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and Needs of the Contents of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교사 전문성 개발 프로그램의 콘텐츠별 필요성 및 효과성 인식 분석

  • Received : 2019.08.01
  • Accepted : 2019.09.10
  • Published : 2019.10.28

Abstract

Recognizing the necessity of content-centered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in a rapidly changing educational environments, this study analyzed the contents of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in terms of teachers' participation by program contents and teachers' perception of the necessity and the effectiveness of such program contents. Employing Teaching and Learning International Survey(TALIS), this study analyzed the perception of 4,000 Korean secondary school teacher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ograms with the highest teacher participation were mainly subject-centered while the teacher participation rates on the newly required contents such as ICT, intercultural counseling, school management and administration, and new job skills were low. Besides, when teachers were asked to identify the content areas where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s are needed, the level of teachers' perception of the programs with low participation rates was accordingly low. Lastly, this study implies that since the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serve as a determinant on the types of the contents that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s are needed and on the teachers' perception of the effectiveness of such contents, the course of teacher development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when the contents of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are developed.

이 연구는 교육환경 변화에 부응하는 콘텐츠 중심의 교사 전문성 개발 프로그램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에서 교사들의 전문성개발 프로그램 콘텐츠별 참여 실태와 필요성 및 효과성 인식 수준을 분석하였다. OECD의 교수-학습 국제조사 자료(TALIS)를 활용하여 중학교 교사 4,000명을 대상으로 교사들의 인식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교사들의 전문성 개발 참여율이 가장 높은 프로그램은 주로 교과내용 중심 콘텐츠인 반면에, 새롭게 요구되는 콘텐츠(ICT, 다문화 지도, 학교경영과 행정, 새로운 직업기술)의 경우 교사들의 전문성 개발 프로그램 참여율이 낮았다. 들째, 교사들의 프로그램 참여율이 낮았던 콘텐츠에 대해 필요성 및 효과성 인식 수준 역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교사경력에 따라 전문성 개발이 필요한 콘텐츠와 그 효과성을 달리 인식하고 있어 교사의 발달과정에 따라 전문성 개발 프로그램 콘텐츠를 다르게 접근해야 함을 시사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임종헌, 유경훈, 김병찬, "4차 산업혁명사회에서 교육의 방향과 교원의 역량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교육, 제44권, 제2호, pp.5-32, 2017.
  2. World Economic Forum, New Vision for Education: Fostering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 through technology, 2015.
  3. 강현석, "한국 중등 교육과정의 현실과 교육과정의 과제," 한국교육학회 연차학술대회 자료집, 한국교육학회, 2016.
  4. 신현석, 오찬숙, "교원 현직연수 연구동향 분석: 연구 영역, 주제 및 연구방법을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윤연구, 제30권, 제3호, pp.431-462, 2013.
  5. 윤종혁 외, 교육 2030: 미래 교육과 역량,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016.
  6. 이근호,이광우, 박지만, 박민정, 핵심역량 중심의 교육과정 재구조화 방안 연구,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1.
  7. D. Cohen, Learning Policy: When state education reform works, Yale University Press, 2002.
  8. S. Kelly, T. McCain, and I. Jukes, Teaching the digital generation: No more Cookie-cutter high schools, California: Corwin Press, 2009.
  9. 김이경, 김현정, "국제 비교 관점에서 본 한국 교사 전문성 개발 실태 진단," 한국교육문제연구, 제32권, 제4호, pp.103-119, 2014.
  10. 이성은, 최진영, 송경오, "교직발달단계에 따른 초중등 교사의 연수 요구 분석," 열린교육연구, 제18권, 제1호, pp.127-154, 2010.
  11. 신현석, 전상훈, "교원연수제도의 문제와 개선에 대한 역사적 신제도주의적 분석," 교육문제연구, 제32권, pp.167-192, 2008.
  12. 류근우, "초등교원 연수체제 개편의 방향과 과제," 참마음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제16권, pp.99-135, 2006.
  13. 김진규, "현장적용형 혼합학습 교사연수의 모형과 실천 전략," 교육문화연구, 제17권, 제1호, pp.33-67, 2011.
  14. S. Reeves, A. Goldman, A. Burton, and B. Sawatzky-Girling, "Synthesis of systematic review evidence of interprofessional education," Journal of Allied Health, Vol.39, pp.198-203, 2010.
  15. 전제상, "교원능력개발평가에 따른 교원연수지원 요구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4호, pp.369-394, 2010.
  16. 민찬규, "중등 영어교사 심화연수 효과에 관한 연구," 영어교과교육, 제5권, 제1호, pp.27-45, 2006.
  17. 김영한, "특수 교사의 자기장학 수행수준과 교사효능감에 관한 연구," 특수아동교육, 제8권, 제2호, pp.1-18, 2006.
  18. 이윤식, 강호경, "초등학교 교사의 자기장학 참여와 전문적 발달간의 관계,"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4권, 제1호, pp.55-76, 2007.
  19. 송경오, 허은정, "교사의 공식적 학습기회 효과에 대한 연구 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9권, 제4호, pp.243-268, 2012.
  20. 진동섭 외, "학교컨설턴트 교육내용의 요구분석," 한국교육, 제35권, 제3호, pp.125-143, 2008.
  21. 주현준, "초등학교 교사들의 역량에 대한 교육요구: 경기, 인천 지역을 중심으로," 교육학연구, 제46권, 제1호, pp.101-120, 2008.
  22. 김희규, "교사의 교직발달단계별 학생이해역량 분석,"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제22권, 제3호, pp.35-57, 2018.
  23. 성열관, 서우철, 김성수, 윤성관, 전인적 성장을 위한 학교 교육과정 구성 및 편성방향에 관한 연구, 경기도 교육청 연구보고서, 2014.
  24. 한국교육개발원, 2018년 교육통계연보 , 2018.
  25. P. Palmer, 가르칠 용기, 이종인, 이은정(역), 한문화, 2007.
  26. 김은영 외, 자유학기제의 중장기 추진 전략과 방안: 초중고 운영 확대를 중심으로,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016.
  27. 박찬주, 심춘자, "초중등 교사발달 과정에 관한 사례 연구," 교육학연구, 제40권, 제1호, 197-218,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