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전분함량

검색결과 822건 처리시간 0.022초

쌀귀리 가루의 입도별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 (Effect of particle size of naked oat flours on physicochemical and antioxidant property)

  • 전현일;유선희;송근섭;김영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4권7호
    • /
    • pp.965-974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영양학적 가치가 높은 쌀귀리의 식품산업 이용률을 높이고자 쌀귀리를 입도별로 제조하여 이들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였다. 쌀귀리의 조단백질, 조지방 및 조회분 함량이 각각 15.7%, 10.0% 및 1.8%이었으며, 입도가 작아질수록 이들의 함량은 감소하였다. 주요 유리아미노산은 비필수아미노산 중에서는 cystine(58.3 mg%), ${\beta}$-aminoisobutyric acid(53.8 mg%) 등, 필수아미노산 중에서는 phenylalanine(8.6 mg%)과 histidine (12.2 mg%)이었으며, 입도가 작아질수록 함량은 감소하였다. 총 전분, 아밀로스, 손상전분, 총 식이섬유, ${\beta}$-glucan 및 총 유리당 함량은 각각 56.4%, 21.4%, 11.7%, 11.0%, 4.7% 및 2,555.3 mg%이었으며, 입도가 작아질수록 총 전분, 아밀로스 및 손상전분의 함량은 감소한 반면에 총 식이섬유와 ${\beta}$-glucan의 함량은 증가하였다. 색도는 L 값이 75.3, a 값이 0.3 및 b 값이 13.1이었으며, 입도가 작아질수록 L 값은 증가하였으나 a와 b 값은 감소하였다. 호화특성은 최고점도가 263.8 RVU, 최저점도가 155.6 RVU 및 최종점도가 399.3 RVU이었으며, 입도가 작아질수록 최고점도와 최종점도는 증가하였다. TPC, TFC 및 항산화 활성(DPPH radical assay, ABTS radical cation assay 및 reducing power)은 각각 $237.8{\mu}g/g$, $90.9{\mu}g/g$, 57.3%, 53.4% 및 0.23이었으며, 입도가 작아질수록 항산화 성분 및 항산화 활성은 감소하였다. 한편 TPC와 TFC에 관한 각 항산화 활성의 결정계수(correlation determination coefficient, $R^2$) 값이 각각 0.87 이상과 0.81 이상으로 나타나 항산화 성분과 항산화 활성은 상관성을 보였다.

수분-열처리에 따른 고구마 전분의 이화학적 성질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weet Potato (Ipomoea batatas) Starch by Heat-Moisture Treatment)

  • 송은;신말식;홍윤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0권3호
    • /
    • pp.242-249
    • /
    • 1987
  • 고구마 전분을 분리한 후, 수분 함량을 21%와 27%로 조절하고 $100^{\circ}C$에서 16시간 가열 처리한 고구마 전분과 생전분의 이화학적인 성질을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생전분과 수분-열처리한 전분 입자의 모양은 둥근형과 다각형이었으며, 표면은 매끄러웠다. X-선 회절도에 의한 전분의 결정형은 생전분이 Ca형이었으나, 수분-열처리 후에는 A형에 가깝게 변하였다. 수분-열처리 후 물결합 능력은 증가하였으며 팽화력과 용해도는 감소하였다. 0.1% 전분 현탁액의 광투과도는 생전분이 $65^{\circ}C$이후부터 급격히 증가하였고, 수분-열처리한 전분은 $70^{\circ}C$이후부터 증가하였으며, 그 증가폭은 작았다. 전분의 호화도는 생전분보다 수분-열처리한 전분이 높은 온도에서 호화되기 시작하였다.

  • PDF

수분-열처리에 의한 밤전분의 물리화학적 성질의 변화 (Effect of Heat-Moisture Treatments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hestnut Starch)

  • 박홍현;이규한;김성곤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437-442
    • /
    • 1986
  • 밤전분의 수분을 14,18,21 및 24%로 조절하고 $100^{\circ}C$에서 16시간 가열 처리한 다음 이화학적 성질을 생전분과 비교하였다. 수분-열처리에 따라 결정도, 팽화력 및 용해도는 다같이 감소하였다. 전분현탁액(0.1%)의 광투과도는 $58^{\circ}C$부터 급격히 증가하였으나 수분 (18%) 열처리한 전분은 $63^{\circ}C$부터 광투과도가 증가하였으며 그 증가율은 비처리 전분에 비하여 낮았다. 전분의 호화양상은 수분-열처리에 의하여 초기호화온도는 증가하였고 수분 21%이상 처리한 전분은 최고 점도를 보이지 않았다. 전분의 호화에 필요한 최저수분함량은 생전분이 45%, 수분(18%)-열처리한 전분이 40%이었으며. 호화에 필요한 최저 온도는 모두 $65^{\circ}C$이었다.

  • PDF

가열 조리시 쌀 전분 입자들의 형태학적 변화와 리올로지 특성과의 관계 (Correlation of morphological changes of rice starch granules with rheological properties during heating In excess water)

  • 이영은;엘리자베스 엠 오스만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4권4호
    • /
    • pp.379-385
    • /
    • 1991
  • 12품종의 쌀로 부터 분리 정제한 전분의 2.5% (w/v) 현탁액을 각각 $65^{\circ}C$에서 $95^{\circ}C$까지 $5^{\circ}C$ 간격으로 30분간 가열 조리한 후, 전분 입자들의 형태학적 변화를 주사현미경으로 관찰 하였다. 품종에 관계없이 쌀 전분 입자들은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점진적인 형태학적 변화를 보여주었다. 이들 형태학적 변화는 전분의 팽윤도, 용해도 및 아밀로그라프점성 특성등과 밀접한 연관성을 보였다. 전분 입자로 부터 가용성 물질이 용출되는 것과 팽윤된 전분 입자가 그 자체의 독특한 형태를 잃고 서로 망상구조로 연결되면서 이들 리올로지 특성들의 급격한 증가를 가져왔다. 초기 팽윤 단계에서 전분 입자들의 독특한 구조손실 시기는 각각의 호화온도에 영향을 받았다. 호화 온도 이상의 높은 온도에서 전분 입자들이 삼차원적 망상구조를 형성하는 정도는 아밀로오스 함량이 감소할 수록 망상구조가 더 세밀해지며,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Durian 종자 전분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Durian Seed Starch)

  • 이성갑;김형수;손종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1410-1414
    • /
    • 1999
  • Durian 종자 전분의 입자크기범위는 약 $2.0-10.0\;{\mu}m$ 이었으며 구형과 다각형의 형태를 갖고 있었다. Durian종자, 옥수수, 고구마, 감자전분의 아밀로오스 함량은 28.3%, 27.5%, 20.3% 및 21.7%이었다. Durian 종자, 옥수수, 고구마, 감자전분의 blue value는 0.370, 0.368, 0.332 및 0.338이었으며, 알칼리도는 7.39, 9.02, 7.08 및 5.43이었다. Durian 종자 전분의 팽윤력과 용해도는 감자전분보다 낮았다. Durian 종자자전분의 X-선 회절도에 의한 결정성은 곡류전분과 같은 A형이었다. RVA로 측정한 durian 종자 전분의 호화개시온도 $(76.6^{circ}C)$는 옥수수$(73.0^{circ}C)$, 고구마$(72.3^{circ}C)$, 감자전분 $(70.2^{circ}C)$보다 높았으며 breakdown은 낮은 반면 setback은 높았다.

  • PDF

고사리(Pteridium aquilinum) 뿌리 전분의 이화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1. 전분의 일반 성상 및 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Bracken(Pteridium aquilinum) Root Starch -1. Morphology and Chemical Properties- 중복기사검색)

  • 조재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57-62
    • /
    • 1978
  • 고사리 뿌리 전분의 일반 성상 및 화학적 특성을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각종 현미경으로 전분입자를 관찰한 결과 외형은 장방구형(長方求刑) 또는 누에고치형이었고 입자의 크기는 장경(長徑) $10\mu$, 단경(短經) $8\mu$이고 대부분이 직경 $5-12\mu$범위였다. 전분입자는 중앙에 hilum을 가진 단위(單位)으로서 십자형(十字形)의 birefringence를 보였다. 2. X-선분석에 의한 전분입자의 결정 구조는 전형적인 지하전분의 구조인 B형이었다. 3. 전분에는 인이 150ppm함유되어 있었으며 이는 대부분 amylopectin에 함유되어 있었다. 4. 전분의 비중은 1.49, amylose함량은 22%, ferricyanide number는 0.292, alkali number 11.03 그리고 blue value는 0.4이었다. 5. Amylose의 iodine affinity는 16.1, 분자량은 83,300, amylopectin의 분지도는 3.7%, segment당 glucose unit는 27이었다.

  • PDF

초미세분쇄를 이용한 옥수수 변성전분의 물리적 특성 변화 구명 (Investigation of Physical Property Change in Modified Corn Starch by Ultra Fine Pulverization)

  • 한명륜;김애정;장문정;이수정;김희선;김명환
    • 산업식품공학
    • /
    • 제13권4호
    • /
    • pp.335-340
    • /
    • 2009
  • 본 연구는 초미세분쇄기술을 이용하여 옥수수전분의 입자구조파괴가 이루어졌을 때 분자구조적, 물리적 변화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초미세 분쇄처리 후 옥수수전분의 평균직경은 약 50% 감소가 이루어졌으며 비표면적은 567% 증가하였다. 초미세분쇄처리 전 후의 옥수수전분에 대한 분자량분포를 GPC로 측정한 결과 분쇄 후 저분자량의 Peak II의 면적이 21.0%에서 86.5%로 상승하였다. 손상전분 함량은 각각 9.63%와 83.57%로 초미세분쇄처리에 의하여 크게 증가하였다. 옥수수전분의 경우는 겔(gel)을 형성하였으나 초미세분쇄처리 후에는 전분의 분쇄과정에서 전분입자파괴와 아울러 옥수수전분의 분자량이 저분자화 되면서 겔 형성능력이 크게 저하되었다.

갈색무늬병에 의한 낙엽이 '후지'/M.9 사과나무의 수체생장 및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Defoliation by Marssonina Blotch on Vegetative Growth and Fruit Quality in 'Fuji'/M.9 Apple Tree)

  • 사공동훈;권헌중;송양익;박무용;남종철;강석범;이상규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9권6호
    • /
    • pp.531-538
    • /
    • 2011
  • 본 실험은 '후지'/M.9 사과나무의 갈색무늬병에 의한 낙엽 정도가 수체생장과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실시하였다. 갈색무늬병에 의해 9월말 수관 전체 낙엽율이 10% 이상 되면 가용성고형물 함량이 감소되었고, 30% 이상이면 평균과중이 감소되었다. 과실의 착색과 전분 함량은 과실 주변 잎들의 낙엽 정도가 심해질수록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듬해 개화율 및 과중, 총신초장은 전년도 낙엽율이 높을수록 감소되는 경향이 있었다. '후지'/M.9 사과나무의 과대지에서 갈색무늬병의 발생이 없는 잎은 9월 말에도 광합성속도를 약 $10{\mu}mol{\cdot}m^{-2}{\cdot}s^{-1}$ 이상 유지하여 9월 말 이후의 과실비대 및 가용성고형물 함량 증가에 영향을 미쳤다. 9월말 갈색무늬병반이 전체 잎면적의 50% 이상을 차지한 잎의 광합성속도는 건전한 잎의 30% 수준이었다. 결론적으로 낙엽구들의 과실품질 감소는 과실 내 전분 감소에 의해서 이며, 과실 내 전분 감소는 갈색무늬병에 의해 과실주변 잎들의 광합성속도가 8월 이후부터 감소되었기 때문이었다.

Sodium Stearoyl Lactylate가 아밀로펙틴과의 결합물 형성 및 밀전분의 호화와 노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dium Stearoyl Lactylate on Complex Formation with Amylopectin and on Gelatinization and Retrogradation of Wheat Starch)

  • 장재권;이윤형;이석훈;변유량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500-506
    • /
    • 2000
  • 시차주사열량계(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를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밀전분으로 부터 분리한 아밀로펙틴은 밀전분의 노화특성과 일치된 특성을 나타내었다. 수분함량 8%의 아밀로펙틴과 SSL을 10 : 1의 중량 비율(w/w)로 혼합하여 DSC로 1차 가열과 냉각 후 2차 가열한 결과 $55{\sim}70^{\circ}C$의 온도범위에서 용융 peak를 나타낸 반면 SSL은 $40{\sim}55^{\circ}C$의 온도범위에서 용융 peak를 나타내어 서로 다른 융점을 나타내었다. 또한 아밀로펙틴과 SSL의 혼합물은 가열과 냉각을 반복함에 따라 결정질의 아밀로펙틴 g당 용융 peak의 엔탈피값이 증가되는 결과를 보였다. 전체 수분함량 50%에서 밀전분과 밀전분으로 부터 분리한 아밀로오스와 아밀로펙틴 각각에 대해 SSL을 5 : 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DSC로 1차와 2차 가열한 결과 SSL의 용융 peak 이외에 SSL과 아밀로펙틴의 결합물로 판단되는 $60-70^{\circ}C$ 범위의 가역적인 용융 peak가 관찰되었다. SSL과 아밀로펙틴 결합물은 V 도형의 아밀로오스와 지방 결합물과 차이가 있는 결정질을 나타내는 X-ray diffraction angle$(2{\theta})$ 값을 나타내었다. 전체수분함량 60%에서 SSL은 밀전분의 호화 엔탈피값을 감소시켰으며 아밀로오스와 지방결합물의 용융 엔탈피값을 증가시켰다. 동일한 전체수분함량에서 밀전분과 아밀로펙틴에 대해 SSL을 20 : 1과 10 : 1의 비율로 혼합한 겔의 저장실험은 SSL을 포함한 시료가 SSL을 포함하지 않은 시료보다 노화에 대해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 PDF

컴퓨터 제어장치(制御裝置)를 이용한 모형식품(模型食品)의 건조특성(乾燥特性)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Drying Characteristics of Model Foods Using Computer Controls)

  • 박영덕;장규섭
    • 농업과학연구
    • /
    • 제19권2호
    • /
    • pp.179-186
    • /
    • 1992
  • 감자전분 분리대두단백 수분을 조합하여 만든 모형식품에 첨가제의 종류, 용질의 농도, 건조온도에 대한 건조특성의 변화를, 조직특성은 Universal Testing machine, 색도측정은 Color diffrence meter로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모형식품의 전분 함량이 많아지면 건조시간이 길게 나타났다. 2. 첨가된 용질의 농도가 높아지면 건조시간이 길게 나타났다. 3. 모형식품의 구성성분비($X_4$), 용질농도($X_1$), 건조온도($X_2$), 건조시간($X_3$)의 다중회귀식은 다음과 같다. $$NaCl\;:\;E(MC)=58.282-5.197X_3-15.151X_4-0.145X_2+2.672X_1\;R^2=0.798$$ $$Sucrose\;:\;E(MC)=56.651-7.253X_3-0.183X_2-42.844X_1+3.025X_4\;R^2=0.858$$ 4. 건조된 모형식품의 Hardness는 전분의 함량이 많고 건조온도가 높고 용질의 농도가 높으면 높은 값을 나타났다. 5. 건조된 모형식품의 Hunter L치는 전분의 함량이 증가하면 높게 나타났다. 6. 건조된 모형식품의 Hunter a치는 건조온도가 높을때 높게 나타났다. 7. 건조된 모형식품의 Hunter b치는 전분의 함량이 증가하면 작게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