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전통패션

검색결과 183건 처리시간 0.019초

디지털 의류 기술 개발 동향 (Trend in Digital Clothing Technology)

  • 김지은;정현태;조일연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24권5호
    • /
    • pp.20-29
    • /
    • 2009
  • 디지털 의류는 디지털 기술이 의류에 자연스럽게 융합되면서 옷을 입은 사람뿐만 아니라 외부의 디지털 기기와도 자유로운 소통이 가능한 의류이다. 1990년 후반부터 유럽과 미국에서는 섬유기술에 IT 기술을 융합하는 연구가 계속되고 있으며, 직물부품 및 직물회로를 구현하여 의류에 적용한 바 있다. 초기 디지털 의류는 군복과 같은 특수용도로 개발되었으나 요즘에는 MP3 플레이어 내장 의류, 색깔이 변하는 의류, 헬스케어 의류 등 일상생활용도의 의류가 개발되는 추세이다. 디지털 의류는 신소재 산업, 센서 산업 등 기술 집약 산업의 활성화는 물론, 기존 전통 산업에 IT 기술을 접목함으로써 섬유, 패션, 의류산업의 확장과 활성화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 앞으로 우리나라가 디지털 의류 시장을 선도하기 위해서는 섬유 IT 및 의류 IT융합 핵심기술의 확보가 시급하다. 본 고에서는 섬유 IT 융합분야의 이해를 높이고자 디지털 의류 기술 개발의 동향을 살펴보고 향후 기술발전 방향을 전망해 보고자 한다.

현대패션에 표현된 NEW ORIENTALISM에 관한 연구 (A Study of New Orientalism Represented in Modern Fashion)

  • 임영자;김선영
    • 복식
    • /
    • 제50권4호
    • /
    • pp.37-51
    • /
    • 2000
  • In this study, New Orientalism represened in modern fashion is defined a new idea that harmonized with factors of eclecticism, traditionalism, naturalism, and futurism and these characteristics are examined. First, as these features, it is the phenomenon of eclecticism presented beyond regions and sex. Second, it is the phenomenon of traditionalism newly expressed traditional images in a modern sense by using and changing of a oriental dress image of the of the past. Third, it is the phenomenon of naturalism revealed an unalloyed recurrent instinct about nature and a desire for yearning. Fourth, it is the phenomenon of futurism which is come out the factor of oriental images whithin a minimal and cyber environment. This paper might be the foundation for Korean Orientalism which could be not a just pastiche but a cultural commodity and s main fashion current with a cultural identity especially in the year of 2000, "New Arts Year", declared by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 PDF

3D 한복 애니메이션을 위한 체형별 크기 조정 지식베이스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Garment Resizing Knowledge-base Regarding Body-Shape for 3D Hanbok Animation)

  • 오수정;이보란;남양희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4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31 No.1 (B)
    • /
    • pp.490-492
    • /
    • 2004
  • 영화, 애니메이션, 게임 등 디지털 문화 컨텐츠에서 의상을 입은 캐릭터들의 사실성이 강조되는데, 기존의 패션 CAD나 의상 애니메이션 소프트웨어들은 디자인에 있어서 여러 단계의 작업을 거쳐야 하고 의상 디자인의 전문성을 요구한다 특히, 최근 우리 문화 원형의 디지털 컨텐츠화로 디지털 한복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한복은 재단이나 착용방식 등에서 양복과는 구성학적 차이점을 지님에도 불구하고 디지털 한복 제작을 위한 전문 시뮬레이션 도구는 전무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인 한복의 제작에서 사용하는 신체 치수 측정방법과 옷본 및 체형에 따른 사이즈 조정 방법을 지식베이스로 구축하였다. 이를 통해 한복에 대한 사전 지식이 업는 사용자들도 가상 캐릭터에 쉽게 한복을 착용 시킬 수 있는 지식 기반 한복 드레이핑 방법을 제안한다.

  • PDF

한복의 드레이핑 시뮬레이션을 위한 지식 기반 접근법 (A Knowledge based Approach for Hanbok Draping Simulation)

  • 이보란;오수정;남양희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615-1618
    • /
    • 2004
  • 영화, 애니메이션, 게임 등 디지털 문화 컨텐츠에서 의상을 입은 캐릭터들의 사실성이 강조되는데, 디지털 의상 제작에 있어서 기존의 패션 CAD나 의상 애니메이션 소프트웨어들은 여러 단계의 작업을 거쳐야 하고 의상 디자인의 전문성을 요구한다. 특히, 최근 우리 문화 원형의 디지털 컨텐츠화로 디지털 한복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한복은 재단이나 착용방식 등에서 양복과는 구성학적 차이점을 지님에도 불구하고 디지털 한복 제작을 위한 전문 시뮬레이션 도구는 전무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인 한복의 제작에서 사용하는 신체 치수와 체형특징에 따른 옷본의 크기 조정 방법을 지식베이스로 구축하고, 이를 사용하여 한복에 대한 사전 지식이 없는 사용자들도 가상 캐릭터에 쉽게 한복을 착용시킬 수 있는 지식 기반 한복 드레이핑 시뮬레이션을 제안한다.

  • PDF

우일요 테이블웨어 디자인 개발 연구 (Tableware Design Development for Woo Il Yo)

  • 이재정;김연희
    • 디자인학연구
    • /
    • 제14권4호
    • /
    • pp.65-75
    • /
    • 2001
  • 주방 디자인의 패션화와 동서양 문화의 퓨전적 현상은 식기의 다양화와 세분화를 요구하고 있으며, 식사는 단지 먹는다는 의미보다 무엇을, 어디에, 어떻게 먹느냐의 문제로 발전되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는 자연이 현대의 식생활과 라이프 스타일에 부응하는 합리적이고 미적인 식기 개발을 요구하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통과 현대의 조화로운 만남, 젊은 감성과 품격을 동시에 충족시켜 줄 수 있는 미래형 식기 및 테이블 클로스 디자인을 연구하여 개발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연구의 방향은 식탁문화의 패션화와 퓨전적 현상에 따른 식기 사용의 세분화, 전문화, 다양화 욕구를 효율적으로 만족시키고자 고정된 세트 개념이 아닌 끝없이 연속되는 열린 코디네이션 개념을 식기에 도입하고, 색채 역시 믹스 앤 매치 방식의 칼라 코디네이션으로 다양한 식탁 표현을 연출 할 수 있는 새로운 식기 디자인을 통하여, 보수적인 우일요 이미지를 전통과 현대의 조화로운 젊은 감성과 감각의 이미지로 개선하였다. 연구의 디자인 개발 대상은 런치 웨어로 식기류 15품목 15종, 테이블 클로스 3품목 4종 등 총 19종과 디너 웨어로 식기류 8 품목 8종과 테이블 클로스 1품목 1종 등 총 9종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S/S 런치 웨어 세트로 테이블 웨어 디자인 15품목과 테이블 클로스 3품목이 개발되었으며, F/W 디너 웨어 세트로는 5종이 개발되었다.

  • PDF

중국 중산복의 변천 및 현대패션에의 적용사례 고찰 (A Review on the Transition and Application of Modern Fashion of Chinese Mao Suit)

  • 기초;백정현;배수정
    • 복식
    • /
    • 제67권3호
    • /
    • pp.31-46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occurrence and evolution of Mao suit which is important position in the modern costume history of China and to provide a source of design inspiration to contemporary fashion designers. In the research method, literature review and case studies was conducted in parallel. For the literature review, changes of Mao suit in each age were reviewed with reference to the related documents, Chinese costume and cultural history, prior research papers and internet resources. The case analysis was qualitatively done focusing on the silhouette, color and detail of clothes in fashion collections. The scope of the study was from 1912 to 2000. The case analysis of the Mao suit applied to the contemporary fashion was made on the applications centered around 'London Collection', 'New York Collection', 'Paris Collection', 'Milan Collection' and 'Chinese Fashion Week' from 2008 to 2015. The results found that Mao suit changed into many different forms after Sun Wen designed it for the first time in 1912. This study classified it into Phase 1(1912~1927), Phase 2(1928~1965), Phase 3(1966~1977), and Phase 4(1978~2000) with historical and political issues and conformational changes in Mao suit. The frequency analysis of the cases of the fashion collections using Mao suit from 2008 to 2015 showed an increased application of Mao suit to the western collection in New York, Paris and London in 2008 due to the impact of Beijing Olympics. However, from 2009 onwards, the frequency of the utilization of Mao suit was higher in the Chinese Fashion Week and the New York Collection. This cause is explained by the fact that the designers who inspired from Mao suit in the New York Collection are American Chinese.

전통 부채의 형태를 응용한 패션문화상품 디자인 연구 (A Study of Fashion Cultural Product Design applying the Form of Traditional Fan)

  • 김선영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73-183
    • /
    • 2012
  • This paper intends to find out any possibility that a traditional fan can be continuously used for design development of fashion cultural products which highlight the differentiated uniqueness of Korean traditional cultures. For this purpose, this paper will newly reinterpret design-based formative factors that the shape and the line of a traditional fan shows, and then, make a pattern. This paper studied the existing literatures of a traditional fan, made the shape of a traditional fan into a motif, using computer graphic programs, like Adobe Illustrator CS 2 and Adobe Photoshop CS2, and then, applied it to neckties, T-shirts, and scarves. Among various kinds of traditional fans this paper set 4 basic motifs of new formative images by use of the shapes of Dan-Seon and Jeob-Seon, and then, developed them into two basic motifs each. Pink, blue, purple, green, yellow, orange, and gray were used as the basic colors of the motifs, through which splendid, but calm images were planned. The design of a necktie, which used a developed motif design, was applied in the form of a repeated pattern, through which a calm image was expressed. 45o turn was applied to this design to make a striped pattern image or a refined and cheerful image. The scarf design was developed into a rectangular long scarf so it can be used like a shawl. The design of T-shirt was developed into three types: a round neck-lined half-sleeved box type; a round neck-lined sleeveless type; and a V neck-lined, tight half-sleeved type.

(주)세정의 인디안 B.I.System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dian Brand Identity System Design)

  • 김택훈
    • 디자인학연구
    • /
    • 제20권
    • /
    • pp.1-10
    • /
    • 1997
  • 90년대 들어서 국내 패션시장은 소비자들의 생활수준향상, 라이프 스타일의 변화와 함께 해외 라이센스 브랜드 도입의 증가와 대기업은 물론 중소기업들의 신규참여 또한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급변하는 시장환경 속에서 오랜 전통과 기술력을 가지고 있는 선발 패션업체로서 주식회사 세정의 인디안 브랜드는 90년대 현 상황에서 타 브랜드들과의 경쟁에서 상대적 우위를 선점 하고 미래의 소비자들을 충족시킬 수 있는 새로운 이미지 정립이 절실히 필요한 상황이다. 이러한 시점에서 (주)세정의 인디안 브랜드 이미지 제고를 위하여 경영환경의 입체적 마아케팅 조사를 실시, B.I. 컨셉을 설정한 후 시각적 이미지 표현작업에 착수하였다. 그 후 설문조사를 통해 Logo mark를 결정한 후 인디안 B.I의 주요 디자인 항목인 기본 요소와 응용요소를 전개, 전체 디자인 시스템을 완성하였다. 그리고 브랜드 이미지 통일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보완되어져야 할 요소로는 디자인 조형상의 원칙준수와 철저한 관리, 브랜드 관련 전체 구성원들의 사고와 행동의 일치, B.I의식 실천을 위한 지속적인 교육프로그램의 실시 등이 요구된다.

  • PDF

동대문(東大門) 의류시장(衣類市場)의 설립년도(設立年度)와 판매방식(販賣方式)의 차이(差異)에 따른 전자상거래(電子商去來) 현황(現況) (The Present State of E-Business according to the Establishment Year and the Sales Approach of Dongdaemun Clothing Market)

  • 박혜령;박미령
    • 패션비즈니스
    • /
    • 제6권5호
    • /
    • pp.125-135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sent state of e-business according to the establishment year and the sales approach of Dongdaemun clothing market and to present problems according to e-business activation of it and its developmental direction.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selected out of Dongdaemun clothing markets being considered as more fashion-oriented markets and wer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both according to the establishment year and according to the sales approach. As a result, Dongdaemun clothing markets are mainly divided into traditional wholesale market, eastern wholesale & retail market, and western retail market and having dealings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the market's characteristics. The utility percentage of on-line e-business according to the establishment year and the sales approach showed that traditional wholesale market was 42%, eastern wholesale & retail market 0.75%, and western retail market 11%. This result indicated that the utility percentage of traditional wholesale market showed much higher than eastern wholesale & retail market and western retail market. This would be because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clothing market delayed the utility of e-business. For the problems on the utility of on-line e-business through counselling, traditional wholesale market showed much higher than wholesale & retail market and retail market because it had little problems on design imitation in retail market due to export by order and mass production. The problems of low utility of on-line e-business in Dongdaemun clothing market would result from well-timed on-line update according to rapid goods cycle, constant satisfaction for additional order, standardization of size and quality, and inexpensive internet purchase despite of express expense.

'버버리 프로섬'의 사례를 통해 본 전통 브랜드의 현대화 연구 - 오리지널 버버리와 버버리 프로섬의 디자인 비교를 중심으로 - (A Case Study on the Modernization of Traditional Brands, 'Burberry Prosum' - Focused on the Design Comparison between Original Burberry and Burberry Prosum -)

  • 정경희;김은실;배수정
    • 패션비즈니스
    • /
    • 제13권2호
    • /
    • pp.87-99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successful modernization strategy, and the difference between original Burberry and Burberry Prosum design. This will help in providing the fundamental information to Korean luxury fashion brands. Burberry, in particular, is rated as the most popular luxury brand in Korean fashion market. This brand has also rated 5th in sale worldwide and 1st in Korea in 2002, and was continuously been rated in 10th for the last 5 years. Related articles, fashion magazines, fashion web-site were used in this analysis, and the method was theoretical and case study. The results ar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of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and two design patterns of check pattern and trench coat were observed. First of all, internal factor in Burberry is that they have scouted a new CEO and quickly changed their image with famous British models for the purpose of marketing strategies. They have also moved their main shop in London to Bond street, and opened shops in every country's capital cities. They were successful in achieving this by using celebrity marketing strategies with many famous celebrities. Secondly, external factor was that they have hired a designer named Christoper Bailey and this highlighted and enhanced the check pattern and trench coat. As a results, more generalized and diverse design items were presented and accessory line was enhanced, creating a much more younger image. This in turn attracted more younger customers. To sum up, original Burberry focused on classic designs, however Burberry Prosum focused on transforming traditional Burberry design into avant-garde and young. In other words, the reason for the success of this brand is highly dependent on its marketing strategies in which its uniqueness of schizophrenic cloche has appropriately represented and used in desig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