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전뇌허혈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21초

전뇌허혈 유발 후 침전극저주파자극 적용이 소뇌의 세포자멸사 억제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Needle Electrode Electrical Stimulation Following Global Ischemia on the Suppression of Apoptosis in the Cerebellum)

  • 왕중산;박주현;문옥곤;김년준;최정현;김지성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12호
    • /
    • pp.1949-1958
    • /
    • 2013
  • 본 연구는 온목동맥의 일시적 폐색에 의해 유발된 전뇌허혈로 인해 발생한 SD 랫드 소뇌 부위의 세포자멸사에 대한 침전극저주파자극(Needle Electrode Electrical Stimulation : NEES) 적용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면역조직화학적검사법을 통하여 조직을 관찰하였다. 연구를 통하여 대조군과 전뇌허혈유발군, 침전극저주파자극시행군의 세포자멸사 관련 인자의 발현정도를 비교하여 분석한 결과 전뇌허혈 후 침전극저주파의 적용은 SD 랫드 소뇌 부위의 c-fos 발현 감소에 유의한 효과를 보였으며, bax, caspase-3의 발현 감소에는 유의한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전뇌허혈 후 침전극저주파자극의 적용은 세포자멸사 관련 인자의 발현 억제에 일부분 효과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Gerbil의 전뇌허혈에 대한 대황의 신경보호효과 (Neuroprotecticve Effect of Rhei Rhizoma on Transient Global Ischemia in Gerbil)

  • Bum-Hoi, Kim;Hyuk-Sang, Jung;Ran, Won;Ji-Ho, Park;Chul-Hun, Kang;Nak-Won, Sohn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74-84
    • /
    • 2002
  • 목적 : 본 실험에서는 gerbil을 이용한 전뇌허혈 동물모델에서 뇌허혈손상 직후 지연성 뇌손상에 대한 대황의 방어효과와 Apoptosis 과정중의 Bax와 Bcl-2 단백질에 대한 조절작용을 관찰하고, TUNEL 염색법을 통하여 대황이 gerbil hippocampus CAl영역의 pyramidal neuron의 세포사에 미치는 영향과 PCl2세포를 이용한 세포배양 모델에서의 대황의 신경방어 효과를 관찰하였다. 방법 : Mongolian gerbil의 총경동맥을 5분간 폐색하여 가역성 전뇌허혈을 유발시킨 후 대황의 전탕액을 하루에 한번 경구 투여하였다. 대황의 신경 보호 효과는 수술 7일 후에 cresyl violet으로 염색하여, 살아있는 신경 세포의 수를 세어 측정하였다. 또, 수술 3일 후에는 면역조직화학적 방범을 통하여 Bax. Bcl-2단백질의 발현과 대황의 신경보호 효과와의 관련성을 알아보았다. 결과: 가역적 전뇌허혈이 일어난 동물군의 경우 hippocampus의 CAl 영역에서 살아있는 신경세포의 수는 $51.0{\pm}2.5개{\;}/mm$에 불과하였으나, 그에 비해 수술 후 7일간 대황을 투여한 동물군은 $106.2{\pm}2.5개{\;}/mm$로 살아 있는 신경세포수가 크게 증가하였다. Apoptosis를 촉진하는 단백질인 Bax의 발현은 3일간 대황을 투여한 동물군의 경우 hippocampus의 CAl 영역에서 현저하게 저해되었고, Apoptosis를 억제하는 Bcl-2 단백질의 발현은 변화가 없었다. TUNEL assay를 통하여 살펴본 결과 대황 투여군의 apoptotic 신경세포사가 감소하였으며 이는 Bax protein의 발현과 유사한 양상을 나타내었다. 결론:대황이 Bax 단백질의 발현을 억제하여 상대적으로 Bax/Bcl-2 자연적 세포사를 억제하여 Mogolian gerbil의 가역성 전뇌허혈 모델에서 신경보호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소속명탕(小續命湯) 추출물(抽出物)이 전뇌허혈(全腦虛血)및 국소뇌허혈(局所腦虛血)에 미치는 영향(影響) (The Effect of Sosokmyung-tang extract on Global cerebral ischemia·Cerebral Infarction by MCA occlusion in vivo)

  • 이경애;신길조;이원철
    • 동국한의학연구소논문집
    • /
    • 제8권1호
    • /
    • pp.107-116
    • /
    • 1999
  • 이 실험의 목적은 소속명탕(小續命湯)에 대하여 KCN(potassium cyanide)으로 유발된 혼수시간과 생존시간을 측정하여 전뇌허혈(全腦虛血)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고, 또한 MCA occlusion 유발시 뇌부종율(腦浮腫率)과 뇌허혈면적(腦虛血面積)을 측정하여 국소뇌허혈(局所腦虛血)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연구하였다. 1. 전뇌허혈 유발실험에서 유의성있는 KCN 유발 혼수시간의 단축, 치사량의 KCN에 대한 생존시간의 연장 효과가 나타났다. 2. 국소 뇌허혈 유발실험(MCA occlusion)에 미치는 효과에서는 뇌허혈면적과 뇌부종율이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성있게 감소하였다.

  • PDF

Mongolian gerbil의 뇌허혈에 대한 현삼의 신경보호효과 (Neuroprotective Effects of Scrophulariae Radix on Cerebral Ischemia in Mongolian Gerbils)

  • 이준환;송미연;이종수;김성수;신현대;정석희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1-11
    • /
    • 2008
  • 목적 : 뇌허혈은 일시적 혹은, 영구적 뇌동맥 폐색에 의한 뇌혈류의 감소로 유발되며, 허혈 부위에서는 복잡한 병태 생리적 과정을 통하여 신경 세포사가 초래되어 비가역적인 신경학적 손상을 일으킨다. 본 연구에서는 모래쥐를 대상으로 일시적인 전뇌허혈을 유발 시킨 후 해마 치상회에서 허혈로 인한 세포사멸을 관찰하고, 현삼(玄蔘)의 투여가 허혈로 유발된 해마 치상회에서 세포사멸에 미치는 영향과 단기 기억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실험하였다. 연구방법 : 세포사멸은 DNA 분절을 나타내는 terminal deoxynucleotidyl transferase-mediated dUTP nick end labeling (TUNEL) 염색법과 단백분해 과정의 마지막 단계에 발현되는 caspase-3에 대한 면역조직화학법을 이용하였고, 단기기억은 step-down avoidance task를 실시하여 평가하였다. 결과 : 본 실험의 결과 일시적인 전뇌허혈은 해마 치상회의 세포사멸을 유의하게 증가시켰으며 단기기억을 감소시켰다. 현삼의 투여는 허혈로 증가된 해마 치상회의 세포사멸을 유의하게 억제하였고, 허혈로 인한 단기 기억의 감소를 유의하게 억제시켰다. 결론 : 본 실험을 통하여 현삼은 뇌허혈로 증가된 세포사멸을 억제하고 단기 기억을 향상시킴을 알 수 있었고, 따라서 현삼은 뇌허혈로 인한 뇌손상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음을 제시하는 바이다.

육일순기탕(六一順氣湯) 추출물(抽出物)이 생쥐의 전뇌허혈(全腦虛血)에 미치는 영향(影響) (The Effect of Yukilsunki-tang extracts on Global Cerebral Ischemia in mice)

  • 정승현;신길조;이원철
    • 동국한의학연구소논문집
    • /
    • 제7권2호
    • /
    • pp.149-154
    • /
    • 1999
  • 생쥐의 전뇌허혈(全腦虛血) 모델에서 potassium cyanide 유발(誘發) 혼수시간(昏睡時間) 및 생존시간(生存時間), 감압성(減壓性) 무효소(無酵素) 부하시(負荷時) 생존시간(生存時間)을 측정(測定)하여 전뇌처혈시(全腦處血時) 뇌순환대사(腦循環代謝) 개선(改善) 효과(效果)를 관찰(觀察)하였다. KCN 유발(誘發) 혼수시간(昏睡時間)의 단축(短縮), 치사양(致死量)의 KCN에 대한 생존시간(生存時間)의 연장(延長), 감압(減壓)에 의한 무산소(無酸素) 부하시(負荷時) 생존시간(生存時間)의 연장(延長) 효과(效果)가 나타났다.

  • PDF

전갈(全蝎) 추출물(抽出物)이 혈전증(血栓症), 전뇌허혈(全腦虛血) 및 뇌세포독성(腦細胞毒性)에 미치는 영향(影響) (Study on the effect of Buthus martensi Karsch extract on thrombosis and brian damage)

  • 백명현;황영근;정지천;강정준;김성훈
    • 동국한의학연구소논문집
    • /
    • 제8권1호
    • /
    • pp.171-190
    • /
    • 1999
  • 본 실험은 전갈 추출물이 어혈병태 모델과 KCN으로 유발된 전뇌허혈, 뇌세포독성 등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전갈은 Dextran에 의해 유도된 혈전으로 감소된 혈소판수, fibrinogen량, hemocrit치를 유의성 있게 증가시키고, 증가된 prothrombin time을 유의성 있게 단축시켰다. 전갈은 thrombin과 ADP에 의해 유도된 혈소판 응집을 억제하였으나 collagen에 의해 유도된 혈소판 응집에는 저해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collagen과 epinephrine에 의해 유도된 pulmonary embolism에 대하여 보호 효과를 나타내었다. 전갈은 KCN에 의한 전뇌허혈 유발 실험에서 혼수시간을 유의성 있게 단축시켰고, Amyloid ${\beta}$ protein(25-35)에 의해 유도된 PC12 세포의 독성에 대하여 보호효과를 나타내었다.

  • PDF

전뇌 허혈성 뇌졸중 (Global Ischemia) 동물 모델 Mongolian Gerbil에 대한 인간 배아줄기세포 이식효과

  • 김광수;심인섭;김은영;정길생;이원돈;박세필;임진호
    • 한국동물번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동물번식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269-269
    • /
    • 2004
  • 배아줄기 세포는 신경퇴행성 질환의 치료 수단으로 많은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풍 동물모델에서 수중미로 학습을 이용하여 중풍 치료제로서 인간배아줄기 세포의 인지 및 기억력 장애에 대한 기능 회복의 효능을 검토하였고, 인간배아줄기 세포의 신경세포 보호효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면역조직화학 염색법을 이용하여 해마내의 세포사멸을 측정하였으며, 인지 및 기억증진의 작용을 규명하기 위하여 아세틸콜린성 신경세포의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