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전문 간호사

검색결과 441건 처리시간 0.025초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소진, 직무스트레스의 차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ifferences of Burnout, Job stress by General Characteristics of Nurses)

  • 고현민
    • 대한안전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안전경영과학회 2013년 춘계학술대회
    • /
    • pp.337-353
    • /
    • 2013
  • 의료서비스산업은 인구 고령화, 소득 증대, 건강보험의 보장성 강화 등으로 시장이 급속히 확대되는 추세이다. 의료서비스산업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것은 병원으로, 병원은 의사, 의료기사, 간호사, 행정직 등 전문적이고 다양한 직종의 종사자들의 협동작업을 통해 환자들에게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조직이다. 간호사는 많은 직무를 담당하고 있는 다양한 전문 인력 중에서 병원인력의 40%를 차지하고 있으며, 환자에게 제공되는 대부분의 서비스인 치료와 간호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병원인력의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간호사의 잦은 이직과 낮은 생산성은 환자의 치료와 간호업무에 지장을 줄 수 있는데, 소진과 직무스트레스가 간호사의 이직과 생산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소진과 직무스트레스의 차이를 연구하여, 간호사 개인 맞춤별 내부마케팅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소진과 직무스트레스의 차이는 첫째, 소진에 차이가 있는 일반적 특성으로는 연령, 결혼, 근무형태, 직위, 간호사 경력, 근무처, 병상 수로 나타났으며, 둘째, 직무스트레스에 차이가 있는 일반적 특성으로는 연령, 학력, 결혼, 근무형태, 간호사 경력, 근무처, 병상 수로 나타났다.

  • PDF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 의사소통능력, 간호사 이미지가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Major Satisfaction, Communication Skills, Image of Nurses on Nursing Professionalism of Nursing Students)

  • 김유정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8호
    • /
    • pp.265-276
    • /
    • 2020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 의사소통능력, 간호사 이미지와 간호전문직관 간의 관계와 간호전문직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올바른 간호전문직관을 확립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간호대학생의 간호학 전공만족도 정도는 5점 만점에 3.71±0.53점, 의사소통능력 정도는 3.50±0.38점, 간호사 이미지 정도는 3.80±0.52점, 간호전문직관 정도는 3.70±0.56점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전문직관 정도는 나이(F=4.761, p=.010), 간호학 선택동기(F=2.584, p=.038)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Tukey 사후검증결과 나이에서는 20~24세가 30세 이상보다, 간호학 선택동기에서는 적성에 맞아서가 높은 취업률보다 간호전문직관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간호전문직관은 전공만족도(r=.531, p=.000), 의사소통능력(r=.531, p=.000), 간호사 이미지(r=.836, p=.000)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대상자의 간호전문직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간호사 이미지(β=.705, p=.000), 의사 소통능력(β=.136, p=.001), 전공만족도(β=.133, p=.002) 순이었고, 이러한 변수들은 대상자의 간호전문직관을 72.8% 설명하였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올바른 간호전문직관 확립을 위해서는 간호사의 이미지를 개선할 수 있는 프로그램과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을 높여 간호학 전공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의 적용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 Practical Performance Comparison of Nurse between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 and General Service Ward

  • Cho, Yun-Hee;Cho, Eui-young;Kang, Yea-ji;Oh, Min-kyung;Lee, Ju-young;Kim, Sun-hee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10호
    • /
    • pp.95-102
    • /
    • 2020
  • 본 연구는 간호간병통합병동과 일반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의 업무수행능력 차이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D광역시의 S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185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간호전문직관은 윤은자 등(2005)이 개발한 간호전문직관으로, 업무수행능력 정도는 이원희 등(1990)이 개발한 임상수행능력 측정도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자료는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Duncan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간호간병통합병동 간호사가 일반병동 간호사보다 간호전문직관이 높게 나타났고, 간호간병통합병동과 일반병동의 간호사 모두 간호전문직관이 업무수행능력 향상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향후 간호사의 간호전문직관을 정립하는 방안을 모색하여 간호업무의 수행능력을 향상시키는 방안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정신전문병원 간호사의 감성지능, 의사소통능력, 스트레스 대처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the Emotional Intelligence,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Stress coping on Turnover Intention in Psychiatric Nurses)

  • 강혜승;김윤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141-151
    • /
    • 2016
  • 본 연구는 정신전문병원 간호사의 감성지능, 의사소통능력, 스트레스 대처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함이다. 정신전문병원에 근무중인 간호사 16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5년 02월 02일부터 02월 27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IBM SPSS 20.0 Program을 이용하여 독립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정신전문병원 간호사의 이직의도는 감성지능(r=-.638, p<.001)과 스트레스 대처방식(r=-.649, p<.001), 의사소통능력(r=-.694, p<.001)으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정신전문병원 간호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의 설명력은 총 54.5%였다. 따라서 정신전문병원 간호사의 스트레스 대처방안을 다양하게 모색하여 감성지능 향상,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키는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전문간호사의 직무만족 및 직무수행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of Advanced Practice Nurses)

  • 김상돌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2호
    • /
    • pp.6146-6154
    • /
    • 2013
  • 본 연구는 국내 전문간호사의 직무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전문간호사의 직무만족 및 직무수행에 관한 실태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는 한국간호교육평가원에서 시행된 '2009년 전문간호사 직무만족도 조사'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2005년부터 2008년까지 전문간호사 자격시험에 합격한 452명으로부터 얻었다. 자료분석은 SPSS 1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 t-test 또는 ANOVA를 실시하였다. 전문간호사의 직무만족도는 평균 2.94점/5.00점으로 나타났다. 전문간호사의 자격분야와 동일한 직무를 수행하는 전문간호사가 그렇지 않은 전문간호사에 비해 직무만족(t=.23, p<.001), 임금상승(t=2.23, p<.05), 직급변화(t=2.56, p<.05), 전문적인 직무수행(t=10.52, p<.001), 상사와 동료와의 신뢰감 상승(t=5.31, p<.001), 직무수행에 대한 자신감 상승(t=5.07, p<.001) 등에서 각각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정부와 간호계는 전문간호사들이 자격분야와 동일한 직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전문간호사의 적절한 인력수급, 보험수가 정책 마련 및 직무개선 등과 같은 노력이 요구될 것으로 사료된다.

성폭력 발생시 법의간호사의 역할 (The role of Forensic Nurse in the situation of Sexual Assault)

  • 육지영;곽정식
    • 대한수사과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31-44
    • /
    • 2006
  • 해마다 늘어만 가고 지능화되어 가는 성폭력 범죄에 의료인으로서 간호사의 역할이 매우 중요함에도 아직까지 한국에서는 실제적으로 간호사의 역할이 제한적이다. 현재 간호사는 상담소에서의 상담이나 학교나 지역사회에서의 성폭력 방지와 예방 교육을 하고 있으나 피해자 발생 초기 대응시 실제적이고도 즉각적인 도움은 주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미국 등 선진국에서는 전문적인 소양을 가진 성폭행 전문 간호사들을 교육하고 배양함으로써 증가하는 성폭행 피해자들에게 즉각적인 의학적 처치와 위기중재에 대한 전문적인 대응으로 성폭력에 대한 법적기소와 대응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반해 현재 한국은 성폭행 피해자와 관련된 의료적 대처에 대한 관련 교육 기관이나 의료 기관이 없으며 의료기관내 간호사의 역할도 미비한 게 현실이며, 성폭력 담당 기관에서조차도 관련 교육을 받은 의료진에 의한 성폭력 피해자에 대한 초기 대응 및 증거수집 및 체계적인 증거 및 자료 확보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하루 빨리 우리 실정에 맞는 영역을 설정, 교육과정을 개발하여 성폭행 전담 간호사의 양성이 필요하며, 각 성폭력 담당 기관에서도 전문적인 법의간호사에 의한 피해자 관리가 필요하다. 전문적, 체계적인 커리큘럼을 통해 양성된 간호사에게 각 부서의 인증 및 자격을 부여하여 성폭력 관련 기관에서 의무적 배치 등으로 효율적인 처치 및 간호제공을 할 수 있는 법률적 제도 보완 역시 절실하다. 또한 정부 및 의료기관과 사회단체들이 협력하여 효과적이고 공신력 있는 전문양성 기관을 마련하여 전문적이고 훈련된 성폭행 전담 법의간호사의 배출이 요구된다고 사료된다. 나아가 더욱 세분화된 양질의 의료 서비스를 위해 아동 및 청소년 상대 성폭력 전담 간호사의 도입 및 양성이 필요할 것이다.

  • PDF

간호대학생의 간호사 이미지, 전문직 자아개념 및 간호전문직관과의 융복합적 관계 (A Study of Convergence Relationships among Nurses' Image,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Nursing Professionalism in Nursing Students.)

  • 이은선;박명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호
    • /
    • pp.311-320
    • /
    • 2017
  • 본 연구는 간호 대학생을 대상으로 간호사 이미지, 전문직 자아개념 및 간호전문직관의 관계를 확인하고, 간호전문직관 정립을 위한 효율적인 간호교육의 방안을 모색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G광역시 일개 대학에 재학중인 292명의 간호 대학생이었으며, 2015년 11월 11일부터 11월 15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는 SPSS 21.0을 이용하여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Stepwise Multiple linear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간호전문직관과 간호사 이미지(r=.821, p<.001), 전문직 자아개념(r=.701, p<.001)과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간호사 이미지, 전문직 자아개념 및 학년을 포함한 변수가 간호전문직관을 총 57.2% 설명하였다. 따라서, 긍정적인 전문직관을 형성시키기 위해서는 간호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시, 본 연구결과에서 나타난 요인들을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겠다.

간호사의 윤리적의사결정 자신감 영향요인에 대한 융합적연구 (Converged Study of Influencing Factors on Perceived Ethical Confidence in Nurses)

  • 임미혜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6호
    • /
    • pp.75-84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사들의 윤리적의사결정 자신감, 인성, 간호전문직관 및 도덕적 민감성 정도를 분석하고, 윤리적의사결정 자신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융합적으로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D, S시 소재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174명으로, 연구 자료는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간호사들의 윤리적의사결정 자신감 정도는 중간정도이었으며, 인성, 간호전문직관, 도덕적 민감성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윤리적의사결정 자신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인성(${\beta}=.350$, p<.001), 간호전문직관(${\beta}=.172$, p<.001), 도덕적 민감성(${\beta}=.134$, p<.001)임을 확인하였고, 이들의 설명력은 25%이었다. 따라서 간호사의 윤리적의사결정 자신감 향상을 위해서 임상현장에서 인성, 간호전문직관 및 도덕적 민감성 향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COVID-19를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간호사 이미지, 전공만족도, 간호전문직관, 불안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Image of Nurses, Major Satisfaction, Nursing Professionalism, and Anxiety among Nursing students in University who experienced Covid-19)

  • 소정현;김민호;홍소연;황재윤;윤현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1호
    • /
    • pp.213-221
    • /
    • 2023
  • 본 연구는 COVID-19를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간호사이미지, 전공만족도와 간호전문직관, 불안 간의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은 2022년 5월~7월까지 경기도 S시 간호대학생 23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 대상자의 간호사 이미지는 간호전문직관(r=.635, p<.001) 및 전공만족도(r=.581 p<.001)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났고 간호전문직관은 전공만족도(r=.504, p<.001)는 양의 상관관계를 불안(r=-.143, p=.030)은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COVID-19를 경험한 간호대학생은 간호사 이미지, 전공만족도, 간호전문직관을 높이고 불안을 낮추기 위해 위한 다양한 중재 프로그램이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국내 간호전문직관 연구 주제 동향: 텍스트네트워크분석과 토픽모델링의 융합 (Trends in the Study of Nursing Professionals in Korea: A Convergence Study of Text Network Analysis and Topic Modeling)

  • 박찬숙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9호
    • /
    • pp.295-305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에서 발표된 간호전문직관 연구 주제 동향을 양적 내용분석을 통해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학술논문수집, 단어 정제 및 추출, 자료 분석의 절차를 수행하였다. 351편의 논문을 수집하여 영문초록에서 단어를 추출하여 텍스트네트워크를 개발하였고, 네트워크분석과 토픽모델링을 융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핵심 주제는 간호사, 간호전문직관, 간호학생, 간호, 전문직자아개념, 보건의료인, 만족, 임상역량, 자기효능감 등이었다. 토픽모델링을 통해 간호사 전문직관, 간호학생 전문직관, 간호전문직 정체성, 간호역량의 토픽그룹을 파악하였다. 시간이 흘러도 핵심 주제는 변화가 없었지만, 1990년대 역할갈등, 윤리적 가치, 2000년대 셀프리더십, 사회화, 2010년대 임상실습스트레스, 지지체계와 같은 주제들이 부상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국내에서 임상간호사와 간호학생의 간호전문직관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발표되고 있었으나, 간호전문직관 형성 및 향상에 효과적인 다차원적인 중재 전략을 모색한 연구는 부족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