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전문성 개발 프로그램

Search Result 249,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과학교사의 학생 평가 전문성 신장을 위한 자기 진단 프로그램 개발 연구 -지구과학 내용을 중심으로-

  • Kim Dong-Yeong;An Hui-Su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a
    • /
    • pp.83-88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교사 스스로 느끼는 평가에 대한 거부감을 최소화하면서 바람직한 평가 전문성 신장 방향과 방법을 제공할 수 있도록 과학교사를 대상으로 한 학생 평가 전문성 자기 진단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자기반성적 관점에서 과학교사 스스로 자신의 학생 평가 전문성을 진단할 수 있는 도구와 이를 이용하여 얻은 진단 결과를 바탕으로 학생 평가 전문성 수준을 가늠해 볼 수 있는 학생 평가 전문성 등급 평정 척도와 학생 평가 전문성 신장을 위한 안내로 구성되어 있다. 이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과학교사의 학생 평가 전문성의 개념을 탐색하고, 바람직한 학생 평가 전문성 신장의 방향과 방법을 모색하였다. 또한 과학교사의 학생 평가 전문성 요소를 추출하여 범주별로 정리한 다음 학생 평가 전문성 요소별로 구체적인 수준과 상태를 제시한 과학교사의 학생 평가 전문성 기준을 마련하였다. 마련된 기준을 근거로 과학교사의 학생 평가 전문성 자기 진단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와 더불어 수차례의 과학교육전문가 검토 및 협의, 학교 현장 교사들의 검토 및 협의를 거치면서 수정${\cdot}$보완하는 과정을 거쳤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과학교사의 학생 평가 전문성 자기 진단 프로그램에는 진단 내용에 과학교사의 평가에 관한 지식과 더불어 실무적인 능력과 실제로 행하고 있는 평가의 실천 내용이 포함될 수 있도록 노력하였다. 또한 교사 스스로 자신의 평가 전문성 수준을 가늠해 볼 수 있도록 전형적인 응답 유형과 채점 기준, 해설 및 평가 전문성 등급 평정 척도를 제시했고 진단 결과를 바탕으로 평가 전문성의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고 신장시킬 수 있도록 간략한 전문성 신장을 위한 처방과 평가 지향에 따른 교사의 전형적인 유형을 제시하여 자기 진단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교사가 전문성 개선 방향과 방법을 설정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했다. 본 연구는 과학교사 자신의 학생 평가 전문성에 대한 환심을 높이고, 이를 진단하고 신장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과학교사의 학생 평가 전문성 신장을 위한 방안을 마련하려는 데에도 좋은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를 위해 과학교사의 학생 평가 전문성 진단 프로그램에 제시된 전문성 평정 기준을 좀 더 객관화하고 보완할 수 있도록 많은 교사들에게 이 프로그램을 사용해 보게 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진단 운항을 제작하는 데 있어 지구과학 내용을 소재로 사용하였으나 본 연구에 제시된 진단 문항 제작에 관한 해설을 참고하여 다른 과학교과 내용을 소재로 한 진단 문항 제작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PDF

지구과학교사의 학생 평가 전문성 자기진단 프로그램 개발

  • Kim, Dong-Yeong;An, Hui-Su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9a
    • /
    • pp.213-219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교사의 전문성 영역의 한 부분인 학생 평가 전문성을 교사 스스로 진단해 보고 진단 결과에 대해 적절한 처방을 제공받을 수 있는 교사의 학생 평가 전문성 자기진단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 연구와 문헌 조사를 통해 교사의 학생 평가 전문성을 구성하는 요인을 규명하고 이를 범주화하여 학생 평가 전문성 진단 도구를 구안하였다. 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 구성 요인은 1990년에 미국의 AFT(American Federation of Teacher), NEA(National Education Association), NCME(National Council on Measurement in Education)가 공동으로 발표한 ‘학생 평가를 위한 교사의 평가전문성 기준(Standards for teacher competence in Educational Assessment of Student)’ 7가지를 연구자가 진단 도구 개발에 적합하도록 ${\circled1}$평가 방법의 선정, ${\circled2}$평가 도구의 개발, ${\circled3}$평가 실시?채점 및 성적 부여, ${\circled4}$평가 결과의 해석?분석?활용?의사소통의 4개 영역으로 재구성하였다. 진단도구를 개발하는데 있어서는 전문성 구성 요인별로 설문 형식의 질문에 답하고 이를 종합하여 점수를 매기는 방식보다는 구체적인 상황과 사례를 제시하고 이에 대해 평가를 해보게 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평가 능력을 실질적으로 진단할 수 있게 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교사가 외부로부터 평가 받는데 소극적인 점을 감안하여 교사 스스로 자기를 진단할 수 있는 도구를 제공하고자 했으며, 진단 도구를 통해 밝혀진 결과에 대해 처방이나 안내를 함께 제공하여 교사가 자신의 평가 전문성을 제고하는데 보다 적극적으로 나설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개발하려 하였다. 또한 이 프로그램을 교사가 활용하는 과정에 대한 조사 연구를 통해 궁극적으로는 교사의 학생 평가 전문성 신장을 위해 필요한 외부 지원이 무엇인지 추출하고 이러한 지원 체계와 교사가 능동적으로 이어질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 PDF

An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and Needs of the Contents of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교사 전문성 개발 프로그램의 콘텐츠별 필요성 및 효과성 인식 분석)

  • Song, Kyoung-oh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9 no.10
    • /
    • pp.1-10
    • /
    • 2019
  • Recognizing the necessity of content-centered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in a rapidly changing educational environments, this study analyzed the contents of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in terms of teachers' participation by program contents and teachers' perception of the necessity and the effectiveness of such program contents. Employing Teaching and Learning International Survey(TALIS), this study analyzed the perception of 4,000 Korean secondary school teacher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ograms with the highest teacher participation were mainly subject-centered while the teacher participation rates on the newly required contents such as ICT, intercultural counseling, school management and administration, and new job skills were low. Besides, when teachers were asked to identify the content areas where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s are needed, the level of teachers' perception of the programs with low participation rates was accordingly low. Lastly, this study implies that since the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serve as a determinant on the types of the contents that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s are needed and on the teachers' perception of the effectiveness of such contents, the course of teacher development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when the contents of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are developed.

A study on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mathematics teachers : Based on the investigation of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in foreign countries (수학교사 전문성 개발을 위한 고찰 : 국외 수학교사 전문성 개발 프로그램 사례를 바탕으로)

  • Kwon, Na-Young;Lee, Eun-Jung;Park, Mi-Mi;Park, Jin-Hyeong
    •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 /
    • v.22 no.3
    • /
    • pp.387-400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ways to improve teacher training programs for mathematics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in Korea. To do so, we first investigated current programs for in-service mathematics teachers in Korea. Then five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for mathematics teachers in foreign countries were searched and described, which have clear concepts of professionalism and distinct strategies in terms of their aims, processes, focal points, financial supports, etc. We then analyzed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and the types of each program. Based on the analyses, we finally discussed what we learned to make mathematics teacher training programs better for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in Korea.

  • PDF

Mathematics Teacher's Development of TPCK (수학 교사의 테크놀로지 교수 학습 지식(TPCK) 개발)

  • Lee, Kwang-Ho
    •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 /
    • v.10 no.2
    • /
    • pp.247-262
    • /
    • 2007
  • TPCK is the knowledge of intersection in mathematics, technology, and pedagogy. This study investigated a teacher's change of his TPCK. He participated in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which was designed to develop mathematics teachers' TPCK.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was based on using spreadsheets in teaching mathematics. The researcher suggests a consideration for the integration of technology in mathematics education and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The program consisted of a four week summer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and three actual mathematics classroom teaching. Ten teachers took part in the program. One teacher who changed his TPCK most was selected to investigate what made it change most. Following teaching practice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in changing his TPCK.

  • PDF

Promoting Teacher Learning: Implications for Designing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수학교사의 수업전문성 신장을 위한 교사 연수 프로그램 개발의 기본 관점)

  • Kim, Goo-Yeon
    •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 /
    • v.13 no.4
    • /
    • pp.619-633
    • /
    • 2010
  • To offer insights in organizing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to promote teachers' substantial ongoing learning, this paper provides an overview of situative perspectives in terms of cognition as situated, cognition as social, and cognition as distributed. Then, it describes research findings on how mathematics teachers can enhance their knowledge and thus improve their instructional practices through participation in a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that mainly provides opportunities to learn and analyze students' mathematical thinking and to perform mathematical tasks through which they interpret the understanding of students' mathematical thinking. Further, it shows that a knowledge of students' mathematical thinking is a powerful tool for teacher learning. In addition, it suggests that teacher-researcher and teacher-teacher collaborative activities influence considerably teachers' understanding and practice as such collaborations help teachers understand new ideas of teaching and develop innovative instructional practices.

  • PDF

Exploring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for Science High School Teachers using Partnership with Scientists (과학자와의 파트너십을 활용한 과학고 교사 전문성 신장 프로그램 탐색)

  • Oh, ChangHo;Cho, Hyunjun
    •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 /
    • v.34 no.2
    • /
    • pp.211-224
    • /
    • 2010
  • This research explored the direction of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for science high school science teachers through partnership with scientists. Eighteen science teachers and twenty three experts attended as partners during two weeks program. To find any finding and implication, survey and interview were conducted with participant, and participant observation was conducted to understand interaction between them. It was found that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through partnership with scientists would contribute to increasing expertise of science high school teachers. From findings, it was suggested to use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where scientists participate for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science high school teachers.

  • PDF

Application of TPACK-P Educational Program for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In-service Teachers' (교사의 테크놀로지 교수 내용 지식 향상을 위한 TPACK-P 교육 프로그램 적용)

  • Kim, Seong-Won;Lee, Youngjun
    • Proceedings of The KACE
    • /
    • 2017.08a
    • /
    • pp.217-220
    • /
    • 2017
  • 테크놀로지의 발전에 따라 교육에서도 테크놀로지를 도입하기 위한 움직임이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교육에서는 테크놀로지를 학생들이 학습 과정에서 겪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목적으로 활용하였다. 하지만, 교사들의 테크놀로지에 대한 전문성 부족으로 인하여, 교사들은 수업에 테크놀로지를 도입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테크놀로지를 기반으로 한 교사의 수업 전문성 발달을 위하여 테크놀로지 교수 내용 지식(TPACK)이 도입되었고, 교사의 TPACK 향상을 위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었다. 최근에는 테크놀로지가 가진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새로운 테크놀로지 도구로써 프로그래밍이 주목받고 있다. 따라서 선행 연구에서는 프로그래밍을 기반으로 TPACK 교육 프로그램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김성원과 이영준(2017)에서 개발한 TPACK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색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교사에게 적합한 40차시의 TPACK-P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연구를 위하여 모집한 17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또한, 교사의 TPACK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박기철과 강성주(2014)의 연구에서 개발한 검사 도구를 교육 프로그램 투입 전, 후에 실시하였다. 적용 결과, TPACK-P 교육프로그램을 통하여 교사의 TPACK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이 나타났다. 세부 영역에서는 Pedagogical Knowledge(PK), Technological Knowledge(TK), Technological Content Knowledge(TCK), Technological Pedagogical Knowledge(TPK),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TPACK)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하지만, Content Knowledge(CK)와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PCK)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TPACK-P 교육 프로그램이 모든 영역은 아니지만, 테크놀로지와 관련된 지식과 교사의 TPACK 발달에 효과적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TPACK-P 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교사의 TPACK 변화를 검사 도구를 통하여 측정하였다. 후속 연구에서는 TPACK-P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교사의 수업 전문성의 변화와 학교 현장에서 수업의 변화, 이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을 측정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 PDF

A Development of Backward Design based Software Education Program for Pre-Service Teachers (예비교사를 위한 백워드 설계 기반 소프트웨어 교육 프로그램 개발)

  • Yi, Soyul;Lee, Young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9.07a
    • /
    • pp.203-204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 교사의 소프트웨어 교육 수업 전문성 함양을 위하여 백워드 설계 기반으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있다. 백워드 설계는 학생들의 심층적인 이해를 고려한 수업 설계 기법이다. 백워드 설계 대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차시 당 4시간 수업으로 총 8차시(32시간 분량)의 소프트웨어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는 예비교사의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돕고, 직접 백워드 설계를 기반으로 하는 수업 계획을 실습함으로써 교육과정에 대한 깊은 이해도 도울 수 있다는 점에 의의를 갖는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 개발된 교육 프로그램이 어떤 효과성을 지니는지에 대한 검증이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제한점이 있다. 따라서 추후 연구에서는 효과성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 및 통계적 검증이 요구된다.

  • PDF

Developmental Study of an Inquiry-Based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for In-Service Secondary Science Teachers (현직 중등과학교사의 과학탐구능력 발달을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효과에 대한 인식)

  • Park, Kuk-Tae;Park, Hyun-Ju;Kim, Kyung-Mee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25 no.4
    • /
    • pp.472-479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inquiry-based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for in-service secondary science teachers and to investigate it's application. The inquiry-based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was reconstructed based on SSCS problem-solving model, which is composed of 4 stages of search, solve, create, and share. The 28 science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 SSCS program were investigated as implementing the program. As a result of this study, 8 SSCS modules have developed as the science teachers have searched, solved, created, and shared various situated problems. The science teachers found themselves to have positive perception of SSCS program. The SSCS program was effective in changing the learners' teaching/learning attitude and to develop individual scientific thinking. To make the SSCS problem solving successful and more effective, both science teachers' professionalism and pedagogical knowledge for selecting topic as the levels of learner should be conside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