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전이 보

Search Result 6,539,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Development of Convergence Core Technology for Cancer Prognosis from Circulating Tumor Cells (혈중 암세포 기반 암 예후 예측 진단 융합기술 개발)

  • Jung, M.Y.;Lee, D.S.;Park, J.W.;Shin, Y.K.;Kim, Y.D.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9 no.5
    • /
    • pp.105-113
    • /
    • 2014
  • 주치의에게는 암환자의 암 전이 여부가 초미의 관심사다. 암환자의 10명 중 9명이 전이암으로 사망하기 때문이다. 암의 전이 초기에 그 전이 여부를 방사선 진단법으로 가능하지 않다. 혈액을 채취하여 암의 전이 유무를 진단 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이 혈중 암세포는 혈구세포 10억개당 1~100개 정도의 극히 미량이 존재하여 암세포 분리기술이 특별히 잘 개발되어야 한다. 최근 마이크로바이오칩 형태의 분리기술이 큰 기술적 진화를 보이고 있어 본고에 소개하고자 한다. 이 기술은 한 가지 큰 의미를 갖는다. 그것은 암환자의 암 전이 모니터링에 필요한 도구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전이암세포 검출 키트로 전이암세포를 계수 하여 환자에게 투약한 항암제가 적합한지에 대한 답을 의사는 얻을 수 있다. 전이암세포 진단용 마이크로바이오칩 기술이 기존의 영상진단법만큼 중요한 임상 수단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 PDF

만나고 싶었습니다 - 박태원 사장(전, 충남도지회장)

  • Kim, Dong-Jin
    • KOREAN POULTRY JOURNAL
    • /
    • v.49 no.8
    • /
    • pp.121-123
    • /
    • 2017
  • 이 코너는 그 동안 양계산업을 위해 헌신해 온 양계인(관련인)들을 만나 최근의 근황을 들어보고 과거의 추억(업적)을 되새겨 보는 자리를 만들고자 마련하였다. 이번 호는 전 충남도지회장을 지낸 박태원 사장(69세)을 만나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만나고 싶었습니다 - 장대석 회장(전 대한양계협회 회장)

  • Kim, Dong-Jin
    • KOREAN POULTRY JOURNAL
    • /
    • v.49 no.9
    • /
    • pp.125-127
    • /
    • 2017
  • 이 코너는 그 동안 양계산업을 위해 헌신해 온 양계인(관련인)들을 만나 최근의 근황을 들어보고 과거의 업적(추억)을 되새겨 보는 자리를 만들고자 마련하였다. 이번 호는 전 15대 협회장을 지낸 장대석 회장(77세)을 만나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Square Planar Mixed-Ligand Complexes (Ⅰ) : Synthesis and Spectroscopic Property of M(S-S)(N-N) Type Complexes with Ni (Ⅱ), Pd (Ⅱ), and Pt (Ⅱ) (평면사각형 혼합 리간드 착물의 합성과 그 특성 (제 1 보) : Ni (Ⅱ), Pd (Ⅱ) 및 Pt (Ⅱ) 의 M(S-S)(N-N) 형 착물의 합성과 분광학적 성질)

  • O, Sang O;Jeong, Deok Yeong
    •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v.34 no.6
    • /
    • pp.593-599
    • /
    • 1990
  • A series of new, square planar, and mixed-ligand complexes of Ni(Ⅱ), Pd(Ⅱ), and Pt(Ⅱ) have been prepared. From the observation of electronic spectrum for the variation of the ligand substituents, the very intense absorption band in the visible range is by the electronic transition of dithiolene to diimine ligand, HOMO to LUMO. In the various solvent systems the IT band shows the similar behavior to IT transition of mixed-valence dinuclear complexes followed with Hush theory, happens rto dominently by the inner sphere charge transfer transition. The negative solvatochromism represents that the excited-state electric dipole is reduced or reversed by the electronic transition.

  • PDF

Application of transfer learning to develop radar-based rainfall prediction model with GAN(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for multiple dam domains (다중 댐 유역에 대한 강우예측모델 개발을 위한 전이학습 기법의 적용)

  • Choi, Suyeon;Kim, Yeonj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61-61
    • /
    • 2022
  • 최근 머신러닝 기술의 발달에 따라 이를 활용한 레이더 자료기반 강우예측기법이 활발히 개발되고 있다. 기존 머신러닝을 이용한 강우예측모델 개발 관련 연구는 주로 한 지역에 대해 수행되며, 데이터 기반으로 훈련되는 머신러닝 기법의 특성상 개발된 모델이 훈련된 지역에 대해서만 좋은 성능을 보인다는 한계점이 존재한다. 이러한 한계점을 해결하기 위해 사전 훈련된 모델을 이용하여 새로운 데이터에 대해 모델을 훈련하는 전이학습 기법 (transfer learning)을 적용하여 여러 유역에 대한 강우예측모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사전 훈련된 강우예측 모델로 생성적 적대 신경망 기반 기법(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GAN)을 이용한 미래 강우예측모델을 사용하였다. 해당 모델은 기상청에서 제공된 2014년~2017년 여름의 레이더 이미지 자료를 이용하여 초단기, 단기 강우예측을 수행하도록 학습시켰으며, 2018년 레이더 이미지 자료를 이용한 단기강우예측 모의에서 좋은 성능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훈련된 모델을 이용해 새로운 댐 유역(안동댐, 충주댐)에 대한 강우예측모델을 개발하기 위해 여러 전이학습 기법을 적용하고,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과를 통해 새로운 데이터로 처음부터 훈련시킨 모델보다 전이학습 기법을 사용하였을 때 좋은 성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해 여러 댐 유역에 대한 모델 개발 시 전이학습 기법이 효율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고해상도 Icosahedral-Hexagonal 격자 전구모형 GME를 이용한 태풍예측에 관한 연구

  • Lee, Kyung-Min;Oh, Jae-Ho;Majewski, Detlev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304-309
    • /
    • 2008
  • 기존의 태풍예측과 관련된 연구들은 전 지구적인 흐름이 직접적으로 계산되지 않은 중규모 기상모형이나 태풍모형들을 이용하여왔다. 하지만 최근 전 세계적으로 전구 규모의 모형들이 40km 이하의 고해상도 모형들이 개발되어 20km이하의 초고해상도 시물레이션이 가능해짐에 따라 지역적인 기상현상들을 전구모형을 통해서 재현해 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해상도 전구모형을 이용하여 태풍 실험을 하고자 하며, 독일기상청에서 개발된 Icosahedral-hexagonal 격자체계의 GME전구 모형을 이용한 태풍모의 결과를 기상청 태풍 best track과 비교 분석 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모형 분해능은 연직 47layer (7 soil layer 포함), 수평 약 40km와 20km으로 구성되었다. 최근 3년($2005{\sim}2007$)간의 동아시아지역을 지나간 태풍을 대상으로 하였다. 태풍모의 시작시간은 각 TD(Tropical Depression)발생 24시간 전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각 태풍의 소멸 24시간 후까지 모의하였다. GME 모형을 이용한 태풍모의 결과에서 best track의 경우 모의 시작 후 약 168시간 forcast 결과가 매우 유사한 경로를 따라 진행해 가고 있으며, 태풍의 전향이 이루어지는 시각은 ${\pm}3$시간 내외의 오차를 보이고 있다. 태풍경로의 경우 40km 결과에 비해 20km 모의 결과가 best track에 더 가까운 결과를 보이고 있다. 중심기압변화의 경우 40km의 결과가 20km 결과에 비해 변화경향이 유사한 형태를 보이고 있으며, 20km 결과의 경우 중심기압의 변화가 다소 급하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이는 특성을 가지고 있지만 40km결과에 비해 최저 중심기압이 더욱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특히, MANYI case의 경우 관측값 930hPa보다 더 낮은 911.4hPa의 결과를 보이고 있다. 풍속의 경우도 중심기압변화와 유사한 결과를 보이고 있으나, 최대 풍속의 경우 40km 결과에 비해 20km결과가 관측과의 오차범위가 $2{\sim}3\;m/s$ 내외로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GME모형의 경우 태풍(TD) 발생 약168시간 이전에 예측이 가능한 결과를 보인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른 기상모형에서 태풍 강도가 약하게 모의되던 현상이 상당히 개선된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는 20km 고해상도 GME 모형이 태풍예측모형으로 활용이 간능 할 것으로 사료 된다.

  • PDF

제주시에서 배출되는 비점오염물질 유출특성

  • Jo, Eun-Il;Lee, Yong-Du;Kim, Jong-Gu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6.05a
    • /
    • pp.255-256
    • /
    • 2006
  • 토지이용별 비점오염물질 현장 조사한 결과를 보면 토지이용별 강우 유출수의 평균 농도는 대부분 공업지역이 전 항목이 높게 나타났으며 단독 주거지역과 아파트 지역이 낮은 유출 특성을 보였다. 토지이용별 비점오염물질 발생 원단위를 조사한 결과 각 지역별 원단위 값을 보면 대부분 항목이 타지역 조사결과와 유사한 값을 보이나 제주시의 경우 전 항목에 걸쳐 타 지역에 비해 낮은 발생 원단위 값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Neutron diffraction and Massbauer studies on $Sr_2Fe_{1-x}Cr_xMoO_6$

  • 유홍주;김성백;심인보;김철성;최용남;오화숙
    • Proceedings of the Korean Magnestics Society Conference
    • /
    • 2002.12a
    • /
    • pp.106-107
    • /
    • 2002
  • 상온 거대자기저항 물질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double perovskite (A$_2$BB'O$_{6}$) 계 물질은 B-site의 전이금속 윈자 종류에 따라 다양한 특성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4]}$ . 그 중 Sr$_2$FeMoO$_{6}$ 시료가 MR 특성 및 전자기적 특성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Figure 1에 보이는 것과 같이, Sr$_2$CrMoO$_{6}$ 시료가 가장 높은 전이온도를 갖음으로 훌륭한 소자로의 응용 가능성을 보이고 있다. (중략)

  • PDF

초기 배아의 분리할구에서 중기 염색체상 획득 방법에 대한 연구: 염색체 변이로 인한 착상전 유전자 진단에서 보인자와 정상 핵형 구분을 위한 연구

  • 임천규;전진현;민동미;변혜경;김진영;궁미경;강인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Embryo Transfer Conference
    • /
    • 2002.11a
    • /
    • pp.105-105
    • /
    • 2002
  • 염색체의 구조적 이상으로 인한 습관성 유산과 기형아의 출산을 예방하기 위해 착상전 배아에서 할구를 분석하여 정상적인 핵형을 가진 배아만을 이식하는 착상전 유전자 진단 (preimplantation genetic diagnosis, PGD)의 성공적인 임상 적용이 보고되고 있으며, 그 적용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간기의 핵상을 이용한 PGD에서는 형광직접보합법 probe의 제약으로 보인자와 정상적인 핵형을 구분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보다 정확한 PGD를 위해 생쥐 배아를 이용하여 분리한 할구에서 중기 염색체상을 획득하기 위해 미세소관 (microtubule) 형성 저해제를 처리하였으며, 이를 통해 확립된 방법을 인간의 PGD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과배란이 유도된 ICR 생쥐에서 4- 또는 8-세포기 배아를 수획하여 colcemid, nocodazole, vinblastine을 각각 0.1, 0.5, 1.0, 5.0$\mu$M을 처리하고, hoechst 33342로 염색하여 핵상을 관찰하여 최적의 농도를 결정하였다. 또한 각 미세소관 형성 저해제를 혼합 처리하여 가장 높은 중기 염색체상을 획득할 수 있는 혼합 처리를 결정하였다. 이렇게 결정된 혼합 처리 방법을 인간의 체외 수정 및 배아 이식술에서 획득된 3PN 배아에 처리하여 중기 염색체를 획득하였다. Colcemid, nocodazole, vinblastine 모두 1 $\mu$M이 최적 농도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각각 96.3%, 92.0%, 98,4%). 미세소관 형성저해제를 혼합 처리하였을 경우 nocodazole과 vinblastine (각각 1$\mu$M)을 혼합 처리했을 때 중기 염색체 획득률(97.3%)이 가장 높았다. 인간의 3PN 배아에 1$\mu$M의 nocodazole과 vinblastine을 혼합 처리한 후, 113개의 할구를 분석하여 44개(38.9%)의 할구에서 중기 염색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실험 결과를 통해 중기 염색체를 획득하기 위하여 미세소관 형성 저해제를 처리하는 방법은 생쥐의 배아에서는 효과적이지만, 인간의 배아에서는 그 효율이 다소 낮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이 방법을 개선하여 인간의 할구에서 중기 염색체의 획득률을 높이고, 이를 염색체의 구조적 이상에 대한 착상전 유전자 진단에 적용한다면, 보인자와 정상의 핵상을 구분하여 정상의 핵상만을 갖는 배아의 이식을 통하여 더욱 정확한 착상전 유전자 진단을 시행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 PDF

Temporal changes in river channel habitat diversity by large weirs in the Geum River using satellite imagery analysis (위성영상 분석을 통한 금강수계 대형보에 따른 수변서식처 다양성 변화 연구)

  • Ock, Giyoung;Choi, Mikyoung;Kim, Jeong-Cheol;Park, Hyung-Geun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 /
    • v.38 no.4
    • /
    • pp.705-713
    • /
    • 2020
  •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temporal changes of river habitats caused by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the three large weirs (Sejong, Gongju, and Baekje) in the Geum River.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ry taken during three periods (preconstruction, before and after gate operation) were used for habitat analysis. We divided bar area into eight habitat types in addition to water area. Then, we identified the nine habitat types from the satellite imagery and estimated each habitat area. Our results show that after weir construction, large bar areas were dramatically decreased and bareland was nearly absent post gate-operation in all three weirs. However, total bar area and bareland were again increased distinctively soon after weir opening events, especially in the uppermost weir, the Sejongbo. These results suggest that weir opening operations provide a relatively simple channel of more diverse through the process of increasing bar area in a river chann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