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전자적인 학습

Search Result 1,223,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A Design of Learner-oriented Item Bank System Considering Type of Content (문제 유형을 고려한 학습자 중심의 문제은행 시스템 설계)

  • Oh, Won-Wook;Kim, Yo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9.04a
    • /
    • pp.558-561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웹기반 문제은행의 발전된 모형으로 문제 유형에 따른 학습자의 맞춤형 문제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본 시스템의 최종 목표는 능동적, 자기 주도적 학습을 실현할 수 있는 맞춤형 이러닝을 통해 학습자의 학업 성취도 향상에 있다. 교수자 및 개발자 중심의 이러닝 서비스가 아닌 학습자의 학습 결과에 능동적으로 반영하고 유연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문제 유형에 따른 적합한 다음 단계의 문제를 제공함으로써 이러닝의 효율을 극대화 한다. 기존의 고정 출제 또는 무작위 출제 방식에서 탈피하여 개별 학습자의 오답과 문제 유형을 고려하여 문제의 키워드, 선택된 보기의 키워드, 유동적 난이도에 따른 문제 추출 방식을 설계하였다. 이 모델은 보조 학습의 수단으로 문제은행 시스템을 학습자 중심에 근접하여, 융통적이고 효과적으로 개인화된 서비스를 제공한다.

An Electronic Flute Using Bluetooth Communication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전자 플루트 개발)

  • Lee, Seungho;Lee, Jung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3.01a
    • /
    • pp.33-34
    • /
    • 2013
  • 자기 주도적 학습의 활용방안으로 음악 교육 분야에서는 전자 악기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전자악기와 관련된 기존의 다양한 연구들과 상용제품들은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의 악기연주 자율학습에 활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일반 PC환경에서 사용되는 블루투스를 이용한 전자 플루트 개발 방법을 제안한다.

  • PDF

The Effect of Blended Learning on Learning Achievement of Computer Education in High School (블렌디드 학습이 고등학교 전산교육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 Seo, In-Soon;Seo, Jeong-Man;Kim, Sung-Wan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2 no.3
    • /
    • pp.115-122
    • /
    • 2007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 that the blended learning has on the learning achievement of computer education in high school. To get the goal, 136 students were allocated into the experiment group(68 students) with the blended class and the control group(68 students) with the traditional face-to-face class. After identifying the homogeneity of two groups in learning achievement by analyzing the pre-test,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learning achievement of post-test between the experimen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3.16, p=.0019). This result underlies the potential of blended learning in computer education. It will be important for designing the class for computer education in high school.

  • PDF

Virtual Field Education(VFE) for Active E-Business Learning (가상현장교육을 통한 능동적 체험 학습의 도입과 활용)

  • 김범수
    • Proceedings of the CALSEC Conference
    • /
    • 2003.09a
    • /
    • pp.167-171
    • /
    • 2003
  • 목차 ◎연구의 배경 ㆍ전통적인 교육과 온라인 교육 ◎효과적 온라인 교육:능동적 체험 학습 ◎가상현장교육(Virtual Field Education) ㆍ가상현장교육 환경 및 구성 ㆍ지식의 전달 및 학습 과정 ◎가상현장실험(Virtual Field Experiments) ◎정보통신 교육과 연구의 융합(중략)

  • PDF

Information Sharing and Group Learing Using Electronic Communication Media (전자매체를 통한 정보공유와 공동학습)

  • Lee Jee-Yeon;So Mae-Sil;Paik Wooj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39 no.3
    • /
    • pp.105-119
    • /
    • 2005
  • With the introduction of Internet-based education such as online learning and virtual campuses. there are increased interests and demands for electronically delivering educational contents in comparison to the traditional educational methods. Our preilminary study showed that approximately $50\%$ of virtual groups formed online for the scope of collaborative learning encountered harriers that prevented them from forming an effective learning team and making satisfactory progress toward reaching the learning objectives. In this study, we asked the undergraduate students. who were the members of the online learning team, to work on the given discussion topics through the use of emails and threaded discussion boards. Then. we investigated the roles played by two electronic communication medium during the virtual discussion with respect to the learning outcome. We also studied how information was shared amongst the virtual learning team members. The results of our study showed that the email based online learning had the advantage of individualized and friendly information transfer. However. it also caused certain difficulty in exchanging ideas due to the one-sided nature of the email-based communication. On the other hand, the threaded discussion board provided easier information sharing and broadcasting. which enabled active participation by the virtual team members. However. It also had the disadvantage of difficulty in accurate information conveyance and duplication of the posted information. In summary, our study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high correlation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ectronic communication medium and the decision that the online learners made regarding which medium to use. There was a high correlation between the type of the electronic communication medium and the online learners' experiences in using these media.

The Effects of Learners' Cognitive Styles and Visual Organizer Types on Contents Comprehension and Awareness of Structure in Electronic Text Documents (학습자 인지양식과 시각적 조직자 유형이 전자 텍스트 문서의 내용이해 및 구조파악에 미치는 효과)

  • Han, Ahnna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11 no.4
    • /
    • pp.47-58
    • /
    • 2008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reveal the effects of visual organizer types and cognitive styles in electronic text understanding. 126 graduate students were divided into a field-dependent group and a field-independent group, and then assigned to two different types of web- based instruction programs which included visual organizers of 'reduction' type and 'abstraction' type. Regarding the comprehension of contents, there were no significant effects of visual organizer types and cognitive styles. However, it was reveal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between visual organizer types and cognitive styles on the awareness of structure in electronic texts. That is to say, while Type 2 ('abstraction' type) was more effective to field-dependent learners, Type 1 ('reduction' type) was more effective to field-independent learners in awareness of structure in electronic texts.

  • PDF

A study of performance assessment system that used academic achievement analysis and prediction for promotion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촉진을 위한 학업성취도 분석 및 예측 수행평가 시스템 연구)

  • Kim, Hyun-Jeong;Choi, Jin-Seek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8.06a
    • /
    • pp.677-678
    • /
    • 2008
  • 이 연구는 프로그래밍 교과의 수행평가에서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촉진을 위하여 학업성취도를 분석 및 예측하는 시스템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 연구에서 학업성취도의 평가는 루브릭을 적용하여 프로그래밍 수행평가의 채점을 논리력, 문제해결력, 창의력으로 측정하였으며 학업성취도를 분석하기 위해 학습자별 학업성취도를 측정 준거 별로 그래프로 표현하며 이동평균법을 적용하여 향후 점수를 예측하였다. 이로 인해 학습자는 평가 결과 그래프로 현재 자신의 학습상태를 파악하고 예측 결과로 자신의 학습의 준거 별 장 단점을 분석하여 학습 방향 및 학습시간에 대한 자기 성찰에 도움을 주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촉진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Effect of Learning Activities through Contents Creation for E-book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전자책 콘텐츠 제작을 통한 학습활동이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에 미치는 효과)

  • Park, Sangwook;Yoo, Inhwa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18 no.1
    • /
    • pp.35-44
    • /
    • 2014
  • School education is changed to the learner-centered on 21th century knowledge base information-oriented society. The construction of infrastructure for smart education in the field of education has enabled various educational approaches using this and self-directed learning depending on the levels of learners. Thus, this study created the contents by applying ePUB format based-authoring tools for e-books to subject learning and analyzed the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learners. It was confirm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improved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better than the control group through e-book making activities from learning results on social studies and history curriculum of fifth grader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a high level of satisfaction in all the subgroups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such as intrinsic motivation, openness to learning opportunities and autonomy.

Analysis of Causes of Elementary e-Learning Dropouts and Strategies for Their Make-up (초등 전자교육 중도탈락 원인 규명 및 재수강 의사 분석)

  • Lee, MyungGeun;Choi, GouW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3.01a
    • /
    • pp.169-171
    • /
    • 2013
  • 본 연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전자교육 학습자의 학습이력에 따른 중도탈락 원인들을 규명하고 재수강 의사 결정에 차이를 보이는지 분석을 통해 학습자의 재수강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하고 효율적인 전자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도록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초등 전자교육에서 학습이력별 중도탈락 원인을 규명하고 재수강 의사 결정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초등전자교육에서 학습자의 학습이력 중 특히 학습자의 이수율이 중도탈락율과 관련 있으며, 유의한 원인은 시간부족, 교육내용 방법 평가로 나타났다. 둘째, 시간이 부족하거나 교육내용 방법 평가 방법이 적절하지 않아 중도탈락한 학습자들의 50% 이상이 재수강 의사를 밝혔으며, 중도탈락 원인 중 학업능력은 재수강을 결정하는데 유의한 원인으로 파악되었다. 셋째, 중도 탈락자의 재수강을 유도하는 방안으로서는 초등 전자교육 수강자는 온라인 플래너를 활용하여 매일 1시간씩 학습 시간을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며, 선행학습은 한 학기 전까지 다루는 것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Smart Braille Learning Board to lower illiteracy rate for the Blind (시각장애인의 문맹률을 낮추기 위한 스마트 점자학습 보드)

  • Kim, Seong-Gyeong;Lee, Hyo-Jeong;Chang, Yoon-Hui;Kim, In-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2.11a
    • /
    • pp.977-979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시중에서 판매되는 점자학습 기기의 단점들을 보완한 점자학습 보드를 제안한다. 학습 보드는 다음과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첫째, 자음, 모음 등의 기초적인 글자 학습, 단어와 문장 학습, 게임학습, 총 세 가지의 학습 모드를 지원하는 기능. 둘째, 사용자의 학습 데이터를 분석하여 마지막 학습 일자, 학습 진행 상황 등의 다양한 요소를 고려한 학습, 복습 내용을 자동으로 업로드하는 기능. 셋째, 기기에 연동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학습상태를 확인하고 기기를 조작하는 기능. 넷째, 학습 보드와 앱의 음성안내, 생체인식을 사용한 로그인, 음성인식을 통한 언어 변환, 보드 자동 교체 등의 사용자 편의성을 위한 기능이다. 본 논문은 이를 통해 점자학습에 대한 접근성을 높여 시각장애인의 문맹률 감소를 목표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