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저강도 운동

검색결과 59건 처리시간 0.022초

만성 뇌졸중 환자의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Low Intensity Resisted and Aerobic Exercise Training on Blood Lipid in Chronic Stroke Patients)

  • 이동엽;조남정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2부
    • /
    • pp.841-844
    • /
    • 2010
  • 본 연구는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저강도의 저항운동과 유산소 운동 훈련을 적용하여 혈액학적 특성인 혈중 지질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뇌졸중으로 6개월 이상 장애를 가진 37명의 환자가 연구에 참여하였고, 저강도의 저항운동군 19명과 유산소운동군 18명으로 나뉘었다. 저강도 저항운동군은 저강도의 저항운동 훈련을 이용하여 50분씩 주 5회, 8주간 실시하였다. 운동 전과 후의 혈액학적 특성인 혈중 지질을 측정하여 본 연구의 효과를 비교하였다. 유산소운동군은 순수하게 유산소 운동만을 실시하였다. 통계처리 방법으로 실험 전 후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대응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다. 모든 통계적 유의수준은 .05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저강도의 저항운동군은 혈액학적 특성에서 TG, TC HDL-C, LDL-C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5), 유산소 운동군에서는 TC와 LDL-C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향후 만성 뇌졸중 환자에게 흥미를 유발하고 기능회복을 효과를 강화할 수 있는 저강도의 저항운동과 유산소성 운동 훈련을 환자의 시기별, 등급별로 개발하여 적용 가능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 PDF

저강도의 저항운동과 유산소 운동 훈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혈중지질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Low Intensity Resisted and Aerobic Exercise Training on Blood Lipid in Chronic Stroke Patients)

  • 이동엽;조남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753-758
    • /
    • 2011
  • 본 연구는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저강도의 저항운동과 유산소 운동 훈련을 적용하여 혈액학적 특성인 혈중 지질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뇌졸중으로 6개월 이상 장애를 가진 37명의 환자가 연구에 참여하였고, 저강도의 저항운동군 19명과 유산소운동군 18명으로 나뉘었다. 저강도 저항운동군은 저강도의 저항운동 훈련을 이용하여 50분씩 주 5회, 8주간 실시하였다. 운동 전과 후의 혈액학적 특성인 혈중 지질을 측정하여 본 연구의 효과를 비교하였다. 유산소운동군은 순수하게 유산소 운동만을 실시하였다. 통계처리 방법으로 실험 전. 후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대응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다. 모든 통계적 유의수준은 .05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저강도의 저항운동군은 혈액학적 특성에서 TG, TC HDL-C, LDL-C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5), 유산소 운동군에서는 TC와 LDL-C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향후 만성 뇌졸중 환자에게 흥미를 유발하고 기능회복의 효과를 강화할 수 있는 저강도의 저항운동과 유산소성 운동 훈련을 환자의 시기별, 등급별로 적용 가능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저강도 원심성 운동과 동적 스트레칭이 지연성 근육통에 미치는 효과 비교 (The Comparison of Low Intensity Eccentric Exercise and Dynamic Stretching on Delayed Onset Muscle Soreness)

  • 이수영;김지윤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0호
    • /
    • pp.4676-4685
    • /
    • 2012
  • 본 연구는 저강도 원심성 운동과 동적 스트레칭이 지연성 근육통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하고자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연구에 참여하기 5개월 전부터 하지에 규칙적인 운동을 하지 않았던 18명의 20대 건강한 여성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들은 전체 3그룹인 대조군, 저강도 원심성 운동군 그리고 동적 스트레칭군에 무작위로 배정되었다. 측정변수로는 최대 수의적 등척성 수축력, 초음파 영상을 통한 근 두께, 근 통증 척도, 무릎관절 가동범위이며 지연성 근육통 유발 전, 유발 후 24시간, 48시간, 72시간에 각각 측정되었다. 저강도 원심성 운동군과 동적 스트레칭군의 운동 프로그램은 지연성 근육통 유발 4주 전에 일주일에 3회씩 각각 시행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 최대 수의적 등척성 수축력과 근 통증 척도에서만 그룹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5), 저강도 원심성 운동은 동적 스트레칭에 비해 근 통증 척도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5). 그러므로 저강도 원심성 운동과 동적 스트레칭이 지연성 근육통의 증상 중 근 통증에 효과적임을 제시하며 또한 저강도 원심성 운동이 동적 스트레칭보다 근 통증을 빠르게 감소시킴으로써 근 통증에 더 효과적임을 제시하고자 한다.

재가 허약노인을 위한 저강도 운동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Effects of Low-density Exercise in the Frail Elderly)

  • 권상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1호
    • /
    • pp.643-650
    • /
    • 2013
  • 본 연구는 재가 허약노인을 대상으로 저강도 운동 프로그램이 신체적 기능(악력, 정적균형, 복합적 이동능력), 심리적 기능(우울,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시도된 비동등대조군 전후설계연구이다. 연구결과, 실험군의 악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복합적 이동능력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정적 균형은 운동 수행 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우울은 운동수행 후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삶의 질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재가 허약노인을 위한 저강도 운동 프로그램은 허약노인들의 신체적 기능 향상과 심리적 건강상태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데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재가 허약노인을 위한 저강도 운동 프로그램의 빈도와 강도를 연장하여 그 효과의 지속성을 검정할 수 있는 반복연구를 제언한다.

무용기반 저강도 복합운동요법이 당뇨노인의 생리적 지표에 미치는 효과 (Physiological Index of the Elderly with Diabetes According to Dance Based Low Intensity Combined Kinesitherapy)

  • 김수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683-694
    • /
    • 2018
  • 본 연구는 제2형 당뇨병에 있어서 저강도의 복합적 운동요법을 시행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점과 무용-동작활동이 갖는 방법론적 측면의 유용성에 관한 이론적 근거 하에, 사전 동질성 검증을 거친 노인 당뇨환자에게 12주간 무용-동작활동과 저강도 복합운동을 처방한 실험군(병행군)과 저강도 복합운동만을 처방한 대조군(운동군)의 공복혈당 및 혈중지질의 사후검사 점수의 차이를 독립표본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복시 혈당은 집단별 사전-사후 차이에서 실험군의 차이가 대조군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총 콜레스테롤은 집단별 사전-사후 차이에서 실험군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성지방은 집단별 사전-사후 차이에서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은 집단별 사전-사후 차이에서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저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은 집단별 사전-사후 차이에서 실험군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본 연구는 기존에 다루지 못한 제 2형 당뇨노인에 있어서 무용-동작활동과 저강도 복합운동의 병행 효과를 생리적 지표를 이용하여 정량적으로 입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전기근육자극을 적용한 무릎 폄 저항운동 시 넙다리곧은근의 두께 변화에 미치는 즉각적 효과 (The immediate effect of electrical muscle stimulation on rectus femoris thickness during resisted knee extension exercise)

  • 김강훈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27-32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전기근육자극을 적용한 무릎 폄 저항운동 시 넙다리곧은근의 두께 변화에 미치는 즉각적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20명의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유사실험 단일집단 검사전-검사후 설계로 진행하였다. 대상자의 양쪽 넙다리 폄의 1RM을 탄력밴드를 이용해 간접적으로 측정하고, 탄력밴드를 이용한 무릎 폄 저항운동은 오른쪽 다리에 고강도(1RM의 80%)로, 왼쪽 다리에는 저강도(1RM의 50%로 전기근육자극을 같이 적용)로 5세트를 적용하였다. 근육 두께 측정은 초음파로 운동 전후에 넙다리곧은근(1/2 부위, 1/4 부위)에 측정하였다. 사전 테스트와 사후 테스트 사이에 전기근육자극을 적용한 탄력밴드 저강도 운동에 넙다리곧은근 두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본 연구의 결과는 전기근육자극을 결합한 탄력밴드 저강도 저항운동이 넙다리곧은근 두께를 증가시키는 데 즉각적인 효과가 있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고강도 저항운동을 할 수 없는 노령층에 전기근육자극을 적용한 저강도 저항운동을 접목하는 중재 방법의 효과에 대한 검증과 다양한 신체 부위별 운동프로그램 개발도 필요하다 여겨진다.

저강도의 저항성 운동 시 혈류제한 적용이 노인여성의 근 비대와 근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ow-intensity Resistance Training with Blood Flow Restriction on Muscle Volume and Strength in Elderly Women)

  • 여효성;김효정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제54권1호
    • /
    • pp.535-544
    • /
    • 2015
  • 이 연구는 노인 여성에 대한 저항성 훈련 시 혈류제한(blood flow restriction)을 적용할 경우 저강도 운동을 통해서도 하지의 근력과 근육량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총 16명의 노인 여성(연령 70.9±4.6)을 저강도 운동 집단(30% 1 RM, n=8)과 고강도 운동 집단(75% 1 RM, n=8)으로 구분하였다. 두 그룹 모두 우측 하지는 대퇴 근위부에 혈류제한용 커프(cuff)를 착용한 상태에서, 좌측 하지는 혈류제한 장치 없이 동일한 운동을 수행한 후 트레이닝 전·후의 근육량과 근력 변화를 분석하였다. 저항성 운동 프로그램은 leg press, leg extension, leg curl을 12회 반복으로 3세트씩 총 10주간 주 2회 실시하였다. 자기공명영상분석기(MRI)로 근 횡단면적(CSA)과 근육량을 산출하였으며, 체성분 변화는 이중에너지 방사흡수 계측기(DEXA), 근력 평가는 등속성 운동 장비(HUMAC Norm)를 이용하였다. 연구를 통해 10주간의 저항성 훈련 후 혈류제한을 적용한 상태에서 고강도 운동을 수행한 집단의 대퇴사두근 근횡단면적(15.2%, p<.001)과 근육량(13.8%, p<.001)이 증가하였으며 이러한 긍정적 변화는 혈류제한 상태에서 저강도로 운동한 집단의 횡단면적(9.8%, p<.001)과 근육량(6.9%, p<.001) 변화에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근력은 운동 수행만으로도 향상되었으나 혈류를 제한할 경우 향상도가 더 높은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이 연구는 혈류제한을 적용할 경우 저항성 운동을 저강도로 수행하더라도 노인 여성의 근 비대와 근력 증가에 효과적으로 작용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카페인 경구투여가 운동강도 차이에 따른 당뇨유발 흰쥐 가자미근의 GLUT4 및 GRP78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fferent Exercise Intensities on GLUT-4 and GRP-78 Protein Expression in Soleus Muscle of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with Caffeine Oral Administration)

  • Yoon, Jae-Suk;Yoon, Jin-Hwan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741-746
    • /
    • 2004
  • 본 연구는 운동강도 차이에 따른 카페인 구강 투여가 STZ-유발 당뇨 쥐 가자미근에서 GLUT-4와 GRP-78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F344계 수컷 횐쥐를 무작위 표본추출에 의하여 당뇨유발군(n=6), 당뇨유발-카페인 투여군(n=6), 당뇨유발-카페인투여 저강도운동군(n=6), 당뇨유발-카페인투여 중강도운동군(n=6), 그리고 당뇨유발-카페인투여 고강도 운동군(n=6)으로 분류하였다. 저강도 운동은 트레드밀 경사도 0%에서 8 m/min 속도로, 중강도 운동은 트레드밀 경사도 0%에서 16 m/min 속도로, 고강도운동은 트레드밀 경사도 0%에서 25 m/min속도로 30분간 1회 운동을 실시하였다. GLUT4단백질 발현은 당뇨군에 비해서 당뇨유발군-카페인 투여군과 당뇨유발-카페인투여 저강도 운동군에서 차이가 없었으며, 당뇨유발-카페인투석 중강도 운동군에서는 다소 감소하였으나 당뇨유발-카페인투여 고강도 운동군에서 증가하였다. GRP-78 단백질 발현은 당뇨군에 비해서 당뇨유발-카페인투여 저강도 운동군, 당뇨유발-카페인투여 중강도 운동군, 그리고 당뇨유발-카페인투석 고강도 운동군에서 감소하였으나, 당뇨유발-카페인 투여군에서는 다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강도 일회성 운동이 인슐린 민감도를 개선시켜 인슐린 요구량을 낮추는데 이러한 효과는 내형질세망에서 세포막으로의 GLUT-4 단백질의 전이와 GLUT-4 단백질 양의 증가 때문이다. 운동군에서의 GRP-78 단백질이 감소된 기전은 정확히 밝힐 수는 없지만, 카페인으로 인한 지질 동원이 운동 시 작업근의 세포에 많은 에너지를 공급하여 세포가 받는 스트레스를 완화시켜 주었기 때문이라고 추측된다.

융복합을 활용한 지적장애 청소년의 복합트레이닝 운동강도가 렙틴, 성장호르몬, IGF-1 및 신체조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xercise Intensity in Complex Training on leptin, growth hormone, IGF-1, body composition in middle school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Through Convergence)

  • 장홍영;최승권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0호
    • /
    • pp.483-497
    • /
    • 2016
  • 본 연구는 8주간의 복합트레이닝 운동 강도가 지적장애 청소년의 렙틴, 성장호르몬, 인슐린유사성장요인-1(IGF-1), 신체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의 대상은 경도 지적장애 청소년 총 26명으로 고강도운동 집단 9명, 중강도 운동 집단 9명, 저강도 운동집단 8명을 선정하였다. 복합 트레이닝 운동강도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트레이닝 처치 전 사전 값을 공변인으로 하고 각각의 운동 강도를 독립변인으로 하였으며, 렙틴, 성장호르몬, 인슐린유사성장요인-1, 신체조성에 대한 변화를 종속변인으로 하였다. 자료 분석은 공변량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효과크기 ${\eta}^2$(eta)를 산출하였다(p<.05). 분석된 자료를 통하여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성장기에 있는 지적장애 청소년들에게 동일한 운동량이 주어졌을 때 운동 강도별에 따라 렙틴은 중강도에서 가장 많이 감소하고, 성장호르몬의 증가는 중강도에서 가장 많이 증가하며, IGF-1의 증가는 저강도에서 가장 많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신체조성에 있어 체지방량의 증가는 저강도가 가장 효과적이며, 체지방량의 감소는 중강도에서 가장 효과적이고, 골밀도의 증가는 저강도에서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후속저인 연구에서는 성별, 개인별 운동수행 능력에 따른 구분을 통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운동강도의 차이가 Streptozotocin-유도 당뇨쥐의 가자미근 GRP-78과 GLUT-4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fferent Exercise Intensities on GRP-78 and GLUT-4 Expression in Soleus eus Muscle of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 김양희;윤진환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87-93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Streptozotocin-유발 당뇨 쥐를 대상으로 8주 동안 운동 강도에 따른 혈당, 인슐린, 골격근 내 GLUT-4 발현 량과 GRP-78 발현량 변화를 관찰함으로써 당뇨 쥐의 혈당을 낮추는데 효과적인 운동 강도는 무엇이며, 기전적인 원인은 무엇인지를 밝히고자 실시되었다. 본 연구에서 Streptozotocin으로 당뇨를 유발시킨 흰쥐를 대상으로 운동 강도 처치에 따른 GLUT-4발현 량을 비교한 결과, 기본적으로 당뇨가 유발된 흰쥐의 GLUT-4 발현 량은 정상 쥐에 비해 현저하게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중 8주 동안 저강도 운동 수행 한 쥐들의 경우는 정상 쥐 수준에 가까운 발현 량을 관찰 할 수 있었으며, 흰쥐 가자미 근 내 GRP-78 발현 량은 당뇨 유발 쥐의 경우 정상 쥐의 유의하게 증가한 것을 관찰할 수 있었고, 저강도 운동을 수행한 집단에서의 GRP-78 발현 량은 정상 흰쥐에서 발현되는 양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수준을 보이기는 했지만 당뇨 유발 대조군과 고강도 운동 군에 비해서는 유의하게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저강도의 운동은 당뇨 질환자의 혈당을 낮추는 데 가장 효과적인 운동이라 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결과의 기전적인 원인은 저강도의 운동이 근육 내 GLUT-4의 증가로 세포내 당 유입을 촉진시킴으로 해서 나타난 사실이라 생각되며 이 같은 사실은 GRP-78의 발현 량의 감소로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