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저온 결합

Search Result 238, Processing Time 0.157 seconds

인접한 대기압 저온 플라즈마 젯 간 결합에 의한 플라즈마 포커싱 현상과 그 특성

  • Kim, Jae-Yeong;Jeong, Gang-Won;Mun, Dae-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3.08a
    • /
    • pp.156-156
    • /
    • 2013
  • 대기압 저온 플라즈마는 간단한 구조 및 제작, 쉬운 조작성, 낮은 온도 특성, 높은 화학적 반응성과 같은 많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플라즈마의 에너지가 낮아 다양한 산업적 응용에 제약을 받아왔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대기압에서 저온 플라즈마의 에너지를 높이는 여러 시도가 있었으며, 그 중 가까이 인접해 있는 둘 이상의 플라즈마 젯들의 결합 현상(plasma jet-to-jet coupling)을 이용하여 플라즈마 강도를 높이려는 시도가 보고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는 유리관을 서로 모아 벌집모양의 배열을 갖는 플라즈마 젯 어레이 장치를 만들어 플라즈마 젯 사이에 상호결합을 유도하여 강한 플라즈마 발광을 발생시켰다. 플라즈마 젯 어레이 장치 중 가운데 위치한 플라즈마 젯은 대기압 플라즈마 젯의 형태를 구현하는 역할을 하고, 가운데를 둘러싼 주변의 여러 플라즈마 젯들은 중앙의 플라즈마 젯에 많은 하전입자를 제공하여 플라즈마 젯의 발광강도를 높이는 역할을 하는 것을 확인했다. 헬륨기체를 사용한 이 플라즈마 젯은 $100^{\circ}C$ 이하의 온도임에도 불구하고 ITO 유리의 유리면을 식각할 만큼 높은 에너지를 가졌다. 이러한 대기압 저온플라즈마 장치에서 플라즈마의 강도를 더 높이기 위해서는 플라즈마 젯 간 결합이 더 많이 일어나는 것이 중요하므로, 이를 위해 주변의 플라즈마 젯의 개수를 높이는 시도를 하였다. 플라즈마 젯 어레이 소자의 중심에 위치한 유리관의 크기를 크게 하고, 주변부의 유리관의 크기를 상대적으로 작게 하여 벌집형태의 배열보다 더 많은 유리관을 주변부에 위치시킨 후 플라즈마를 발생시키고 전기 광학적 특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실험조건에 따라 가운데 플라즈마 젯에서 3배에서 5배 이상 높은 플라즈마의 발광강도를 얻었으며, 플라즈마 젯도 더 안정적으로 발생하였다. 주변부의 유리관의 개수가 증가하면 더 많은 양의 하전 입자들이 플라즈마 결합 과정에 참여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더 큰 플라즈마의 발광강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본 실험은 하전입자의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하는 서로 인접한 플라즈마 젯 간의 결합이 대기압 저온 플라즈마 젯의 플라즈마 발광강도를 높이는 좋은 방법임을 보였다. 이러한 플라즈마 젯 간의 결합은 대기압 저온 플라즈마의 에너지를 높일 수 있는 쉽고 간단한 방법이며, 이 방법을 이용하여 대기압 저온 플라즈마를 표면처리, 표면개질은 물론, 식각 및 증착, 나아가서는 의료/바이오 분석 기술 등 다양한 학문적, 산업적 응용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Influence of Low Temperature Degradation on Bond Strength of Yttria-Stabilized Tetragonal Zirconia Polycrystal Core to Veneering Ceramic (저온열화현상이 지르코니아 코어와 전장도재의 전단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

  • Kim, Ki-Baek;Kim, Jae-Hong
    •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 /
    • v.14 no.1
    • /
    • pp.29-34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low temperature degradation (LTD) on the bonding strength of yttria-stabilized tetragonal zirconia polycrystal (Y-TZP). The push-shear bond test method was used to investigate the core-veneer bonding strength of industrially manufactured Y-TZP core ceramic and manufacturer recommended veneering ceramic. Four groups from ceramic-zirconia specimens (n=28; n=7 per group) were assigned into four experimental aging conditions, namely storage in an autoclave at $134^{\circ}C$ for 0, 3, 5, 10 hours. Bonding strength was obtained using a universal testing machine with crosshead speed 0.5 mm/min.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one-way ANOVA and Tukey's test (${\alpha}=0.05$). In bonding strength test, the group which was treated with LTD showed lower bonding strength than no treated group. The ceramic-zirconia bonding strength was affected by LTD (p<0.05). Digital microscope examination of the fracture surface showed mixed failures with adhesive and cohesive types in LTD with treated Y-TZP groups.

Effects on Bond Strength between Zirconia and Porcelain according to Etching Treatment and Low Temperature Degradation (지르코니아 표면에칭처리와 저온열화현상이 지르코니아와 전장도재의 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

  • Park, Jin-Young;Kim, Jae-Hong;Kim, Woong-Chul;Kim, Ji-Hwan;Kim, Hae-Young
    •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 /
    • v.14 no.2
    • /
    • pp.140-149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etching surface treatment and aging treatment of zirconia on the shear bond strength between zirconia core and veneered ceramic. Four groups of zirconia-ceramic specimens were prepared; 1) NEZ group (no etching zirconia), 2) EZ group (etching zirconia), 3) ANEZ group (aging and no etching zirconia), 4) AEZ group (aging and etching zirconia). The shear bond strength between zirconia and porcelain was measured using Instron Universal Testing Machine. Surface texture with crystalline structure of zirconia surface was examined by the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FE-SEM) with ingredient analysis. The fractured surfaces of specimens were examined to determine the failure pattern by a digital microscope. The mean${\pm}$standard deviation of shear bond strengths were $23.47{\pm}3.47$ Mpa in NEZ, $28.30{\pm}4.34$ Mpa in EZ, $21.85{\pm}4.65$ Mpa in ANEZ, $24.65{\pm}3.65$ Mpa in AEZ group, respectively, and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The average shear bond strength was largest in EZ group, followed by AEZ, NEZ, and ANEZ groups. Most specimens in NEZ group showed adhesive failure and most specimens in EZ, AEZ, and ANEZ group showed mixed failure. Surface of etching treatment group (EZ and AEZ) showed complex micro-structure and irregular surface texture which may facilitate mechanical interlocking, while untreated zirconia surface presented simpler micro-structure. In conclusion, an etching treatment improved bonding strength between zirconia and porcelain by forming mechanical interlocking.

Composition of Lipid Glass and Fatty Acid in Free and Bound Lipids From Mungbean (녹두의 유리 및 결합지질의 조성에 관한 연구)

  • Um, Soo-Hyon;Cheigh, Hong-Si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17 no.2
    • /
    • pp.164-171
    • /
    • 1988
  • The composition of lipid class and fatty acid of free lipids(FL) and bound lipids(BL at low temperature and BL at high temperature) from Mungbean (Phaseolus radiatus, L) was investigated with the chromatographic procedures. The contents of neutral lipid (NL), glycol lipids(GL) and phospholipids(PL) in FL were 89.1%, 7.1%, and 3.7%, on the other hand those of BL were $49{\sim}56%,\;28{\sim}29%\;and\;15{\sim}21%$, respectively. The major components of NL fraction were triglycerides, 1,2-diglycerides and esterified sterol in the lipids of FL and BL. Esteryl steryl glycosides and monogalactosyl diglycerides were observed as major GL components of FI and BL. Of the PL in FL and BL, phosphatidyl ethanolamine, diphosphatidyl glycerides and phosphatidyl choline were the major components. The predominent fatty acids of NL, GL and PL were linoleic, palmitic and linolenic acids. There are a little difference between the compositions of BL at low and high temperature extraction.

  • PDF

Kalina Cycle : Highly Efficient Bottoming Cycle In Connection With A Combined Power Plant (Kalina 사이클 : 복합 발전용 고효율 하부사이클)

  • 박영무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2 no.2
    • /
    • pp.154-170
    • /
    • 1993
  • 복합발전사이클은 서로 다른 온도조건에서 운전되는 두 개의 사이클을 열역학적으로 결합한 발전사이클로서 Fig. 1-(d) 처럼 고온부 사이클에서 배출되는 열량을 저온부 사이클에서 회수하여 전체 시스템효율을 개선하도록 설계되었다$^{1)}$ . 고온부에서 작동하는 사이클을 상부사이클(topping cycle or topper)이라고하며 저온부에서 작동하는 사이클을 하부사이클(bottoming cycle or bottomer)이라고 한다.

  • PDF

Development of Ambient Ionization Mass Spectrometry Imaging for Live Cells and Tissues

  • Kim, Jae-Yeong;Seo, Eun-Seok;Lee, Seon-Yeong;Jeong, Gang-Won;Mun, Dae-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5.08a
    • /
    • pp.229.1-229.1
    • /
    • 2015
  • 생체 시료인 세포나 조직을 분석을 위해 임의로 파괴하거나 훼손하지 않은 본래의 상태에서 세포에 존재하는 다양한 생체분자 물질의 질량과 조성을 분석하고 영상화할 수 있는 대기압 표면 질량분석 이미징 기술을 개발했다. 생체 시료의 표면을 질량 분석을 하기 위해서는 대기압 분위기에서 시료에 열적 손상이 없는 조건으로 시편의 이온화 및 탈착 과정이 이루어지게 하기 위해 저온 대기압 탈착/이온화원으로 저온대기압 플라즈마 젯과 펨토초 적외선 레이저를 결합하여 대기압 이온화원을 제작하였다. 기존에 잘 알려진 저온 대기압 플라즈마 젯 소자는 유리관에 방전기체를 흘려주고 전극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방식으로 제작했으며, 또 다른 대기압 이온화원으로서 근적외선 대역의 고출력 펨토초 레이저 빔을 현미경용 대물렌즈로 집속하여 생체시료에 조사시켰다. 수백 나노미터에서 수 마이크로미터 수준으로 빔을 집속할 수 있는 펨토초 레이저는 금나노로드의 도움으로 생체 시료를 매우 작은 수준으로 탈착하는 데 주로 사용하며, 수십 마이크로미터에서 수 밀리미터 정도의 크기를 가지는 저온 대기압 플라즈마 젯은 탈착된 물질을 이온화시키는데 사용하여, 이 두 가지 이온화원을 결합하여 이온화원으로 사용한다. 시료에서 발생한 이온을 질량분석기 입구까지 잘 끌고 갈 수 있도록 이온 전달관을 설계하고 보조펌프를 장착 사용한다. 이렇게 자체 개발한 대기압 이온화원을 상용 질량분석기기와 결합하여 대기압 분위기에서 시료의 표면을 질량분석할 수 있는 시스템과 측정 기술을 개발했다. 현미경 스테이지에 정밀 2-D 자동 스캐닝 스테이지를 장착하여 질량분석 정보에 공간 정보를 더할 수 있는 질량분석 이미징 기술 방법을 개발하여 생체 시편의 질량분석 이미징을 얻었다. 수분을 포함하는 생채시료로부터 단백질, 지질, 대사물질을 직접 분리하여 분석하는 이 새로운 질량분석법은 기존의 분석법에 비해 훨씬 더 많은 생체분자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공간정보를 더해 영상화할 수 있는 큰 장점이 있다. 대기압 표면 질량분석 기술은 생체시료를 파괴해서 용액화할 필요도 없으며, 진공 챔버에 넣기 위해 필요한 복잡한 전처리 과정 단계를 간략화 할 수 있으며 최종적으로는 살아있는 세포나 생체 조직도 정량 분석이 가능하여 생명과학 및 의료진단 분야에서 응용할 수 있는 분야는 무궁무진할 것이다.

  • PDF

저장기간에 따른 지방산 조성이 다른 콩가루의 품질 변이

  • Hyeon Pil Kim;Hyun Jo;Jeong-Dong L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Conference
    • /
    • 2022.10a
    • /
    • pp.324-324
    • /
    • 2022
  • 식생활이 풍요로워진 우리나라는 국민의 포화지방산 섭취량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데 섭취량을 줄일 필요성이 있다. 최근 우리나라의 콩가루, 두유 시장규모는 건강과 국산 열풍으로 2016년부터 연평균 13%씩 성장 중이며 국산콩 사용량이 두부 다음으로 많다. 콩은 풍부한 단백질과 더불어 건강에 좋은 불포화 지방산함량이 높다. 하지만 높은 불포화지방산 함량은 저장성을 떨어뜨리는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불포화지방산함량이 상이한 3가지 콩을 3종류의 포장재에 밀봉 포장하여 상온과 저온에서 3개월간 저장실험을 하였다. 저장안정성 평가는 유지를 추출하여 산가측정을 하고 가스크로마토그래피(GC)를 이용하여 지방산함량 변화를 확인하였다. 산가는 저장기 간에 따라서 매달 산가가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저장 온도에 따라 초기, 상온, 저온모두 각각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콩 종류에 따라서도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는데 포장재에 따라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저장기간에 따라 콩가루의 지방산 변화는 대찬콩은 저온에서 올레산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호심콩은 상온, 저온 처리구 모두에서 올레산과 리놀레닉산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49-3-1-8 콩은 상온, 저온 처리구 모두에서 올레산, 리놀레산, 리놀레닉산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호심 상온처리구에서 리놀레닉산이 감소한 것을 제외하고는 유의미한 결과값을 얻지 못하였다. 저장 3개월차에 산가는 상온, 저온 처리구 모두에서 호심콩가루가 가장 낮게 나왔는데 이것은 이중결합이 하나라 비교적 안정성이 높은 올레산함량(~80%) 때문으로 보인다. 반면에 49-3-1-8 콩은 이중결합 3개로 가장 산화되기 쉬운 리놀렌산 함량이 비교적 많아 가장 산가가 높게 나왔다. 결과적으로 올레인산 함량이 높은 호심 콩 가루가 가장 저장안정성이 좋을 것으로 보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