. 그 중 떡살문양과 창살문양은 조형성과 예술성이 뛰어난 전형적인 전통 문양이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전통 떡살문양과 창살문양을 현대적 미의식에 맞도록 재구성하여 니트디자인에 응용하고자 하였다. 이는 다양한 니트의 표현기법으로 전통미를 살린 실용적인 복식디자인 개발을 하여 우리 것에 대한 아름다움과 가치를 널리 알리는데 그 목적이 있다. (중략)

  • PDF

한국춤의 미적범주, 맛과 멋 (Aesthetic Category in Korean Traditional Dance, Mat & Meot)

  • 고경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175-187
    • /
    • 2012
  • 본 연구자는 먼저 한국학에 있어서 미의 개념 및 미의식을 살펴보면서 한국춤의 미적체험 속에서 맛과 멋으로 표현되는 미적 의미와 가치를 조망하고, 어떻게 구현되는지를 탐색해 보고자 한다. 먼저 한국춤의 움직임의 원리를 분석하고, 일반화된 미의식이외에 곡선의 원리에 의한 '무한대의 생명론적 미의식'이 맛과 멋의 미의식으로 승화되었다고 보았다. 한국춤의 생명성은 바로 원을 지향하는 곡선에서 가장 극명하게 드러나며, 맛과 멋의 미의식을 가장 크게 느끼게 해주는 움직임의 원리이다. 그러나 한국춤의 움직임이 현대로 오면서 서구의 영향에 의해 점차 직선적인 움직임 기법을 자주 사용하면서 곡선적인 움직임이 사라져가고 맛과 멋에 대한 미적 감성조차 느끼기 힘들어졌다. 따라서 한국춤의 독자적이고 고유한 맛과 멋의 미의식을 지켜나가기 위해서는 한국춤의 전통적인 움직임의 원리인 곡선춤을 지켜나가야 할 것이며 심(心)과 신(身)이 공유할 수 있도록 무용가들의 지속적인 노력과 방안이 필요하다. 나아가 한국춤의 맛과 멋의 미의식에 대한 연구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종묘제례악 사상과 선율의 미의식 연구 (Aesthetics melodic thought research Jongmyojeryeak)

  • 김현호
    • 동양고전연구
    • /
    • 제43호
    • /
    • pp.183-207
    • /
    • 2011
  • 본 연구는 현재 이루어진 종묘제례악의 미의식과 다른 관점에서 여러 사상을 배경으로 완성된 종묘제례악의 피리 선율을 중심으로 미적 요소를 찾아보고 그에 따른 미의식을 살펴보았다. 종묘제례악은 조선시대 역대 왕과 왕비의 신위를 모신 곳에 제사를 지내는 것으로, 유교제사 의례의 결정체이자 제례문화의 대표적 문화유산으로 1964년 국가중요무형문화재(國歌重要無形文化財) 제 1호로 지정되었다. 또 2001년 5월 18일에는 유네스코(UNESCO)지정 '인류구전 및 무형유산걸작'으로 한국에서는 가장 먼저 등재되어 그 우수성을 인정받았다. 오랜 기간 조선왕조와 명운을 같이한 제례문화의 대표적인 문화유산일 뿐만 아니라, 우리조상들에 의해 창조된 악 가 무에 따른 총체적 예술형태의 아름다움을 집대성한 우리음악의 정수(精髓)로 인정받으며 전해지고 있다. 또 유교사상 뿐 아니라, 예악사상을 비롯하여 음양오행사상과 삼재사상(三才思想), 팔괘사상(八卦思想)의 전통사상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종묘제례악에는 정관미 유장미 자연미 장려미 조화미가 내제되어 있다. 정관미는 희문과 전폐희문에서 찾아 볼 수 있었다. 유장미는 정대업에만 나타나는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자연미는 변주시 선율진행에서 노련한 연주기교로 자연스런 창작이 연결되는 부분으로 희문과 전폐희문에 잘 나타나고 있다. 장려미는 보태평 악장선율의 가장 두드러진다. 또 조화미는 종묘제례악의 불협화음이 협화로 음악에서 자연스러운 조화미적인 관점의 미의식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정대업의 소무에 잘 나타나고 있다.

한중일 전통가구에 나타난 표현과 의미의 기호학적 분석 - 17~19세기 수납가구를 중심으로 - (Semiotic Analysis of Expressive Features and Structural Meanings in Traditional Furniture of Korea, China and Japan - Focus on the Storage Furniture from 17th to 19th century -)

  • 김은정;박영순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2권1호
    • /
    • pp.183-193
    • /
    • 2013
  • The study aimed to find the fundamental differences of aesthetics in Korea, China, and Japan by analyzing expressive features and structural meanings of the storage furniture from $17^{th}$ to $19^{th}$ century. The study was performed in four steps; analysis of expressive features, isotopic analysis, semantic structure analysis, and comprehensive interpret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ree countries had linear shapes with curvilinear elements, closed forms with open spaces, natural material hues with change of tone or color, and symmetrical forms with asymmetrical patterns and structures in common. Korea comparatively accented on the natural material colors and wood grains. China stressed on the big and wide faces using three-dimensional carving. Japan accented on the linear elements with strong color contrast and decorative metal fixtures. These features were caused by the traditional thoughts and according aesthetic principles. Korea and China were affected by the Confucianism focused on establishing the order of rank. Meanwhile, Japan was more influenced by the Buddhism emphasized on the individuality and communication. Therefore, the differences of the expressive features in furniture among the three countries were inevitable consequences of the different ideologies.

일본 게임에서 나타나는 귀여움과 폭력성의 공존에 관한 분석 (An Analysis of cuteness and violence in games)

  • 주수정;조규헌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9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407-408
    • /
    • 2019
  • 일본의 게임문화에서는 서양 문화권과 달리 귀여움과 폭력성이라는 상반된 속성이 공존하며 성장하였다는 특징이 나타난다. 이는 일본의 전통적인 미의식과 연관되어 있다고 볼 수 있는데, 특히 게임 포켓몬스터 시리즈에서 이러한 경향이 두드러지는 것으로 보인다. 이 글에서는 포켓몬스터 시리즈와 페르소나 시리즈라는 두 게임 시리즈를 비교하여 귀여움이라는 속성이 게임에서 어떻게 기능하는 것인지 분석하도록 한다.

  • PDF

영화에 나타난 재(災)의 양상과 미적도야 (The Aspect of Disaster and Aesthetic Cultivation in Film)

  • 한영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166-175
    • /
    • 2014
  • 재난이 우리 인간의 삶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특이하게도 이와 같은 재난이 다양한 예술 활동 중 미디어 예술에서는 작가의 창조적 자극 또는 그 계기로 작동한 사례가 적지 않다는 점에 유의해 볼 필요가 있다. 예술을 통해 재난에 주목하는 이유는 우리의 삶과 미의식에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이다. 필자는 영화 "더 임파서블"과 "해운대"에서 보여 지는 수재(水災)의 양상과 그것으로 인해 발현되는 사람들의 미의식을 살펴보고자 한다. 전통교육에서 '도야'는 주로 인격을 도야하는 것으로 '몸과 마음을 자기 스스로 닦아 성찰하고 수양한다.'는 자기 교육의 의미로 흔히 사용되었고, 서구 근대교육에서의 '도야'는 인간에게 주어진 고유한 사명으로 파악되며 각각의 인간이 자신의 개별성, 즉 인격을 점진적으로 뚜렷이 드러내는 것을 의미한다. '미'는 사람들의 마음속에 이미 내재되어 있다고 필자는 생각한다. 칸트의 미의 분석 또한 마음속의 유쾌함이라는 특수한 성질에서 시작되었다. '미'라는 것은 사람들의 마음속에 안개와 같이 늘 깊이 존재하는 이유로 잘 보이지 않는다. 그래서 사람들은 예술이라는 매개를 통해 '미'에 접근하려는 시도를 한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사람들은 여러 사건과 경험을 하게 되는 것으로 미에 도달하는 미적도야를 이룬다.

조선왕릉의 조영의도, 이념, 사상, 미의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nstructional Intention, Idea, Thought and Aesthetic Consciousness of Joseon Royal Tombs)

  • 최종희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66-77
    • /
    • 2016
  • 본 연구는 세계유산으로서의 탁월한 보편적 가치, 진정성, 완전성을 지닌 조선 왕릉의 입지, 배치 및 공간구성, 구성요소(건축, 조경, 석물, 조각) 등에 내재되어 있는 조영의도, 이념, 사상, 미의식 등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세계유산 조선왕릉 40기를 연구대상으로 문헌조사와 현장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조영의도, 이념, 사상의 기원을 살피기 위해 조선왕릉 뿐만 아니라 고려시대의 왕릉과 통일신라시대의 왕릉도 살펴보았다. 조선왕릉은 고려왕릉, 특히 공민왕과 노국공주의 현정릉 능제를 많은 부분 계승하였으나, 불교국가였던 고려와 달리 조선시대에는 유교적 예법에 따라 조영되었으므로, 공간구성이나 구성요소에서 특색이 나타난다. 조선왕릉의 선지와 입지에서는 풍수사상의 길지 즉, 배산임수의 지형을 잘 갖춘 곳을 택하였으며, 배치 및 공간구성은 유교사상에 따라 이루어졌는데 이는 유교의 위계질서가 반영되도록 능역을 조성한 것이다. 공간구성요소에서는 건축, 조경, 석물, 역사경관림에서 유교사상, 불교사상, 도교사상이 각각 혹은 결합되어 나타나는 것을 살펴볼 수 있었다. 특히, 제례에 참여하는 사람들은 유교적 예법에 따라 행해지는 제례의식을 통해 조선왕릉의 조영의도, 이념, 사상에 연결된다.

한국 전통 조형미의 현대 디자인 적용에 관한 연구 - 조선 사회의 실용품에 나타나는 선(線)과 문양(文樣)의 조형적 특성을 중심으로 - (Study on the modern design application of traditional formative beauty of Korea - Focused on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lines and patterns observed in the necessities of Joseon society -)

  • 정민희;김소형;윤세환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 /
    • 제59권
    • /
    • pp.298-308
    • /
    • 2017
  • 전 세계적으로 국가간의 커뮤니케이션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현대사회에서 각 국가들은 스스로의 문화적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해 부단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우리나라 또한 이러한 세계적인 움직임에 발맞춰 '한국적' 전통을 활용한 디자인 개발과 이를 실생활에 적용하기 위한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아직 우리나라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한국적 디자인이란 단순히 전통 형태나 색채를 그대로 모방하는 것에 멈추어 독창적인 민족적 미의식을 창출해 내기에는 부족한 부분이 상당부분 발견 된다. 한국 전통 문화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현상이 지속되고 있는 원인은 한국적 문화 정체성 확립과 활용이 아직은 부족한 결과라 사료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색채와 함께 한국의 전통미를 결정하는 주된 요소인 조형성, 즉 형태분석을 통하여 한국의 전통 형태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예시를 통해 이를 현대디자인에 적용시키기 위한 방법을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한국 전통 조형미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 질 때 가장 빈번하게 언급되는 선(線)과 문양(文樣)을 중심으로 그 사용 행태와 조형적 특성을 의(衣), 식(食), 주(住)로 나누어 분석하고 현대적 적용 가능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