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전통종교

Search Result 179,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Influences of Protestantism on some Traditional Cultural Values of Hmong Ethnic People in Lao Cai Province of Vietnam (베트남 라오까이 지역 흐몽족의 전통적 문화가치관에 미친 개신교의 영향)

  • NGUYEN, Van Hieu;DO, Quang Son
    • SUVANNABHUMI
    • /
    • v.1 no.2
    • /
    • pp.43-71
    • /
    • 2009
  • 베트남 소수민족 공동체 중 Hmong족은 중요한 구성원이라고 여겨져 왔다. 타지에서 베트남으로 이민 와서 다른 민족들과 함께 오랫동안 살아 왔지만 Hmong족은 자기의 민족문화 특색을 잘 지켜왔다. 그런데 지난 몇 년 동안 전통적인 종교와 달리 새로운 종교를 믿게 되는 방향으로 Hmong족의 심령의 종교는 많이 변하고 있다. 그 중에 특히 주목받은 것은 개신교의 유입이다. 개신교는 직접적, 간접적 선교 방법으로 Lao Cai에 있는 Hmong족 공동체에 자연스럽게 유입되었다. Lao Cai의 많은 지방에서 사람들이 개신교를 믿게 되었고 그 중에는 가족이나 종족 환경에서 강제적 선교도 일어났다. 개신교는 Hmong족의 전통문화뿐만 아니라 Hmong족의 전통 종교, 신앙에도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었다. 이 글에서는 Hmong족이 살고 있는 Lao Cai 지방을 선택하여 고찰하며 Hmong족의 전통문화가치에 대한 개신교의 영향 및 원인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Hmong사람들은 전통신앙을 버리고 개신교를 믿게 되는 원인을 살펴보자. 주 원인은 다음과 같은 네 가지가 있다고 본다. -경제와 관련된 원인 -성별 불평등과 관련된 원인 -학문 수준과 정보 습득 희망과 관련된 원인 -전통문화, 심리와 민속의식과 관련된 원인 그리고 다음과 같은 두 가지 각도에서 전통문화 가치에 대한 영향을 알아보았다. 첫째는 개신교가 Hmong사람의 전통사회체제에 큰 영향을 준 점, 둘째는 개신교가 Hmong사람의 풍속습관 및 전통 신앙에 영향을 준 점이다. 개신교가 Hmong사람의 전통사회체제에 큰 영향을 준 점은 여러 방면에서 보인다. 전통적인 가치와 개신교의 새로운 규정 사이의 충돌도 있고 가족 안에서 부부의 위치상 충돌도 있다. 또한 Hmong사람들에게 전통 종족의 역할, 위치를 약화시키는 영향도 주었고 산골 마을에서 개신교를 믿는 사람들과 믿지 않은 사람들 사이에 일어난 새로운 충돌도 있다 개신교와 개신교의 교리는 역시 풍속습관과 전통신앙에 큰 영향을 주었다. 첫째는 예수의 역할이 가장 중요하고 조상 숭배나 "집에 있는 귀신 숭배"같은 것보다 강력한 것이다. 그래서 Hmong사람의 신앙, 종교는 원시적 다신교부터 일신교로 변한 것으로 보인다. 둘째는 개신교를 믿는 사람들이 Hmong족의 전통 민속축제를 점차 멀리한다. 어떤 경우에는 그 사람들이 자기 민족의 전통문화 환경을 떠나 버리는 일도 있었다. 셋째는 개신교의 교리가 Hmong족의 풍속 규정을 바꾸게 하였고 Hmong사람들이 새로운 종교의 교리를 집행시켰다. 넷째는 인간 인생 주기에 관한 풍속습관 및 민속의례들은 의례 대상보다 의례 주제를 중심으로 삼는 것으로 점차 변화했다. 대체로 개신교가 Hmong족 공동체에 유입하여 이 민족의 전통문화 가치는 변화했다. Hmong족 공동체에 오래 존재해 왔던 낙후한 습관을 개선하는 점에서 개신교는 적극적 역할을 했다. 현재 문제점은 어떻게 전통문화가치를 유지하고 새로운 종교와 같이 존재할 수 있느냐라는 문제이다. 이 문제는 다음 연구 대상이 될 것이다.

  • PDF

Religious Education in Catholic Schools to Educate for Living Faith (생동하는 신앙 교육을 위한 가톨릭 학교의 종교교육에 관한 연구)

  • Groome, Thomas
    • Journal of Christian Education in Korea
    • /
    • v.61
    • /
    • pp.37-60
    • /
    • 2020
  • The central proposal of this essay is that religious education in Catholic schools is to educate for living faith and not simply for instruction about Catholic or other religious traditions. For long this claim was taken for granted. Now, however, and for various reasons, there is growing sentiment that formation in faith is exclusively the work of family and parish, whereas religious education in Catholic schools is to proceed solely as an academic discipline, teaching religion as one might teach mathematics or science or any other subject. This essay proposes that we resist this diminution of religious education in Catholic schools (hereafter RECS) and precisely to honor the nature, purpose, and ways of knowing that are inherent to Christian faith, and likewise to reflect the Christian intellectual tradition.

The Origin of Korea Mental Culture in Ethnical Religions (민족종교에 나타난 한국 정신문화의 원류)

  • Kim, Hyon-Woo;Lee, Gyung-Won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History
    • /
    • no.52
    • /
    • pp.243-280
    • /
    • 2017
  • To the mid 19th from the early 20th century, there were many movements about religion in Korea society. Protestant which first flew in 1885 grew up greatly and Confucianism of traditional thought sought for religionization to survive. At once new religions named Korea ethnical religion appeared. They are Donghak(東學), Daejonggyo(大倧敎), Jeungsangyo(甑山敎) and Won-Buddhism. Generally speaking, these ethnical religions deeply relates with Korea original mental culture. In this paper, I want to infer that these religions have Korea origin metal culture. The first, I will consider some traditional thoughts of (1) worshiping of Heaven, (2) practice and (3) harmony from traditional (religious) ceremonies and thoughts. Ans then I will infer how these traditional thoughts from origin mental culture appear in ethnical religions of Donghak(東學), Won-Buddhism(圓佛敎), and Jeungsangyo(甑山敎).

The Concept of Religion: Why It Matters and its Methodological History. What Questions are Posed to Us by "Their" Studies? ('종교'를 묻는 까닭과 그 질문의 역사: 그들의 물음은 우리에게 어떤 문제를 던지는가?)

  • Jang, Sukman
    • The Critical Review of Religion and Culture
    • /
    • no.22
    • /
    • pp.15-50
    • /
    • 2012
  • This paper consists of two parts. The first part presents a review of academic studies on the concept of religion in Western countries; why the subject matters and how it has been discussed and evaluated. The second part contains a self-reflection of the conceptual analyses of religion from the Korean point of view; how we evaluate "their" studies and an attempt to understand the more than one hundred years of reception of the concept of religion in Korea. The idea of religion is an important part of the modern "map" that Korean society was obliged to accept in the middle of its crisis during the second half of the nineteenth century. Examining this process and the context of its reception can help to understand our intellectual and religious heritage. In this vein, it is of primary importance to consider how the modern concept of "Jonggyo" is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concept of "Gyo".

대순사상의 종교 문화 조화정신

  • 왕쭝위
    • Journal of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
    • /
    • v.22
    • /
    • pp.87-131
    • /
    • 2014
  • 한국은 백 년 이래로 군사적 침략과 경제적 대변혁을 맞았으며, 또한 종교와 문화적 측면에서 전통의 중흥기와 서학의 유입에 대한 문제를 경험하게 되었다. 이런 점에서 한국의 역사적 경험은 주변 국가의 국민들이 배울 만한 의미가 있다고 생각된다. 이와 연관하여 대순진리회가 역사를 계승하고 창신을 이루어나가는 측면의 문제는 정리해볼 만한 가치가 있다. 대순진리회의 종지는 '음양합덕, 신인조화, 해원상생, 도통진경'이다. 특히 대순진리회는 해원상생 사상으로 조화정신을 집중적으로 잘 나타내고 있다. 대순진리회의 해원은 고대 단주로부터의 원을 푸는 것에서 시작되며, 인류가 근본적으로 여러 세대에 걸친 원한을 풀어야만 행복하고 안락한 시대에 진입할 수 있다는 역사관을 보여주고 있다. 대순진리회가 해원을 푸는 방책으로 제시하는 상생은 당시의 갑오동학혁명이나 역사상 많은 종교에서 원한을 해결하는 방법과 구별되는 것이다. 과거에 있어서는 상극의 방법으로 원한을 해결하여 왔으나, 상극의 방식은 오히려 새로운 원한을 더욱 만들어 낼 수 있기 때문에, 현대에 있어 원한을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은 악을 선으로써 대하는 것이라고 한다. 증산 성사 및 그 후학들은 사회의 질서를 새롭게 세우는 문제와 전통사회에서 인간 간의 조화를 방해하고 원한을 용인하는 구습을 개조하고 원을 소멸하는 문제에 주의를 기울였다. 이러한 변혁은 평등의 관념을 나타내고 있다. 증산께서는 전 세계적인 관점에서 민족과 국가 그리고 종교 간의 조화를 실현해야 할 것을 강조하셨다. 당시 동아시아 국가는 매우 폐쇄적인 상황에서 서양 국가의 침략을 받던 시기였는데, 증산 성사께서 미래의 세계는 마땅히 화합을 이루고 서로의 장점을 배우는 세계가 될 것임을 예견하셨다는 것은 그의 위대함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증산의 후천개벽사상 역시 조화의 정신을 나타내고 있다. 후천개벽사상은 전통적 참위를 현대적으로 개조한 것으로 민중을 적극적으로 인도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으로, 증산께서는 각 종교에 대해 관용적인 태도를 표하셨고, 또한 매우 진지한 태도로 타 종교로부터 자신이 주창하는 사상과 관련한 자원을 흡수하셨다. 동양의 전통적인 유불선 삼교를 가장 중요한 종교와 문화형태로 인정하시고, 그 삼교의 내용을 두로 포용하셨으며, 심지어 예수교와 서양문화까지 모두 아우르는 태도를 보여주셨다. 서양의 문화 역시 증산께서 추구하시는 신세계의 한 부분이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사실은 증산께서 당시 세계의 역사적 방향에 대해 통찰하고 있었고 이 통찰 속에서 종교 간의 관계가 조화롭게 되어야 함을 주창했음을 말해 준다. 대순사상에는 민간 무교의 내용 역시 풍부하게 들어있다. 부뚜막신, 사명, 아표신, 마장군, 백의군왕, 황천신 등 민간에서 유행했던 다양한 신령숭배의 내용을 흡수했을 뿐만 아니라, 주문과 부를 태우는 법술로 신명과 관련된 내용을 표현하고 있으며, 칠성과 관우의 신앙까지 수용하고 있다. 또한 증산 성사는 동학과 같은 신종교까지 받아들이셨다. 증산께서는 동학혁명의 비참한 최후를 완화시켰던 위대한 역사적 공적을 이루셨으며, 신종교 운동의 사회적 형태를 변화시켰을 뿐 아니라, 서로 다른 내력을 지닌 교도들간의 관계를 조화롭게 하였다. 이로 볼 때 결국 증산께서 주창한 대순사상은 사람들 간의 충돌과 모순을 소멸시키고, 조화와 상생의 사회 환경을 창조하고자 하는 것이었다고 할 수 있다.

달걀과 닭고기를 식탁의 주인으로 만들자!

  • 김수문
    • KOREAN POULTRY JOURNAL
    • /
    • v.6 no.7 s.57
    • /
    • pp.70-71
    • /
    • 1974
  • 어느 나라이든 그 나라의 전통과 습관에 얽매여 식생활에 있어 금기로 하는 것이 있다. 물론 이러한 전통과 습관이 전부가 불합리한 것은 아니지만 저 개발 국가에서 가장 중요한 단백원인 축산물을 기피하는 경우가 있다. 적어도 인도를 봐도 종교적인 taboo 때문에 소를 우상시하여 식용화 하지 않고 있다. 이것은 비단 일국에 국한된 것만은 아니다. 여기 소개하는 동남아시아 및 아프리카의 일부지방에서 달걀이나 닭고기를 taboo시하는 것도 하나의 전통에 얽매인 현상이라 하겠다. 이러한 불합리한 점은 적극 계몽하여 동물성 단백질의 효용을 높여야 하겠다.

  • PDF

장승의 이미지를 응용한 니트디자인 연구 -텍스타일CAD 시스템을 이용하여-

  • 이애니;이연희
    • Proceedings of the Costume Culture Conference
    • /
    • 2004.04a
    • /
    • pp.130-132
    • /
    • 2004
  • 현대의 시대가 산업화되고 문명화되어가고 있지만 사람들은 여전히 확실성 없는 미래에 대한 불안을 가지고 살아가며 현세의 안위를 걱정한다 이러한 현상은 종교에 대한 관심의 증가와 건강에 대한 지나친 걱정, 지구의 종말론을 논하는 등의 여러 분야에서 나타난다. 한국도 예외가 아니며 매스컴에서 끊임없이 보도되고 있는 현대 사회의 미신과 민간 신앙에서도 알 수 있다. 미신과 민간신앙은 민족의 고유한 전통이며 또 하나의 종교이다. (중략)

  • PDF

Research on the Recognition of the Ritual Ceremony (제례의식의 인지도 조사연구)

  • 김정미;김종군;장성현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 /
    • v.13 no.3
    • /
    • pp.145-154
    • /
    • 2003
  • This research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rituals and to establish the desirable ritual culture. The recognition of the ritual culture was investigated by the general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gender, age, religion and education background. The rituals were generally recognized as positive. Som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shown according to religion, gender and residential area. To succeed the tradition of the preparation and the table-setting of ritual foods and to conduct the rituals by the descendants were recognized relatively high by the Buddhists and males living In Gyeongsangbuk-do. The degree of recognition of the method of table-setting of ritual foods was higher if one was married and older, with Buddhism and the oldest daughter-in-law in a family. As above, the culture of Korean rituals showed som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general environment and regions of the individual. The reason why regional differences were shown high was mainly because tradition and conservatism were maintained according to the unique regional thought and natural environment rather than impacts of the changes of times. That some differences were shown according to general environmental factors suggested that the traditional ritual culture was gradually changing according to the environmental changes in the modem times. Also, the recognition on the ritual culture were identified through investigations by general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gender, age, religion and education background.

  • PDF

Buddhism as Philosophy and its Doing Philosophy (철학으로서 불교와 철학함)

  • Pak, Byung-kee
    •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Society
    • /
    • v.142
    • /
    • pp.99-119
    • /
    • 2017
  • Buddhism tends to be accepted as an institutional religion. This is probably due to the historical background in which Buddhism has been accepted as a representative institutional religion along with Christianity since the mid-20th century. In particular, Buddhism is accepted as an institutional religion based on tradition. Buddhism is also accepted as philosophy. Even if the western philosophical background is embraced that defines philosophy as the pursuit of intellectual clarity and wisdom in life, Buddhism is deemed to be classified as a philosophy that allows for the possibility of philosophical criticism without unconditionally believing the truth that Gautama Buddha discovered. The possibility of Buddhism as philosophy like this is directly linked to the possibility of Buddhism for doing philosophy. Doing philosophy in Buddhism can be presented in three processes: keeping a distance from daily life, the observation and concentration based on the distance, and the formation of a new world-view. Doing philosophy is rooted in the same way as meditation in the lives of people tired from post-capitalist everyday life. Nonetheless, Buddhism clearly has the characteristics of religion, thus posing a challenge of establishing a new relationship between religion and philosophy. The tradition of a strict separation between the religion and philosophy in Christian civilization is still working as a factor that keeps Buddhism from being classified as philosophy. In cases where the pursuit of intellectual clarity and practical wisdom in life is incorporated into the purpose of philosophy, Buddhism can be categorized into having the distinctive function of religion "spiritual peace", and sharing the common function of philosophy and religion "enlightenment." In that sense, it can also be an important task to seek a new perspectiv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n and philosophy.

Online Religious Culture in Korea: Focusing on Religious Activities and Special Cases of Religious Expression (한국의 온라인 종교문화에 대한 시론적 연구 - 온라인 종교활동과 종교적 표현상의 특이 사례를 중심으로 -)

  • Shim Hyoung-june;Lee Won-sub;Oh Joon-hyeok;Lee You-na
    • Journal of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
    • /
    • v.45
    • /
    • pp.187-226
    • /
    • 2023
  • In contemporary society, digital media has become an integral part of daily life that shapes how people interact with the world around them. This phenomenon has also influenced religious activities and practices. Studies on digital religion and religious practices among digital natives in the Western world have indicated that traditional religious practices are on the decline. Instead, more accessible and flexible forms of religious activities and beliefs are emerging. Given this context, it is important to investigate whether similar trends are occurring in Korea.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religious activities and expressions of Korean individuals in the online environment. Specifically, the study focuses on four main areas: ①the online religious activities of established religions such as Protestantism, Buddhism, and Catholicism; ②the online religious activities related to divination belief systems such as the Four Pillars of Destiny (四柱 saju) and Tarot; ③online holy sites and wish comments or chats; and ④popular religious neologisms such as jileumshin (지름神 a god with the power to justify consumption) and gatsaeng (갓[God]生 one's best life). Through this review, it can be ascertained that religious ideas and practices are restricted by the attributes of digital media. This implies that the emergence of simplistic forms of religious ideas and activities is associated with the features of digital media and the consumption of digital con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