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전자공여활성

Search Result 190,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한국산 인삼, 장뇌삼 및 중국산 장뇌삼의 항산화 활성에 관한 연구

  • 황유진;양희진;이수원
    • 한국축산식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축산식품학회 2006년도 정기총회 및 제37차 춘계 국제학술발표대회
    • /
    • pp.309-311
    • /
    • 2006
  • 한국산 인삼, 장뇌삼 및 중국산 장뇌삼의 각 추출 용매에 따른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추출 용매에 따른 전자 공여 능력은 모든 시료에서 농도 의존적인 결과를 나타냈으며, 그 중 한국산 장뇌삼의 hexane 추출물 $600{\mu}g/mL$에서 71.4%로 가장 높은 전자 공여능을 보였다. Superoxide anion radical 소거 능력에 대해서는 $H_2O$, hexane, butanol, chloroform 및 total 추출물 순으로 높은 활성을 보였고, 시료별로는 한국산 장뇌삼이 가장 활성이 높았고, 그 다음으로 중국산 장뇌삼, 한국산 인삼의 순으로 나타났다.

  • PDF

19종 시판 탄화초액의 항산화활성의 평가 및 비교 (Evaluation and Comparison of Antioxidant Activities of Nineteen Commercial Carbonated Vinegar Liquors)

  • 김성필;남석현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2권4호
    • /
    • pp.174-179
    • /
    • 2009
  • 목초액, 죽초액 및 왕겨초액을 포함한 시판 중인 19종의 탄화초액이 가지는 기능성을 DPPH 라디칼에 대한 전자공여활성과 $Fe^{3+}$인 ferricyanide에 대한 환원력, linoleic acid의 자동산화를 억제하는 지질과산화 억제활성, LPS 자극에 의한 생쥐 대식세포주 RAW264.7세포의 NO생산에 대한 억제활성 및 탄화초액 처리에 의한 RAW264.7세포의 세포독성을 중심으로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탄화원료에 관계없이 정제도가 떨어지는 탄화초액의 경우, 전자공여활성, 환원력, 지질과산화 억제활성 및 NO 생성 억제활성을 포함한 항산화활성과 세포독성은 모두가 높게 나타났다. 반면, 피부이상 치료용이나 목욕용 정제 탄화액의 경우, 세포독성은 낮지만 전반적인 항산화활성도 낮았고, 특히 염증 유발에 중요한 분자인 NO의 생성을 억제하는 활성도 낮게 나타났다. 19종의 탄화초액 중에서는 왕겨초액이 NO 생성 억제활성을 포함한 항산화활성이 높을 뿐 아니라 세포독성이 낮은 기능성이 뛰어난 탄화초액임이 관찰되었다.

피부노화 억제활성을 갖는 천연 추출물의 탐색 (Screening of Natural Products that have Activities against Skin-Aging)

  • 신지영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568-572
    • /
    • 2001
  • 항산화 및 미백효과가 있는 생약재을 탐색하기 위해 생약재 70% 에탄을 추출물의 전자공여효과, 지질 과산화 억제효과 및 tyrosinase 억제효과를 검색하였다. 70% 에탄을 추출물의 전자공여 효과는 10$\mu\textrm{g}$/m1의 농도에서는 연교>홍화씨 >오미자>운지, 감초 순으로 나타났고 100$\mu\textrm{g}$/m1의 농도에서는 연교>운지 >감초>오미자>상지 >홍화씨 순으로서 연교의 전자공여효과가 가장크게 나타났다. 또한 l$\mu\textrm{g}$/ml에서 연교는 37%, 홍화씨는 31% 정도로서 매우 낮은 농도에서도 상당한 전자공여효과를 나타냈다. 지질과산화 억제효과는 쑥>감초>생지황>상지 순으로서 쑥이 가장 높은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고 tyrosinase 활성의 저해효과는 상지> 쑥> 느타리버섯 순으로서 상지가 가장 좋은 효과가 있음을 악 수 있었다. 위의 결과는 연교, 쑥 그리고 상지 등이 피부노화 억제 기능성 화장품의 소재로 이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PDF

용매에 따른 뽕잎과 오디의 생리활성 효과 (Physiological Activities of Mulberry Leaf and Fruit Extracts with Different Extraction Conditions)

  • 주민정;권중호;김현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442-448
    • /
    • 2009
  • 뽕잎과 오디를 물, 50% 에탄올, 100% 에탄올 용매를 이용하여 microwave로 추출하여 이의 생리활성을 측정하였다. 뽕잎과 오디의 전자공여작용의 측정결과 모두 용매별 차이를 보였으며, 물과 50% 에탄올 추출물에서 $65.22{\sim}81.77%$로 높은 활성을 보였다. Tyrosinase는 $20.25{\sim}21.13%$로 20% 내외의 결과를 보였으며 용매별 차이는 없었다. SOD 유사활성 측정결과 뽕잎과 오디 모두 에탄올 농도가 증가할수록 활성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물 추출물의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ACE 저해작용의 경우 모든 추출물에서 뽕잎보다 오디의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전자공여작용, tyrosinase저해작용, SOD 유사활성 모두 물과 50% 에탄올 추출구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활성을 보였으나, ACE 저해 작용의 경우 100% 에탄올 추출구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pH의 증가에 따라 그 활성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뽕잎과 오디 추출구의 경우 SOD 유사활성, 티로시나제 저해 효과, ACE 저해활성, 아질산염 소거작용에서는 낮은 결과를 보였지만 어느 정도의 활성을 보였으며, 우수한 전자공여작용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므로 추출 시 시료의 양이나 추출물의 농도를 조금씩 높여 준다면 천연 항산화제로서의 이용가능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흑진주벼 미강으로부터 생리기능성 물질의 탐색 및 추출조건 (Detection and Extraction Condition of Physiological Functional Compounds from Bran of Heugjinju rice (Oryza sativa L.))

  • 이국영;김재호;손종록;이종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296-301
    • /
    • 2001
  • 혹진주벼 미강으로부터 생리기능성 물질을 추출하여 이들을 이용한 생리기능성 제품을 개발하기 위하여 먼저 흑진주벼 미강에 함유되어있는 유용물질들을 추출한 후 이들의 생리기능성을 측정하였고 미강 중에 많이 함유되어있는 ACE저해활성물질과 혈전용해활성물질, 전자공여물질과 tyrosinase 저해물질들의 추출최적조건을 검토하였다. ACE 저해활성과 혈전용해활성 및 tyrosinase 저해활성은 물 추출액에서 높았고 전자공여능은 hexane 추출액에서 높았다 그러나 SOD 유사활성과 아질산염 소거활성은 없거나 매우 미약하였다. 흑진주벼 미강에 물을 1 : 20으로 첨가하여 2$0^{\circ}C$ 에서 12시간 추출하였을 때 ACE 저해활성물질이 가장 많이 추출되었고 물을 1 : 10으로 하여 35$^{\circ}C$에서 18시간 추출하였을 때 혈전용해활성물질이 가장 많이 추출되었다. 또한 전자공여물질은 20배의 hexane으로 2$0^{\circ}C$에서 18시간, tyrosinase 저해제는 10배의 물로 2$0^{\circ}C$에서 18시간 추출하였을 때 가장 많이 용출 되었다.

  • PDF

추출조건에 따른 늙은 호박 추출물의 생리활성 (Physiological Activities of Cucurbita moschata Duch. Extracts with Different Extraction Conditions)

  • 이혜진;도정룡;권중호;김현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65-171
    • /
    • 2010
  • 늙은 호박의 부위를 나누고 추출용매를 증류수, 50% EtOH, 100% EtOH로 달리하여 건물 중량의 25배에 해당되는 부피(w/v)일 때, 추출물의 생리활성 및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였다. 추출물의 수율을 측정한 결과 추출용매를 증류수로 사용한 추출물들이 가장 높았으며, 특히 섬유질 추출물이 14.6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전자공여 작용의 경우 50% EtOH로 추출한 섬유질 추출물이 52.37%의 높은 전자 공여능을 보였다. SOD 유사활성을 측정한 결과에서는 100% EtOH에 의해 추출된 과육 추출물이 42.48%로 다른 추출물보다 높은 유사활성을 나타냈다. 총 폴리페놀 함량의 경우 50% EtOH로 추출한 섬유질 추출물이 121.49 mg%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아질산염 소거능 측정 결과에서 모든 추출물이 pH 1.2에서 소거능이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Tyrosinase 활성 저해능의 경우 모든 과육 추출물이 11.36~19.1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비교물질인 L-ascorbic acid에 비해 매우 낮은 저해능을 보였다. ACE 저해활성에서도 전자공여능과 페놀함량 측정결과와 같이 50% EtOH로 추출한 섬유질 추출물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머루 과피 용매추출물의 항산화성 및 아질산염 소거작용 (The Antioxidative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Solvent Extracts from Wild Grape (Vitis Coignetiea) Skin)

  • 최선영;조현소;성낙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8호
    • /
    • pp.961-966
    • /
    • 2006
  • 머루 과피 용매추출물의 전자공여 작용, 환원력, SOD 유사활성, TBARS 및 아질산염 소거작용을 측정하여 항산화 기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총 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가장 높은 ethyl acetate 추출물의 경우 전자공여 작용도 $100\;{\mu}g/mL$ 농도에서 $79.2{\pm}0.06%$로 BHT$(74.1{\pm}0.15%)$보다 더 활성이 높았고, 추출물의 농도에 비례하여 전자공여 작용과 환원력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SOD 유사활성은 $100\;{\mu}g/mL$ 농도에서 ethyl acetate와 butanol 추출물에서 각각 $25.1{\pm}0.41%$$20.2{\pm}0.13%$로 다른 추출물에 비해 높은 활성을 보였다. $FeCl_2$$CuSO_4$에 대한 항산화 활성도 추출물의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그 활성이 증가하는 경향이었는데, ethyl acetate 추출물은 ascorbic acid보다 항산화 활성이 높았다. 머루 과피 용매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작용은 pH 2.5에서 ethyl acetate$(90.5{\pm}0.75%)$>butanol$(65.9{\pm}2.16%)$>hexane$(58.1{\pm}1.74%)$>chloroform$(55.4{\pm}1.02%)$>water$(40.9{\pm}0.35%)$ 추출물의 순으로 소거작용이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머루 과피의 항산화 활성은 ethyl acetate 추출물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기계식 및 재래식 죽초액의 아질산염 소거 및 전자공여 작용 (The Nitrite Scavenging and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Bamboo Smoke Distillates made by steel kiln and earth kiln)

  • 이범수;최상호;은종방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719-724
    • /
    • 2002
  • 신선한 왕대(Phyllostachys bambuoides bambuoides sieb. et zucc.)를 기계식 탄화로와 재래식 토요를 이용하여 탄화시켜 기계식 죽초액과 재래식 죽초액을 얻고 기계식 죽초액을 증류·정제하여 정제 죽초액을 얻은 다음 각각의 죽초액의 아질산염 소거와 전자공여 효과 및 이들의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을 조사하였다. 죽초액을 $1{\sim}6%$까지 6단계로 희석하여 각 농도에서의 아질산염 소거효과를 비교하였을 때 동일한 pH 하에서 농도가 증가할수록 활성이 증가하였다. 각각의 죽초액이 pH 1.2와 pH 3.0에서 뚜렷한 소거활성을 보였으나 pH가 증가할수록 점차적으로 낮아져 pH가 6.0일 때에는 미미한 상태였다. 각각의 죽초액이 일정한 농도와 pH에서 아질산염 소거효과는 유의적인 차이(p<0.05)를 나타내었으며 기계식 죽초액, 기계식 정제 죽초액, 재래식 죽초액의 순 이었다. 기계식 죽초액, 기계식 정제 죽초액, 재래식 죽초액의 총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은 유의적인 차이(p<0.05)를 보였고 각각 663.4, 571.62, 485.16 ppm이었으며 증류·정제과정에서 함량이 감소되었다. 각각의 죽초액을 $0.2{\sim}1.2%$까지 6단계로 희석하여 각 농도별 반응시간에 따르는 전자공여 작용 효과를 비교하였다. 농도가 증가할수록, 반응시간이 길어질수록 각각의 죽초액의 전자공여 작용 효과가 뚜렷하였고 일정시간 내에서 각 농도에서의 전자공여 작용 효과는 죽초액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기계식 죽초액이 가장 컸고 다음으로 기계식 정제 죽초액, 재래식 죽초액의 순 이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재래식 죽초액이나 기계식 정제 죽초액보다 기계식 죽초액에 페놀성 화합물이 더 많이 함유되어서 나타난 것으로 생각된다.

지충이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 김순영;최선영;조현소;성낙주
    • 한국식품영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영양학회 2004년도 하계 학술 심포지엄
    • /
    • pp.43-43
    • /
    • 2004
  • 해조류는 비타민과 무기질 함량이 풍부하고 저칼로리 다당류의 독특한 구조적인 특성으로 인해 생리활성이 강하여 최근 건강식품으로 각광 받고 있다. 그러나 생리활성과 이용에 체계적이고 학술적인 연구는 의외로 적다. 본 실험에서는 갈조류의 모자반과에 속하는 지충이를 용매별로 추출하여 화학성분을 분석하였고 또, 총페놀 함량, 전자공여작용, Superoxide dismutase(SOD) 유사활성 및 Thiobarbituric acid reaction substances(TBARS)등의 항산화 효과와 free radical 소거작용을 실험하였다. (중략)

  • PDF

원소 황 입자와 활성 슬러지를 이용한 독립영양방식의 퍼클로레이트 제거: 회분배양연구 (Autotrophic Perchlorate-Removal Using Elemental Sulfur Granules and Activated Sludge: Batch Test)

  • 한경림;강태호;강형창;김경헌;서득화;안영희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10호
    • /
    • pp.1473-1480
    • /
    • 2011
  • 퍼클로레이트($ClO_4^-$)는 지표수 및 토양/지하수에서 검출되는 오염물이다. 미생물은 퍼클로레이트를 무해한 최종산물로 환원시킬 수 있으므로 퍼클로레이트제거는 미생물을 이용한 방법이 가장 적절한 것으로 알려졌다. 미생물이 퍼클로레이트를 환원시키기 위해서는 전자 공여체가 필요하다. 퍼클로레이트를 환원하기 위한 기존의 기술들은 전자 공여체로서 유기물을 사용하는 종속영양방식의 퍼클로레이트환원세균을 사용한다. 그래서 종속영양 방식으로 퍼클로레이트를 연속 제거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으로 유기물을 공급해야 하므로 처리비용이 많이 든다. 본 연구에서는 원소 황 입자와 활성 슬러지를 이용하여 독립영양방식의 퍼클로레이트제거가능성을 조사하였다. 입자상 황은 비교적 값이 저렴하고 활성 슬러지는 하수처리장으로부터 쉽게 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회분배양 실험결과 활성 슬러지 미생물은 전자 공여체로서 황 입자가 존재할 때 퍼클로레이트를 제거할 수 있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이러한 퍼클로레이트 분해는 퍼클로레이트가 분해됨에 따라 생성되는 Cl-의 몰 농도를 통해 검증할 수 있었다. 독립영양방식의 $ClO_4^-$ 제거공정에 사용된 황 입자의 표면에 간균 형태의 미생물들이 존재한다는 것을 주사전자현미경을 통해 관찰하였다. 그래서 황 입자가 생물막을 형성하기 위한 담체로도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황입자가 첨가된 $ClO_4^-$ 분해성 농화 배양으로부터 채취한 생물막의 미생물군집조성은 접종균으로 사용된 활성 슬러지의 그것과는 다름이 DGGE 분석결과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