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전통한복

Search Result 95, Processing Time 0.02 seconds

A Study on the Stage Costume of Pansori Ballet Theater 'Dokkaeba! Dokkaeba!' Based on Storytelling (스토리텔링에 의한 판소리 발레극 '도깨바! 도깨바!'의 무대의상 연구)

  • Ryu Jinyoung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9 no.3
    • /
    • pp.399-406
    • /
    • 2023
  • Due to the increasing influence of the Korean Wave, traditional themes are emerging to the forefront of performance content development, emphasizing the necessity of applying the art of storytelling to the creative proces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differentiated costume design of the Pansori ballet "Dokkaeba! Dokkaeba!," developed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storytelling in its performance creation process. Choreographers, writers, and costume designer collaborated throughout the storytelling process from planning to content creation. This resulted in a clarified depiction of the Dokkaebi as divine beings with transcendental powers who are simultaneously friendly and familiar entities, often appearing in the form of humans and objects. Accordingly, the costume design based on this collaborative storytelling deliberately avoided the appearance of Dokkaebi reminiscent of 'Kwimyeonwa' or Japanese 'Oni', typically expressed with horns or decorations, and instead implemented novel design elements, such as fusion Hanbok with a variety of dimensionally aesthetic accessories, meaningful color contrast in modern clothing, textural elements indirectly expressing character and transmogrification, and daily clothing attire to illustrate the humanized Dokkaebi. Therefore, this study seeks to contribute to the production of new performance art showcasing the Dokkaebi by identifying the diversity of expression and direction within costume design.

A Vision for the Implementation of Daesoon Jinrihoe's Temple Stay (대순진리회 템플스테이 전망 고찰)

  • Joo So-yeon
    • Journal of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
    • /
    • v.49
    • /
    • pp.187-227
    • /
    • 2024
  •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prospects of the religious cultural experience program of Daesoon Jinrihoe by referring to the current status of Korea's Buddhist temple stays, which began with the 2002 World Cup and have become a regular program for the general public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Cultural Corps of Korean Buddhism in 2004. The motivation for Korean participation is mainly rest, while foreigners tend to be more interested in Korean traditional culture. During the experience, the perceived value felt by the participants led to satisfaction and an intention to revisit. Temple stays have contributed to the globalization of Korean Buddhism. The temple stay of Daesoon Jinrihoe is a religious cultural experience program for the public. If it became a regular program, the target could be expanded to include foreigners who wish to experience Korean culture. The activities such as wearing Hanbok, taking a Dojang Tour, praying, and dialogue over tea can be allocated to the program. As a result, the perceived value by participants could be taken as a cognitive value. For instance, they could learn about Sangje's Reordering of the Universe that transformed the order of Sanggeuk (Mutual Contention) into the order of Sangsaeng (Mutual Beneficence). They way that they live their lives could change as a result of these new understandings. The emotional value of the experience would come from experiencing traditional Korean religious culture. The prospect of implementing such a program is twofold: firstly, there are the tasks of proper preparation, and secondly, there are the positive effects. The tasks would first involve creating a systematic and organized center point. Next there would be the matter of preparing spaces for the temple stay, and lastly, an online platform for advertisement, recruitment, and application would also be greatly beneficial. This is a vision that could contribute to the improving public image of the order, its globalization, and to the overall improvement of the facilities and management that would produce a more socially friendly environment.

Analysis of Changing Aspect of Korean Cultural Contents in Japanese Textbooks (일본 교과서에 나타난 한국문화 콘텐츠 변화 양상 분석)

  • Park, So-You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3 no.11
    • /
    • pp.492-501
    • /
    • 2013
  • This study is aimed to track down on changes in the way Korean culture was covered in Japanese textbooks over the past three decades since the 1980s by reviewing 'social studies' textbooks for the 6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and 'geology' textbooks for middle school, which are two compulsory subjects in Japanese schools where Korean cultures is the most often mentioned. To that end, Korean culture contents mentioned in the textbooks were classified into basic element, unique element and element that reflect the times, each of which was then divided into the categories of traditional & modern and surface & in-depth so as to see how each of the categories was presented. Japanese textbooks mentioned mostly surface and basic elements of Korean culture relating to food, clothing and shelter, such as Hanbok, Kimchi, Ondol, high-rise apartment and table manners, and also landscape of Seoul. Also, the kinds of contents which constantly appeared in the textbook were mostly basic elements including to food, clothing and shelter. Elements that reflect the times such as the 1988 Seoul Olympic Games, the 2002 Korea-Japan World Cup and the Korean Wave were adequately covered as part of chronological explanations in the books. The aspect of Korean culture in Japanese textbooks seems to expand in depth and scope over the years. More recently, detailed explanations and visual images were increasingly used to introduce Korean culture.

Analysis on the Growth Environment of Chionanthus retusus Community at the Wansanchielbong in Jeonju (전주 완산칠봉 이팝나무 자생지의 생육환경으로 본 자연유산 가치 분석)

  • Kim, Yeo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
    • v.28 no.4
    • /
    • pp.85-97
    • /
    • 2010
  • This study analyzed the distribution, structure and environmental condition of the vegetation of the Chionanthus retusus Lindly et Paxton community at the Wansanchielbong in the Jeonju city to offer basic data for sustainable conservation and ecological management system.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average pH of soil at the community was pH 5.69 and it was slightly higher than the average of forest soil pH of Korea. But if the degree of pH will be down, it will be needed some more fertilization of Calcium. 2. The total average for contents of organism was 4.98%. And the nitrate - nitrogen content(mg/kg) of A, B, C, D quadrat was 20.29%, 28.87%, 7.65%, and 23.3% respectively. And there were good condition except quadrat C which was contaminated by amount of earth and sand. 3. The flora of the Chionanthus retusus Lindly et Paxton community was listed as 60 taxa; 37 families, 50 genera, 47 species, 10 varieties and 3 forms. The average appearance species of each Quadrat were A sector 30, B sector 26, C sector 19 and D 19 taxa respectively. 4. Surveyed woody plants in the community were as follows : Chionanthus retusus, Zelkova serrata, Quercus variabilis, Cornus walteri, Robinia pseudo-acacia and those were mixed status. And Chionanthus retusus, Zelkova serrata, Robinia pseudo-acacia, Albizzia julibrisin, Cudrania tricuspidata, Symplocos chinensis for. pilosa were mixed in mid layer trees. Herbaceous plants were founded such as Chionanthus retusus, Zelkova serrata, Robinia pseudo-acacia, Grewia parviflora, Rosa multiflora, Trachelospermum asiaticum was dominant with 35~64% in the ground cover, and Commelina communis, Calamagrostis arundinacea, Dryopteris bissetiana, Lilium lancifolium were founded also. 5. The importance values of Chionanthus retusus was 40.2% in the quadrat A1, 50.2% at quadrat A, 50.0% B1, 45.2% B2, 22.4% C1, 73.6% C2, 33.2% D1 and the total average of I.V. was 44.9%. 6. The average height of surveyed Chionanthus retusus was 5.7m and the average DBH was 12.4cm. The number of trees higher than 2m were 107 and the number of trees lower than 2m were 63. The total numbers of Chionanthus retusus were 170. 7. The age of surveyed Chionanthus retusus were analyzed 42 thru 87 years old and that of Zelkova serrata were 42, Quercus variabilis were 60, Quercus aliena were 48, Robinia pseudo-acacia were 40. 8. The number of trees with DBH 40 through 50cm were 6, and that of 30~39cm were 3, and that of 20~29cm were 16, so the total number that was over 20cm was 25. And there were 70 trees under 10cm of DBH and 63 seedlings. It will be very important data to conserve the habitat that the structure and environmental condition of the Chionanthus retusus Lindly et Paxton community at the Wansanchielbong was stable, and sustainable monitoring will be needed. Now that community is nurse forest of Jeonju City but more positive preservation plan will be needed and assigning monument of city or province also be necessary.

A Study on the Presence of Post-Miesianism and Its Future (Post-Miesianism의 실체와 미래에 대한 연구)

  • Lee, Sang-Jin
    •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 /
    • v.10 no.4 s.28
    • /
    • pp.77-92
    • /
    • 2001
  • 현대의 건축시기는 다원성의 시기 또는 복합성의 시기라고 불리운다.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의 시기를 거치며 다양한 형태적 실험의 과정을 겪었고 수많은 이데올로기와 이론들로 무장된 논쟁의 역사도 갖게 되었다. 이러한 현대건축의 다양성은 건축디자인이라는 전문직의 사회에 기여하는 역할을 반추(反芻)함과 동시에 다변하는 인간사고의 역동성을 반영하고 있다. 건축관련 책자나 저널 등에서 흔히 발견할 수 있는 Neo-Classicism, Deconstructivism, Minimalism, High-Tech, New Moderns 등등의 건축양식들은 스타일을 지칭하는 언어라기보다는 건축적 사고를 지칭하는 언어라고 할 수 있다. 결국 건축디자인이라는 작업은 인간을 둘러 싼 건조환경의 생성에서 출발하는 것이므로 건축적 사고방식은 그 시기의 사회현상과 밀접한 관계를 맺게 된다. 20세기 말부터 불어닥친 디지털 문화의 사회변혁은 전 세계를 하나의 채널로 엮게 되었고, 이러한 영향들은 지역과 민족, 그리고 종교적인 요소들까지도 혼합하여 국경을 초월한 미래의 새로운 이상들을 꿈꾸게 되었다. 19세기 산업혁명과 함께 급속히 벨라진 인류문명의 진보는 필수적으로 세계화를 동반하는 것이고, 세계화와 지역성사이의 괴리를 통해 나타나는 문화적 비판과 충돌은 아직도 진행상태인 것이다. 세계화라는 통염은 문명의 보편성을 기반으로 하며 전통문화의 파괴가 뒤따를 수밖에 없는데, 현재와 같이 IT혁명을 통해 급속도로 빨라진 세계문화의 교류는 한 국가가 뿌리를 내리고 있는 문화적 유산이라는 토양을 포기하여야 할 단계에 와 있다고 논평할 정도이다. 여기서 건축은 문화적 상징으로 작용하게 되는데, 그것이 심미적이든 관습적이든 또는, 경제적이든 건축가는 해답의 제시라는 임무에 직면하게 된다. 20세기에 진행된 모더니즘의 건축은 구조와 공간에 대한 고전건축의 숙원을 고덕건축이 이룬 것처럼 15세기 르네상스 시대로부터 진행된 형태와 공간, 기능, 그리고 아름다움과 기술(technology) 또는 경제성 등에 대한 건축적 의문과 탐구를 일단락지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모더니즘의 한복판에 Mies van der Rohe라는 거장이 깊은 발자국을 남기며 한 시대를 이루었고 그가 남긴 시대정신의 이념과 가치를 Miesianism이라고 부른다. 실용성과 도덕성을 근본으로 하는 Miesianism은 대중에 호소하는 미적 표현주의를 부정하고 지역정서를 중시하는 문맥적 접근방식을 경시함으로써 보편화라는 현상을 불러일으킨 국제주의 양식의 한 부류로 비판을 받아왔다. 즉, Miesianism의 단순하고 강렬한 외형적 요소는 그것이 내포하는 기술적 합리성이나 공간적 완결성을 무시한 채 전 세계에 영향을 미쳤고 동시에 지역적 저항을 받게 되었다. 시카고 및 전 세계의 Miesian들, 즉 Mies van der Rohe의 제자들이나 그로부터 영향을 받은 수많은 건축가들은 이러한 저항과 비판에 직면하게 되며 새로운 사고의 시대적 요구 앞에 고뇌하게 된다. 한국에서는 1978년 Mies van der Rohe의 제자인 김종성이 미국에서 서울로 돌아와 '서울건축컨설탄트'를 설립하며 본격적으로 Miesianism의 규범적 건축론을 설파하기 시작하였다. 이른바 시카고 국제주의학파의 건축전수라고 할 수 있는데 '서울건축컨설탄트'를 통하여 배출된 김종성의 제자들은 명쾌하고도 간결한 건축해법의 경험을 토대름대로의 정체성을 갖고자 노력하였으나 결국 다원적 가치를 요구하는 시대적 흐름 속에 혼란을 겪고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본 연구는 Miesianism의 기원을 밝히고 그것의 실수와 오류를 밝힘과 동시에 현대의 여러 가지 건축유형들과 비교하여 봄으로써 Post-Miesianism의 실체와 그 미래에 대하여 고찰하여 보고자 한다. 미스의 유산이라고 할 수 있는 Miesianism의 요체는 첫째, Schinkel로부터 이어받은 시대정신의 사명감, 둘째, Berlage가 전해준 전문가로서의 도덕성을 바탕으로 하여 이루어진 기술적 합리성의 실현, 그리고 마지막으로 그 당시의 추상예술에 대한 이해로써 받아들인 nee-Suprematism의 아방 가르데적인 자세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것들을 전파하고 수용하는 과정에서 미스적인 단순하고 명쾌한 외관이 더욱 강한 인상을 남기게 되었고 또한 미스가 현대성의 본질이라고 믿는 기술의 전수는 모든 외관을 동일하게 만드는 International Style로서의 보편적 획일성을 초래하였다. Mies van der Rohe의 강력하고 규범적인 dogma는 그의 제자들에게는 강렬한 카리스마로 각인되었고, Mies가 원한 것이 아닐지라도 그들을 하나의 틀 속에 가두는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2세대이든 3세대이든 기술적 합리성과 추상적 단순미라는 믿음을 맹목적으로 추종할 때 그들은 Miesian으로 남아있게 되며, 거기서 벗어났을 때 non-Miesian, 또는 배신자로 취급하기까지 하였다. 이것은 미스의 제자들에게 강한 족쇄가 되어 형태적 또는 개념적 변화의 시도를 어렵게 하였고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지 못한다는 평가에 이르게 되었다. 문화의 다양성과 역동성을 인정함과 동시에 Miesianism에 대한 새롭고 시대에 적합한 해석을 기대하게 되는데, 이러한 기대 속에서 우리는 Post-Miesianism이라는 새로운 유형을 엿볼 수 있게 된다. Post-Miesianism의 징후를 현대의 다양한 건축유형에서 발견할 수 있는데, High-Tech의 구축적이고 정밀한 건축 기술적 해법과 Minimalism의 반복성을 통한 추상미의 표현 등에서 뿐만이 아니라 Post-Modernism의 인간성의 추구나 문맥적 고려, 또는 해체주의의 형이상학적이고 아방가르데적인 실험주의 정신까지조차 Post-Miesianism이 공유할 수 있는 부분이 있다고 보여진다. 또한, 미스의 영향이 2세대, 3세대의 건축가들에게 미치면서 여러 방향으로 변질되어 가는 것을 우리는 발견할 수 있으며 그러한 시대성에 적응하는 시도들이야말로 새로운 미래를 향한 Post-Miesianism의 실체인 것이다. Mies가 말하였듯이 한 시대의 끝은 그 시대가 완전히 이해되었을 때이며, 모더니즘의 숙제는 아직 해결되지 않았으므로 Miesianism의 탐구는 Post-Miesianism이라는 새로운 주제로 계속될 것이다. 이를 통하여 21세기 디지털 문명의 시대 속에서 현대건축이 안을 수밖에 없는 보편성과 지역성의 충돌이라는 문제의 해결에 한 발걸음 다가갈 수 있기를 기대하여 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