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전산화단층촬영법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34초

전산화단층촬영법을 이용한 상악동 측벽의 형태학적 분석 (Morphological Analysis of the Sinus Lateral Wall using Computed Tomography)

  • 김용건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7권3호
    • /
    • pp.285-292
    • /
    • 2011
  • 이번 연구는 전산화단층촬영법 (computed tomography)을 이용하여 상악동 측벽의 두께를 측정하고, 상악동 거상술을 위한 측벽창 (lateral wall window)형성 시 가장 적절한 수직적 위치를 평가하고자 한다. 상악동 거상술이 필요한 30명 환자의 전산화단층촬영 방사선영상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상악동 측벽의 두께는 상악동 하연을 기준으로 수직적 위치에 따라 분류하고, 3회 반복 측정하여 평균을 구하였다. 상악동 측벽의 두께는 상악동 하연 (sinus inferior border, SIB)을 기준으로 상방 2 mm (SIB + 2) 까지는 2 mm 이상으로 관찰되었고, 상악동의 하연을 기준으로 3 mm 상방 (SIB + 3)에서는 2 mm 미만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에서 근거하여 측방 접근법을 이용한 상악동 거상술에서 측벽창의 위치는 상악골의 하연을 기준으로 약 3 mm 상방에서 형성하는 것이 적절할 것으로 사료된다.

개의 혀 뿌리에서 발생한 편평세포암종 (Squamous Cell Carcinoma in the Base of the Tongue in a Dog)

  • 김세은;김승현;심경미;배춘식;강성수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30-33
    • /
    • 2016
  • 혀 뿌리 부위의 종양, 특히 종양이 정상으로 보이는 점막 아래에 위치해 있는 경우 발견하고 진단하기가 어렵다. 전산화단층촬영법, 특히 조영후 영상은 혀의 종양을 평가하고 경부 림프절을 포함한 인근 조직을 평가하기에 유용하다. 그러나 종양을 확진하기 위해서는 조직병리검사가 필요하다. 본 증례는 개에서 혀의 뿌리부터 몸통에 걸쳐 종양이 발생하였으며 환자는 유연과다 및 섭식장애 증상으로 전원되었다. 구강검사 결과 혀의 운동성 장애가 관찰되었으며 전산화단층촬영으로 혀 종양이 확인되었다. 2달 뒤 사후에 개의 혀에서 조직을 채취하여 조직병리검사를 실시한 결과 혀의 종양은 편평세포암종으로 진단되었다.

개의 심기저부 종양의 영상진단학적 특징 (Imaging Diagnosis: Heartbase Tumor in a Dog)

  • 장진화;정주현;윤정희;최민철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48-51
    • /
    • 2008
  • 심한 복부팽만과 호흡 곤란 증세를 보이는 10살의 요크셔 테리어가 내원하였다. 방사선과 초음파 검사로 우심방과 주폐동맥에 인접한 대동맥 주위로 고에코성의 큰 종괴를 확인하였다. 확인된 종양은 심장 기저부 주위에 존재하는 확장성 종양으로 삼첨판 역류, 대량의 복수와 간정맥 확장을 동반한 간종대와 같은 우심 부전 소견을 보였다. 전산화단층촬영법으로 확인된 이 종괴는 전대정맥에서 후대정맥까지 위치한 심장 기저부 주위에 존재하는 크고 비균질성을 띤 종괴였다. 이 종괴는 전대정맥, 심장, 후대정맥 및 흉벽까지 침습되어 있었으며, 세침흡입술을 통한 잠정적인 진단은 Chemodectoma였다. 본 증례로 다양한 진단 영상학적 수단을 통한 심기저부 종양에 대한 특징 및 역할을 알 수 있었다.

정량적 전산화단층촬영법(QCT)과 정량적 초음파법(QUS)에 의한 골밀도측정 비교 (The Comparative Study on Bone Mineral Density Accessed by Quantitative Computed Tomography and Quantitative Ultrasound)

  • 김기범;안성민;이귀원;김성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8호
    • /
    • pp.198-203
    • /
    • 2011
  • 24~69세의 일반검진대상자 106명을 대상으로 골밀도 검사시 최근 사용이 많이 증가하고 있는 QCT와 QUS에 따른 BMD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QCT와 QUS에 의한 골밀도의 측정값은 전체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p>0.05). 성별에 따른 측정방법간의 차이에서 여성에서는 QUS에 의한 검사방법에서 T-score가 유의하게 낮았고(p<0.05). 나이에 따라서는 40세 이상에서는 유의한 범위(p<0.05)에서 T-score의 차이가 있었다. 키 및 몸무게에 따른 차이에서는 특징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BMI값이 22.9이하 그룹에서는 QCT로 검사시 T-score가 유의하게(p<0.05) 낮게 측정되었고 나머지 그룹에서는 검사방법에 따라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와 같이 골밀도의 측정에 있어서는 환자의 성별, 나이, 키 및 BMI에 따라서 측정방법에 따른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특별한 경우에는 여러 검사방법 등을 통하여 정확한 자료를 얻을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전산화단층촬영법을 이용한 하악전돌증 환자의 외과적 악교정술후 하악과두 위치 변화 검토 (EVALUATION OF CONDYLAR DISPLACEMENT USING COMPUTER TOMOGRAPHY AFTER THE SURGICAL CORRECTION OF MANDIBULAR PROGNATHISM)

  • 이호경;장현중;이상한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0권3호
    • /
    • pp.191-200
    • /
    • 1998
  • 본 교실에서 악교정수술을 시행한 하악전돌증 환자 37명(남자13명, 여자 24명)을 대상으로 술전, 술직후, 장기관찰기간동안의 전산화단층촬영법을 이용하여 술전 각 항목치의 평균값 그리고 하악골의 후퇴량 및 술후의 악관절 장애 여부와 하악과두의 위치변화에 따른 상관관계를 검토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두부축방향 전산화단층사진에서의 과두간 거리(MM')는 $84.42{\pm}5.30mm$ 였으며, 장축각은 우측 $12.79{\pm}4.92^{\circ}$, 좌측 $13.53{\pm}5.56^{\circ}$로 좌우 비슷하였으며, 기준선(AA')에서 과두의 외측점은 11.34mm, 내측점은 6.87m 정도 전방에 위치하였다. 관상면 전산화단층사진에서의 과두간 거리(mm')는 $83.15{\pm}4.62mm$였으며, 사축각은 우측 $76.28{\pm}4.28^{\circ}$, 좌측 $78.30{\pm}3.79^{\circ}$로 좌우 비슷하였다. 2. 하악골 후퇴량에 따른 술전, 술후 장기관찰에서의 과두 위치변화를 연구한 결과, Group I에서 하악과두의 전방내측 회전의 양상을 보였고, Group II는 RMD, RCA', LCA'가 감소하여 전내측의 회전양상만이 관찰되었으며, Group III에서는 RCA, RLD, RMD, LMD가 감소하여 우측 과두의 후방내측 회전양상을 보였다. MM' 도 감소하여 하악과두간의 거리도 좁아지는 경향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이 결과로 하악골의 후퇴량이 증가할수록 하악과두의 위치 변화가 많이 나타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3. 술후에 악관절장애를 호소하는 환자 군과 증상을 호소하지 않는 환자 군과 비교시 하악과두의 위치 변화는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으나 Group A군에서는 하악과두가 전내측의 회전양상을 보였으나, Group B 군의 경우는 좌측 과두의 전방외측 회전을 보였으며, 관상면상 단층면에서 LCA'가 많은 감소 양상을 보였다. 이와는 달리 Group C군에서 우측 과두의 후방내측 회전양상을 보였고 RCA'각의 감소 양상을 보였다. 따라서, 하악골의 후퇴량이 많은 군은 과두위치보존술을 이용함에도 불구하고 술후의 과두의 위치가 후방내측 회전을 보였다. 또한 장기관찰의 경우 원래의 관절 위치로 회귀하는 경향은 있었으나 술전의 과두의 위치보다는 증가와 감소의 경향을 보였다. 수술후의 악관절장애 증상을 호소한 군에서 과두축의 변화를 관찰하였기에, 하악의 후퇴량이 많은 경우에는 더욱더 과두보존술식에 많은 주의를 하면 술후의 악관절 장애의 발생율은 감소하리라 사료된다.

  • PDF

Cone beam형 전산화단층촬영법을 이용한 하악과두의 골변화에 관한 연구 (Bone change of mandibular condyle using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

  • 이지운;김형섭;송주섭;김경아;고광준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37권3호
    • /
    • pp.139-147
    • /
    • 2007
  • Purpose: To assess bone changes of mandibular condyle using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 (CBCT) in temporomandibular disorder (TMD)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314 temporomandibular joints (TMJs) images of 163 TMD patients were examined at the Department of Oral and Maxillofacial Radiolog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The images were obtained by PSR9000N (Asahi Roentgen Co., Japan) and reconstructed by using Asahivision software (Asahi Roentgen Co., Japan). The CBCT images were examined three times with four weeks interval by three radiologists. Bone changes of mandibular condyle such as flattening, sclerosis, erosion and osteophyte formation were observed in sagittal, axial, coronal and 3 dimensional images of the mandibular condyle.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12.0. Intra- and interobserver agreement were performed by 3 radiologists without the knowledge of clinical information. Results: Osteophyte (2.9%) was found more frequently on anterior surface of the mandibular condyle. Erosion (31.8%) was found more frequently on anterior and medial surfaces of the mandibular condyle. The intraobserver agreement was good to excellent (k=0.78-0.84), but interobserver agreement was fair (k=0.45). Conclusion: CBCT can provide high qualified images of bone changes of the TMJ with axial, coronal and 3 dimensional images.

  • PDF

전산화단층촬영법을 통한 한국인의 구개 저작 점막 두께에 대한 연구 (Measurement of soft tissue thickness on posterior palatal area by using computerized tomography in Korean population)

  • 송지은;채경준;정의원;김창성;최성호;조규성;김종관;채중규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7권1호
    • /
    • pp.103-113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the thickness of masticatory mucosa in the hard palate as a donor site for mucogingival surgery by using computerized tomography(CT), Thickness measurements were performed in 84 adult patients who took CT on maxilla for implant surgery and 24 standard measurement points were defined in the hard palate according to the gingival margin and mid palatal suture. Radiographic measurements were utilized after calibration for standardization. Data were analyzed to determine the differences in mucosal thickness by gender, age, tooth positions and depth of palatal vaul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Mean thickness of palatal masticatory mucosa was $3.93{\pm}0.6mm$ and females had significantly thinner mean masticatory mucosa($3.76{\pm}0.56mm$) than males($4.04{\pm}0.6mm$)(p<0.05). 2. The thickness of palatal masticatory mucosa increased by aging. 3. Depending on position, masticatory mucosa thickness increased from canine to premeolar, but decreased at the first molar, and increased again in the second molar region(p<0.0001). 4.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ean thickness of palatal masticatory mucosa were indentified between low palatal vault group and high palatal vault group(p>0.05). The results suggest that canine and premolar area appears to be the most appropriate donor site for soft tissue grafting procedure. The measurement of the thickness of palatal masticatory mucosa by using computerized tomography can offer useful information clinically but further studies in as-sessing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method using computerized tomography is needed.

전산화단층촬영법을 이용한 하악 전돌증 환자의 하악지 시상 골절단술후 하악과두 위치변화 분석 (EVALUATION OF CONDYLAR POSITION USING COMPUTED TOMOGRAPH FOLLOWING BILATERAL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 최강영;이상한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8권4호
    • /
    • pp.570-593
    • /
    • 1996
  • 본교실에서 하악지 시상 골절단술을 시행한 하악전돌증 환자 20명(남자 9명, 여자 11명)을 대상으로 술전, 술직후, 장기관찰기간동안의 전산화단층촬영법을 이용한 하악과두의 위치변화와 술전, 술직후, 악간고정제거 24시간후 및 장기관찰기간동안의 측모두부방사선사진에서의 재발과의 상관관계를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두부 축방향 전산화단층사진에서의 과두간거리(MM')는 $84.45{\pm}4.01mm$ 였으며, 장축각은 우측 11.89%5.1 $9^{\circ}$좌측 $11.65{\pm}2.09^{\circ}$로 좌우 비슷하였으며, 기준선(AA')에서 과두의 외측점은 12mm, 내측점은 7mm 정도 전방에 위치하였다. 관상면 전산화단층사진에서의 과두간 거리(mm')는 $84.43{\pm}3.96mm$ 였으며, 사축각은 우측 $78.12{\pm}3.43^{\circ}$ 좌측 $78.09{\pm}6.12^{\circ}$로 좌우 비슷하였다 . 2. 술전후 과두위치 변화(T2C-T1C)는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으나(p>0.05),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장기관찰에 따른 회귀성향(TLC-T2C)에서는 LMD, LLD(p<0.05), RLD, RMD(p<0.01), mm'(P<0.001)는 모두 감소하였다. 3. 측면두부방사선사진상에서 술직후와 악간고정제거 24시간후(T3-T2)에서 하악의 초기재발은 통계적인 의의가 없었으며(p>0.05) 하악전치의 경우만 평균 0.33mm 전방이동하였다(p<0.05). NN'L1, NN'Pog, NN'Gn, NN'Me, over-jet에서 통계적인 유의성이 있었으며(p<0.05), NN'Ll 1.2%, NN'B 5.0%, NN'Pog 2.0%, NN'Gn 9.1%, NN'Me 10.3%의 총재발량을 보였다. 4. 하악골의 술전, 술후 변화량(T2-T1)이 총재발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회귀분석에서 후퇴량이 많을수록 하악골의 총재발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5. 하악골 변화량(T2-T1)과 하악과두 변화량(T2C-T1C, TLC-T2C), 하악과두 변화량(T2C-T1C, TLC-T2C)과 총재발량(TL-T2), 술전 하악과두 형태(T1C)와 하악과두 변화량(T2C-T1C, TLC-T2C), 그리고 술전 하악골 외형(T1)과 하악과두 변화량(T2C-T1C, TLC-T2C)에 대하여 단순 및 복잡회귀분석에서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p>0.05). 6. 술전 하악과두 형태(T1C)가 총재발량(TL-T2)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복잡회귀분석결과 우측과두에서는 과두간 거리가 멀고 장축각이 적고 사축각이 클수록 하악골의 수평적인 재발(NN'Ll, NN'8, NN'Pog, NN'Gn, NN'Me)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p<0.05), 좌측과두에서는 NN'Ll, NN'Me에서 같은 결과를 보였다. 7, 술전 하악과두 형태(T1C)가 술전 하악골외형(T1)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복잡회귀분석결과 우측과두에서는 과두간 거리가 멀고 장축각이 적고 사축각이 클수록 하악골의 수직고경이 큰 것으로 나타났고(p<0.05), 좌측과두에서는 과두간 거리가 멀고 장축각이 적고 사축각이 클수록 수직고경이 크며, 전돌된 양상으로 나타났다(p<0.05) . 8. 술전 하악골 외형(T1)이 총 재발량(TL-T2)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단순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NN'L1, NN'B, NN'Gn, NN'Me, over-jet 둥의 계측점에서 하악골이 전돌된 양상을 보일수록 NN'B에서의 총재발량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또 수평피개량(over-jet)이 클수록 NN'B, NN'Pog, NN'Gn, NN'Me에서의 총재발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따라서 과두보존술을 이용하여 과두를 안정화시키고 난후 악골 형태를 재구성하였을 때 이로 인하여 생기는 하악과두 이동은 미미하여 술후 재발에 크게 영향을 미칠 정도는 아니라고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