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전문가조사

Search Result 2,954,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FOCUS - 2015년 남북관계 현안에 관한 전문가 설문조사

  • 한국시멘트협회
    • Cement
    • /
    • s.206
    • /
    • pp.32-36
    • /
    • 2015
  • 현대경제연구원은 지난 4월 3일부터 13일까지 통일 외교 안보 분야의 전문가 69명을 대상으로 '2015년 남북관계 현안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최근 그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결과에 따르면 전문가 10명 중 8명이 집권 4년차를 맞은 김정은 체제하의 북한이 대체로 안정된 것으로 평가했고, 전문가 10명 중 7명이 올해 안에 남북관계가 개선될 것으로 기대했다. 여기서는 이 앙케트의 주요 내용을 소개하고 시사점에 대해 살펴본다.

  • PDF

Development Scheme of the Domestic Education System for Hydrological Survey Experts (수문조사 전문가 양성을 위한 국내 교육체계의 발전 방안)

  • Han, Hak Young;Jang, Bok Jin;Jung, Sung 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582-582
    • /
    • 2016
  • 최근 이상기후와 높아지는 물 수요 등으로 인하여 물관련 문제가 전 세계적으로 심각해지고 있다. 따라서 많은 국가에서 깨끗한 물을 국민에게 공급하고 물로 인한 재해로부터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국가적 체계와 정책은 이제 당연한 중요과제가 되고 있다. 이러한 물 관련 문제에 대하여 적극적이고 합당한 대안의 의사결정을 위해서는 신뢰도 높은 수문자료가 중요한 기초자료가 된다. 따라서 이러한 수문자료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조직체계, 충분한 예산, 높은 기술력 등과 함께 전문인력이 필수조건이다. 이러한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해서는 교육과 경험이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국토해양부(현재 국토교통부)는 수문조사 전문가 수요를 충족시키고자 2008년 4월 하천법을 전부 개정하여 수문조사 관련 업무 종사자에 대한 교육을 명시화하고 이를 시행토록 의무화하였다. 교육을 수행할 기관으로 한국건설기술연구원(유량조사사업단)과 한국수자원공사(K-Water 교육원)를 선정 후 위탁하여 2009년부터 교육기관별로 매년 2회 이상 수문조사 종사자 교육훈련이 실시되고 있다. 이에 따라 수문조사 관련 업무 종사자는 교육대상자로써 전문인력으로 발전되고 국가로부터 관리되고 있다. 현재까지도 수문조사 종사자는 수문조사 관련 업무에 종사한 날부터 2년 이내에 30시간 이상의 교육을 받아야 하고, 3년마다 재교육을 받아야 함을 규정(하천법시행령 제13조) 하고 주기적인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수문조사 종사자 교육훈련이 처음 실시된 2009년부터 2015년까지 총 1,311명이 수료하였다. 교육수료자수는 최대 277명(2009년)에서 최소 155명(2013년)으로 7년 평균 188명으로 집계되었으며, 이중 재교육수료자는 2015년까지 총 260명으로 집계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수문조사 전문가 양성을 위해 국토교통부에서 실시한 수문조사 종사자 교육훈련의 성과와 현황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국외 수문전문가 양성을 위한 교육관련 선진사례로서 프랑스의 물 전문가를 위한 국립교육센터(CNFME)를 선례로서 조사하였다. 그리하여 향후 우리나라의 수문관련 전문가 양성을 위한 우리나라 교육체계의 발전방안에 대하여 제언하였다.

  • PDF

Core Competence Evaluation Model of Play Worker Based on Delphi Technique (델파이 조사를 통한 놀이 전문가 핵심역량 분석)

  • Park, Hye-Jin;Kim, Yong-Young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 /
    • v.9 no.2
    • /
    • pp.100-107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valuation model to measure the core competences of actual play workers by exploring what competences are necessary for them to provide quality play. Based on literature review, we selected five core competences : knowledge of play, program development, understanding play culture, creativity, and information sharing & applying.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end, a two-round Delphi survey was conducted on 10 play and education experts. The findings drew scholarly consensus on the competences of play workers to have and proposed basic data by developing competences evaluation model to measure them. Each of the key competences has three sub-conpetences, each of which included two behavior elements. Furthermore, this study presented future research directions so that play can be voluntarily planned and supported in a social and cultural context.

장기 원전건설계획의 새로운 방향 - 원자력 전문가 설문 조사의 분석 -

  • 박용남
    • Nuclear industry
    • /
    • v.16 no.12 s.166
    • /
    • pp.14-22
    • /
    • 1996
  • 한국전력공사는 최근 장기 전력수급의 안정화를 위한 원자력 발전 공급 기반 확충에 역점을 두고, 97년도 장기 전력 수급 계획 정책 과제인 $\ulcorner$원전의 적정 비중을 토대로 한 최장기 원전 건설 계획 추진 방안 수립$\lrcorner$을 위한 기초 자료 조사의 일환으로 원자력 전문가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다. 조사$\cdot$분석된 내용을 요약하여 소개한다.

  • PDF

표본조사 교육 및 실습을 위한 하이퍼미디어 전문가시스템

  • 변종석;이범석;남궁평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v.5 no.3
    • /
    • pp.659-673
    • /
    • 1998
  • 표본조사 교육의 효과적인 학습을 위하여 최근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하이퍼미디어 시스템과 전문가 시스템의 특성을 적절히 결합하여 표본조사에 대한 교육과 응용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는 표본조사론의 학습 및 실습을 위한 하이퍼미디어 전문가시스템의 개발을 시도해 보았다. 본 논문에서 구현한 하이퍼미디어 시스템은 멀티미디어 툴과 통계패키지를 결합한 시스템으로써 표본조사에 관한 전문적인 지식이 없고 통계 패키지의 사용에 익숙하지 않는 비전문가들에게 표본조사방법론에 대한 이론 학습 및 실습을 통하여 표본추출과정, 모수 추정, 표본크기의 결정 등 표본조사론 교육을 체계적이고 효과적으로 습득하게 해줄 뿐 아니라 실제 표본 조사된 자료로부터 실시간으로 모수를 추정할 수 있도록 해 주기 때문에 각종 표본조사에 보다 쉽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Study on the Experts' Consciousness Survey for the Establishment of Safety Village in Rural Areas (농촌지역 재난안전마을 구축을 위한 전문가 의식조사 연구)

  • Koo, Won-Hoi;Park, So-Yeon;Choi, Yun-Jeong;Baek, Min-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11a
    • /
    • pp.128-129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농촌지역의 재난안전마을 구축을 위한 핵심요소를 도출하기 위해 첫째, 농촌지역의 재난관리 현황을 알아보았고 둘째, 재난안전 및 마을만들기 관련 전문가를 대상으로 의식조사를 실시하였다. 셋째, 이를 바탕으로 농촌지역 재난안전마을 구축을 위한 중요 요소를 검토하였다.

  • PDF

Korean Terminologies in Expert Systems (전문가시스템 한글용어 안)

  • 권순범;이재규
    •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 /
    • v.2 no.2
    • /
    • pp.85-100
    • /
    • 1996
  • 국내 전문가시스템에 대한 학문적 연구와 응용시스템 개발이 활발히 진행됨에 따라, 전문가시스템 분야 한글용어에 대한 일관성 있는 용어사용의 필요성이 요구되어 있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고 전문가시스템 관련 학계, 산업계, 연구소가 통일된 용어를 사용함으로써 원활한 의사소통에 도움이 되고자, 전문가시스템 한글용어 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안은 국내 인공지능과 전문가시스템 분야의 문헌을 조사하여, 전문가 시스템 분야에서 사용되는 영문용어의 한글용어 대안을 식별하고, 다음과 같은 원칙으로 표준용어를 선정하였다. (1) 원래의 뜻에 충실하여 이해가 쉽도록 한다. (2)기존 문헌의 대다수가 사용하고 있는 용어를 우선적으로 선정한다. (3) 영어발음의 한글표기 보다는 한글용어를 우선한다.

  • PDF

A Policy Direction for Future River Management: Results of Expert and Citizen Recognition Survey (미래 하천관리를 위한 정책방향: 하천관리에 대한 시민과 전문가의 인식 조사 및 비교)

  • Kim, Ik-Jae;Lee, Seung-Soo;Kim, Ji-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7-8
    • /
    • 2020
  • 지속가능한 국가 발전을 위한 물관리 정책은 항상 국정 과제의 중심에 있다. 물관리는 수재해예방, 양질의 안정된 물이용, 충분한 식량생산, 수생태계와 물환경의 보호, 효과적 재정투자 등과 같이 다양한 분야에 계층적이면서도 상호연계성 있는 전문성을 요구한다. 동시에 물관리의 효과와 편익은 경제활동의 기반이 되고 환경보전의 원천이므로 정책의 수요는 정부뿐만 아니라 국민과 더불어 자연으로부터 기인한다. 특히 기후변화의 불확실성 또는 감염병 대발생과 국가적 위기에도 지속가능한 국가 발전을 이행하기 위해서는 시의성 있고 유효한 물관리 정책은 필수이다. 그동안 우리나라 물관리 정책의 세분화 또는 파편화는 물관리 전문성 강화의 효과보다는 비효율성의 결과를 더 크게 생산해 왔었다. 특히 부족한 협력과 조정은 과잉·중복 투자, 비일관적 정책, 비효율적 성과라는 왜곡된 통합물관리 정책 순환이 반복되게 하였다. 최근 정부는 국토교통부의 하천수량(홍수 포함) 및 광역상수도 관리 기능을 환경부로 이관하는 물관리일원화를 추진하여 통합물관리의 발판을 마련하는 계기를 달성하였다. 하지만 비록 정부조직법 개정과 물관리기본법 제정으로 통합물관리 정책의 틀은 마련되었으나, 국토교통부가 하천법 상의 일부 사무를 담당하므로서 하천관리 정책의 복잡성과 다원화는 높아졌다. 따라서 하천의 이용 및 관리에 관한 만족도, 관리주체, 미래상, 물관리일원화 후 정책수요, 기후변화에 관한 인식, 하천관리 참여 의향 등을 조사하는 연구는 시급한 실정이며 향후 하천기본계획, 생태하천복원사업, 소하천정비사업 등과 같은 재정사업의 추진 방향에도 매우 중요한 주제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와 미래 하천의 이용 및 관리, 그리고 정책방향에 대하여 일반 시민(4,500명)과 전문가(168명) 대상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인식의 공통점과 차이를 비교분석하였다. 설문조사의 내용은 3가지 부문(하천이용, 하천관리, 하천정책)으로 구분하여 각 부문별로 세부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일반 시민과 전문가 간의 인식조사 비교 결과, 공통적으로 시민과 전문가는 하천의 바람직한 미래상으로 '깨끗한 수질의 하천'을 가장 높게 선호하였다. 하천관리 우선순위를 묻는 질문에 대한 시민과 전문가의 응답도 대하천, 도랑이나 개울, 중하천, 소하천 순으로 동일하였지만, 1순위와 2순위의 격차는 시민(26.1%)보다 전문가(1.2%)가 낮았다. 또한 시민과 전문가는 하천관리의 주체로 '물전문기관'을 가장 높게 선호하였지만, 전문가는 '물전문기관' 다음으로 중앙부처(20.2%)를 선호하였지만, 시민은 중앙부처(6.8%)를 가장 선호하지 않는 하천관리 주체로 응답하여 두 집단 간의 큰 인식의 차이를 알 수 있었다. 물관리일원화 후 보다 큰 관심을 가져야할 정책으로는 '건강하고 깨끗한 수질'을 시민(38.9%)과 전문가(47.0%)는 1순위로 선택하였으나, 2순위는 시민은 '생태서식공간'(11.6%)을 전문가는 '안정적 수량확보'(20.2%)를 선택하여 두 집단의 인식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Comparison of the Perceptions of Professionals and Consumers on the Product Attributes of and the Expected Benefits from Performing Arts (공연예술상품 속성과 기대혜택에 대한 공연예술 전문가와 소비자의 인식 차이 비교)

  • Nam, Jung-Mi;You, So-Ye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5 no.5
    • /
    • pp.66-77
    • /
    • 2015
  •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difference in the perceptions of the product attributes and the expected benefits for consumers and professionals in the performing arts industry. First, the Delphi method by using email and telephone was used to explore the professionals' perceptions of the attributes of performing arts and the expected benefits. Second, on-line consumer survey was used to explore the consumer perceptions of the attributes of performing arts and the expected benefits. Finally, this study tried to draw some difference of perceptions from both professionals and consumers. Contents of the arts, location of a theater, ticket price, relief of stress, and improvement of lifestyle were found to be commonly important factors for both parties. Among them,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were confirmed in the factors such as the reputations of the cast members and theatres, locations of theatres, and time duration of a performance.

IS Knowledge and Skills Requisite on IS Practitioners : Comparative Study of IS Practitioners' Perception and Recruiters' Perception (IS 실무자에 대한 IS 지식 및 기술 수요: IS 실무자와 채용 담당자의 인식에 대한 비교 연구)

  • Go, Seok-Ha;Lee, Hyeon-U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Industrial Systems Conference
    • /
    • 2008.10b
    • /
    • pp.255-268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IS 채용 담당자들이 한국의 신규 IS 실무자들에게 어느 IS 지식과 소프트웨어/IT 전문 기술이 얼마나 필요하다고 생각하는지에 대해서 실증조사를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 결과에 따라서 IS 실무자들을 초급 전문가, 중급 전문가, 고급 전문가, 그리고 제너럴리스트로 분류하였으며, 조사 결과를 이들 각 집단이 필요로 하는 수준과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는 한국의 IS 채용 담당자들이 IS 채용 담당자들이 전체적으로는 IS 실무자들에게 어떤 지식 및 전문 기술이 필요한지를 잘 파악하고 있으며, 또한 조직의 지식 및 지술 수요에 필요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분석 결과는 또한 IS 채용 담당자들이 기존의 초급 전문가에게 요구되고 있는 정도보다도 더 높은 수준의 "제품-지향성"을 신규 IS 실무자에게 요구하고 있으며, 도리어 중급 전문가에 더 가까운 지식 및 기술 구성을 갖고 있기를 신규 IS 실무자에게 기대하는 사람의 비율이 더 높다는 것을 보여준다. 분석 결과는 한국의 대학이 산업 지식 및 기술 수요에 맞추어 인력을 양성하고 있지 못하며, 이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