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저수로 변화

Search Result 517,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Evaluation of the Contribution Ratio that the Pollution Loads of the Drainage Areas Affect Soyang-lake (배수구역의 유달오염부하량이 소양호 유역에 미치는 기여율 평가)

  • Park, Soo-Ji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5 no.8
    • /
    • pp.5363-5368
    • /
    • 2014
  • This study examined contribution rate on the Soyangho Lake watershed based on the flow regime, and seasonal change was evaluated by calculating the delivery pollution load of the drainage area of Soyangho Lake watershed. According to the contribution rate of the drainage area by the flow regime change, Inbukcheon Creek watershed's SS and T-P entry have recorded abnormal Six month flow and a contribution rate of 46% and 51% during the Low-water flow period. At the same time, the T-P recorded a 49.5% contribution rate and a contribution rate of 48.5% during the Low-water flow period. In sequence, Inbukcheon creek's SS entry recorded a comparatively higher contribution rate than the other drainage area, which are 39.6% and 44.3% during the entire season and 53.8% for T-P, as a result of observing the contribution rate based on the seasonal changes. The T-N at the Naerincheon Creek watershed for the entire season recorded a contribution rate between 39.6% and 44.3%. Overall, Inbukcheon Creek watershed's SS and T-P entry and Naerincheon creek's T-N had a high contribution rate on contaminant spill.

Estimation of Seepage Rate through Core Zone of Rockfill Dam (중심코어형 사력댐의 코어죤 침투량 예측기법)

  • Lee, Jong-Wook;Lim, Heui-Dae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26 no.4
    • /
    • pp.47-58
    • /
    • 2010
  • Seepage rate through the core zone of rockfill dam, estimated from graphical technique and the equation by Sakamoto (1998), is different from the real condition because of neglecting unsaturated flow. With existing method to estimate total seepage rate,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the tendency of total seepage rate changes by reservoir water level change. Steady state seepage rate and the factors affecting the time needed to attain to changes of reservoir water level and saturated hydraulic conductivity and unsaturated hydraulic properties of core material are analysed thorough the 2-D steady and unsteady state seepage analyses of Soyanggang dam. Numerical results revealed that the seepage rate can be expressed by the linear equation form and the value of unsaturated soil parameter n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affecting the seepage rate and the time needed to attain steady state. The estimation method presented in this study can be used by the designer and the personnel of dam safety for convenient estimation of seepage rate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measured seepage rate without 2-D and 3-D numerical analyses.

Spatiotemporal Agricultural Drought Damage and Its Relationship with Hydrometeorological Characteristics of Historical Drought Events for Recent 40 Years (최근 40년간 가뭄사상의 수문기상학적 특성 및 시공간적 변화와 농업가뭄피해)

  • Woo, Seung-Beom;Nam, Won-Ho;Kim, Taeg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392-392
    • /
    • 2020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가뭄의 규모 및 발생 빈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1994-1995년, 2000-2001년 전국적으로 발생했던 가뭄 상황과 달리 2010년 이후의 가뭄은 지역별로 편중되어 내리는 강수때문에 국소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특히, 2011년부터 2018년까지 연속적으로 국지적인 가뭄이 발생하였고, 2017년에는 경기, 충남, 전남지역을 중심으로 극심한 가뭄이 발생하였다. 우리나라의 경우 강수부족으로 기상, 수문학적 가뭄이 발생한다고 하더라도 농업용 수리시설물에 의한 농업용수 공급이 가능하고, 양수장, 관정 등 농업용수 공급의 형태가 다양하기 때문에 실제로 농업현장에서 체감하는 농업가뭄피해는 시공간적으로 상이하다. 따라서, 강수 부족으로 인한 가뭄사상의 발생에 따른 수문기상학적 특성 및 시공간적인 분포 특성과 농업가뭄피해의 발생 현황, 농업용 저수지의 저수율 변화 및 농업용수 이용과의 관계는 향후 농업가뭄의 지역별 가뭄대책 수립에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농업가뭄에 대하여 정량적인 가뭄피해를 분석하기 위하여 지역별 가뭄발생면적 및 쌀 생산량과 가뭄사상의 수문기상학적 특성간의 상관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최근 40년간 강수량, 표준강수지수 (Standard Precipitation Index, SPI), 표준강수증발산지수(Standardized Precipitation Evapotranspiration Index, SPEI) 등의 가뭄지표인자와 쌀 생산량, 농업용 저수지 저수율 자료 등 관련 인자들을 수집하여, 농업가뭄발생 및 피해면적과의 정량적인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 PDF

An Evaluation of the Emptiness Passage Time of the Kuemgang Estuary Reservoir by Two-Step Transition Model (2단계 추이모형에 의한 금강하구호의 공수도달시간의 평가)

  • Lee, Jae-Hyoung;Chung, Mahn
    • Water for future
    • /
    • v.26 no.3
    • /
    • pp.113-124
    • /
    • 1993
  • This study aims at the evaluation of the stationary distribution and the emptiness passage time for the effectiveness of water utility in the Keumgang estuary reservoir by two-step transition model. It was taken discrete Markovian correlated inflows for the joint probability of inflows and storage, and was used binomial distribution for inflows distribution. As the results, it was decreased from 0.952 to 0.904 the emptiness probability of the reservoir stationary distribution during 1952-1980, and from 0.900 to 0.829 during 1981-1989, and the average emptiness passage time was increased from 23 days to 37 days during 1952-1980, and from 29 days to 61 days during 1981-1989 at low state of storage. From this, it is found that the emptiness passage time is varied with the increase of the inflows auto-correlation coefficient in the Keumgang estuary reservoir. Therefore, it is understood that auto-correlation coefficient must be taken into consideration for the evaluation of water utility in a small reservoir at drought time.

  • PDF

Tracking of water level curve for improvement of dam inflow measurement in Youngdam (용담호 홍수기 유입량 산정 개선을 위한 수면곡선 추적)

  • Hwang, Eui-Ho;Kwon, Hyung-Joong;Lee, Geun-Sang;Lee, Eul-R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2233-2237
    • /
    • 2008
  • 기존 댐저수지 유입량 산정은 수위-저수량곡선에 댐축에서 측정된 수위를 적용하여 시간당 저수량변화를 계산한 후 방류량을 감안하여 산정하고 있으나, 특히 홍수시 저수지내의 수위가 균일하지 않아 유입량 산정 시 오차 원인이 되고 있다. 홍수기 댐 저수지의 운영에 있어서 가장 큰 불확실도를 가지고 있는 유입량의 정확한 모의를 위해서는 유역 상류 유입부 유량뿐 아니라 저수지 내에서의 수위관측 필요하며, 또한 기존 방법에 의한 유입량 계산의 오차 규명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GIS를 이용한 저수지의 저수위-저류량곡선 개선 및 댐저수지 구간별 수위관측을 통한 실시간 홍수 유입량 산정 시스템 도입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 현행 댐 저수지에서 운영되고 있는 수위관측소를 포함하여 관측지점을 확대하고 실시간 수위관측이 가능한 통신체계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관측지점의 확대는 기존의 문제점을 해결하는데 있어 주요 지점의 수면 프로파일을 구축하여 호내 유입량 산정에 대한 재검토를 진행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구간별 수위 모의가 가능한 HEC-RAS 모형을 이용하여 저수지 내의 수면곡선 분포를 모의하고 저수지 내에서 관측한 수위자료와 비교하였다. 또한 관측된 수위자료의 체계적인 관리 체계 구축을 위해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하고, 통신망의 안전성 확보를 통한 결측 자료가 발생하지 않도록 USN Gateway와 CDMA를 연동하여 통신망을 구성하였다. 나아가, 댐 저수지 유입량 산정에 대한 재검토와 실시간 수위관측 방법에 대한 신기술 도입을 통하여 물관리 부서에 즉시 적용이 가능하도록 유입량 산정 방법과 센서 기술 적용 방법 및 확장성을 제시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a standard operation of agricultural reservoir (농업용저수지 운영표준안 개발)

  • Lee, Kwang-Ya;Kim, Hae-Do;Joo, Jin-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118-118
    • /
    • 2011
  • 농림수산식품부에서 추진중인 "농업용저수지 둑높이기사업"의 기본 목표는 이 치수측면에서 농업지역 관개용수의 공급과 함께 하류하천 지역용수의 공급이고, 더불어 재해측면에서 취약한 농업용저수지를 보강하는 것이다. 하드웨어적으로는 수자원의 확보를 위해 저수지의 둑을 높이는 방법을 선택한 반면에 소프트웨워적인 물관리 운영의 측면은 운영기법이 정립되어 있지 못하다. 특히, 사업후 용수공급대상이 달라지는 만큼 기존 공급시스템 및 관리방식으로는 효과적인 공급이 될 수 없기 때문에 새로운 체계의 시스템이 필요하고, 확보된 수자원의 배분 관리에 따른 각종 민원 및 사회적 갈등 방지를 위한 기준 검토 및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또한, 최근 부각된 기후변화에 대비할 수 있는 이 치수측면의 운영기준의 마련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농업용 저수지 둑높이기사업을 통해 재개발되고 있는 농업용저수지에 대한 물관리 운영 표준안을 개발하고자 한다. 농업용저수지의 수문학적 특성은 비교적 소규모이고, 하천의 최상류에 위치해 있으며, 유역의 형태별로 유출특성이 지역에 따라 매우상이하다는 것이다. 또한 농업용저수지의 용수공급은 기존에는 관개용 목적의 농업용수공급만을 목적으로 건설되었기 때문에 홍수조절능력이 없으며 지역의 기상에 따라 관개기와 비관개기 그리고 갈수기와 홍수기로 구분하여 저수지를 관리하고 있는 특징이 있다. 농업용저수지의 저수율관리와 방류량 결정이 운영방안의 핵심사항으로 지금까지는 논농업 기간의 용수공급과 홍수기 재해대비를 위한 저수율 조정에 초점이 맞추어져 왔다. 또한 기존 물관리는 특정기간에 집중적으로 방류하고 이앙기가 끝나면 대부분 장마가 시작되어 크게 한발의 영향을 받지 않았으며, 농업용저수지의 공급량 결정도 논농업의 작부체계와 기상조건을 고려한 필요수량 계산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물관리가 비교적 간단하였다. 하지만 둑높이기사업 후 기존 농업용수를 공급함과 동시에 하천유지용수를 연중 공급해야 하기 때문에 경험적 물관리로는 갈수기간 동안의 물관리 및 홍수기 동안의 저수율 조정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따라서 기왕의 경험적 용수공급에서 탈피하고 가이드라인에 의한 방류가 이루어져야 용수목적별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물수지 분석 등 기술적으로 분석해야하는 과정을 종합하여 관리자가 쉽게 운영할 수 있도록 의사지원체계가 구축되어야 한다.

  • PDF

Securing Water Resources Sites within Seok-mun Industrial Complex Watershed (석문 국가산업단지의 자체유역 수원 확보 연구)

  • Noh, Jae-K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327-331
    • /
    • 2010
  • 충남 당진에 위치한 1,200만$m^2$의 석문 국가산업단지의 개발에 따라 용수수요는 $5m^3/m^2$/년를 적용하면 6,000만$m^3$/년 정도 예상된다. 충남 서북부의 다른 산업단지에서 요구되는 용수수요로 물 확보가 크게 대두되고 있으며, 석문 담수호가 조성돼 있지만 수질관리와 용수를 위해 자체유역에 추가로 수원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석문 담수호는 유효저수량 910만 $m^3$, 총저수량 1,461만 $m^3$, 만수위 EL.-1.70 m, 사수위 EL.-3.00 m, 수혜면적 1,546 ha, 유역면적 $252.2km^2$이며, 당진읍의 인구 4만 6천명의 생활용수 회귀수와 유역의 농업용수 회귀수를 고려하여 유입량을 모의하고 담수호의 일별 저수량 변화를 분석한 결과 공업용수를 연간 3,500만 $m^3$ 공급할 수 있으며 2,500만 $m^3$이 부족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상류에 유효저수량 937만 $m^3$, 총저수량 972만 $m^3$, 만수위 EL.86.90 m, 사수위 EL.64.60 m, 수혜면적 1,293.8 ha, 유역면적 $25.9km^2$인 고풍 저수지가 위치하고 있으며, 증고에 의해 총저수량을 1,946만 $m^3$로 증가시켜도 석문 담수호의 용수공급능력은 거의 증가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고풍저수지의 유역배율이 2배 정도가 돼, 증고에 의한 하류 하천 유량은 거의 증가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고풍저수지를 이용한 석문 자체유역의 수원확보는 타당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다른 수원확보를 위한 면밀한 검토가 절실히 요구된다.

  • PDF

Effect of Processing Parameters on the Densification-Behaviors by Low Shrinkage in Clay Materials (점토질소지의 공정제어에 따른 저수축 치밀화효과)

  • 임희진;최성철;이응상;이진성
    • Journal of the Korean Ceramic Society
    • /
    • v.33 no.7
    • /
    • pp.725-734
    • /
    • 1996
  • Shrinkage behaviors associated with forming drying and firing processes could be a driving force for the densification in materials. Low shrinkage-densification behaviors in clay materials have been shown to be highly dependent upon the processing parameters including particle size effect and kinetic behaviors caused by phases transformation characteristics. Chamottes pre-treated at 90$0^{\circ}C$ and 120$0^{\circ}C$ had dominent influence upon shrinkage control of materials during heat-treatment. But Coarse chamotte particles heat-treated at 120$0^{\circ}C$ did not contri-bute to any densification behaviors in clay materials while these added coarse particles could enhance near-net-shape control. Microstructure / property relationships in clay materials have been thought to be directly influenced by optimized characteristics between low shrinkage and densification behaviors.

  • PDF

The Study of safety management techniques for disaster prevention in Agricultural Reservoir (Hydraulic.hydrological evaluations of safety) (농업용저수지 재해예방 안전관리기법에 관한 연구 (수리.수문학적 안정성 평가 중심으로))

  • Park, Ji-Sung;Kim, Meyong-Won;Park, Byong-Jun;Kim, Kyung-Mu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708-708
    • /
    • 2012
  • 국내에는 농업용수 공급을 목적으로 축조된 저수지가 2008년 통계연보기준에 따르면 17,649개소가 있으며, 이 중 3,326개소는 한국농어촌공사에서 관리하고, 나머지 14,323개소는 지자체에서 관리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유효저수량으로 보면 공사관리가 24억4천7백만$m^3$, 지자체관리가 3억2천3백만$m^3$으로 각각 88.3%와 11.7%를 관리하고 있는 셈이다. 경상북도와 같은 산이 많은 지방은 지자체관리가 전체 대비 34.5%인 4,943개소이지만 유효저수량으로 보면 전체 27억7천만$m^3$ 중 8천4백만$m^3$ 3%수준, 지자체관리 대비 26.1%수준의 저수지가 있는 셈이다. 저수지의 축조년도를 지자체관리 저수지의 58%인 8,352개소의 저수지가 1948년 이전에 축조된 일명 '밀가루 댐'으로 불리는 저수지가 대부분이다. 축조된 지 60년 이상 된 시설물은 공용내구연한이 경과한 시설로서 노후손상부위를 복구해야 함은 물론 이상기후에 따른 강우사상의 변화로 설계빈도를 달리하여 재해대비 보강이 필요한 시설이다. 2002년 8월 제15호 태풍 루사나 2003년 9월 제14호 태풍 매미 등에 의해 저수지의 피해가 발생하는 빈도가 점차 늘어가고 있다. 따라서 지자체관리 저수지의 안전관리방안의 마련을 통한 재해대비보강 및 기능강화가 시급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 군 관리 농업용 저수지에 대하여 저수지 준공년도별 설계빈도에 대한 등급 구분 및 홍수배제 능력 등 수리 수문학적 안정성 기준을 설정하여 검토한 결과 1960년대 이전에 축조된 저수지의 경우 50%이상의 저수지에서 안정성에 문제가 생긴 것으로 파악되며, 1970년대에는 38%, 1980년대에는 34%, 1990년대에는 24%로 검토되었다. 이와 같이 안정성에 문제가 있는 저수지는 주기적인 모니터링과 보강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PDF

Assessment of Drought Index considering Dam Water Shortage (댐 갈수를 고려한 가뭄관리지수 산정연구)

  • Kwak, Jaewon;Kim, Keuksoo;Kim, Taeyoung;Ha, Sangbong;Choi, Kyu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311-311
    • /
    • 2018
  • Generally, the water resources in South Korea were supplied from river flow and dam. Among them, the dam is the most important supplier for the residential and industrial water. However, the climate change has caused a setback in water supply chain. The objective of the study is therefore to suggest a drought index consideing dam water shortage for efficiently dam and water resources management. The standardzied balanced index(SBI), which has same concept with the standardzied precipitation index, were suggested. Also, the management index for the dam were established with SSVI and the storage percentage that compared to previous year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