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재해지도

Search Result 332,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Runoff Accumulation Mapping on Anseong Watershed (안성천 유역에서의 유출누적지도 작성)

  • Han, Kun Yeun;Park, Jun Hyung;Lee, Jae Yeong;Kim, Tae H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443-443
    • /
    • 2015
  • 자연적 및 인공적 조건들이 유출을 발생시키고, 발생시킨 유출수를 이동시키며, 특정지역에서 누적을 일으킬 수 있다. 이용 가능한 데이터베이스들은 쉽게 접근할 수 있고 사용할 수 있는 지리정보들로부터 구성된다. 이러한 자료를 이용해서 공간적 유출 위험 지도를 작성할 수 있다. 유출누적지도는 유출수에 의해 잠재적으로 침수되기 쉬운 지대들을 나타낸다. 침수지역은 원인지역의 규모, 원인지역의 형태와 경사, 천이점에 관련된 일시적인 감속과 누적들 및 토양의 침수상태와 같은 여러 요인들을 통해 발생된다. 유출에 대한 위험도 분석에서는 유출에 대한 누적위험도를 표현하기 위해 유출 과정에 유리한 요인들을 조합한다. 조합된 유출 민감도 지도는 유출민감도 값에 따라 등급화 된 형태로 표현된다. 5개의 민감도수준에 해당하는 요소들이 유출누적 지도에 사용되었는데, 여기서 민감도수준 1등급의 격자들은 누적에 유리하지 않고, 5등급은 물을 누적하는데 뛰어난 잠재력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안성천 유역의 유출누적지도를 작성하였으며, 이는 유역에서 유역 유출에 의한 홍수 위험도가 큰 지역을 탐지하는데 유용하며 이 자료를 기초로 하여 외수범람위험 지역과 합성하여 하천재해 위험지역을 도시하고 관리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tudy of Evacuation Map Designing Algorithm in Forest Fire (산불대피지도 작성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 Kim, Myeoung-Hun;Lee, Byung-Doo;Kim, Eung-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1.11a
    • /
    • pp.289-293
    • /
    • 2011
  • 대형 산불이 발생했을 경우 인접 마을 등에 대한 피난 연구는 국내에서 아직까지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대부분의 대피 대상자들이 재해 약자들로 구성되어있어 산불 대피에 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산불 대피지도 알고리즘을 개발하여 산불의 진행경로 및 확산에 따른 적정한 대피경로를 제시함으로서 인적 피해를 저감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PDF

Comparison of Analysis Model on Soil Disaster According to Soil Characteristics (지반특성에 따른 토사재해 해석 모델 비교)

  • Choi, Wonil;Baek, Seungcheol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18 no.6
    • /
    • pp.21-30
    • /
    • 2017
  • This study analyzed the ground characteristics region by designating 3 research areas, Anrim-dong in Chungju City, Busa-dong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and Sinan-dong in Andong City out of the areas subject to concentrated management to prepare for sediment disaster in downtown areas. The correlation between ground characteristics were observed by using characteristics (crown density, root cohesion, rainfall characteristics, soil characteristics) and the risk areas were predicted through sediment disaster prediction modeling. Landslide MAPping (LSMAP), Stability Index MAPping (SINMAP) and Landslide Hazard MAP (LHMAP) were used for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hazard prediction model for sediment disaster. As a result of predicting the sediment disaster danger, in case of SINMAP which was generally used, excessive range was predicted as a hazardous area and in case of the Korea Forest Service's landslide hazard map (LHMAP), the smallest prediction area was assessed. LSMAP predicted a medium range of SINMAP and LHMAP as hazardous area. The difference of the prediction results is that the analysis parameters of LSMAP is more diverse and engineering than two comparative models, and it is found that more precise prediction is possible.

Development of Smart Phone Application for Information Collection of Traffic Congestion Section Caused by Heavy Rain (집중호우에 따른 차량 혼잡구간 정보수집을 위한 스마트 폰 애플리케이션 개발)

  • Chun, Young-Hak;Kwon, Won-Seok;Kim, Chang-So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5 no.2
    • /
    • pp.139-149
    • /
    • 2012
  • Flooding caused by torrential rains and landslide causes the deaths of people and property damage as well as traffic congestion and isolation. Driver enters the dangerous area when driver doesn't recognize disaster information on the road and the damage is spread over time. In this paper, we will develop a smart phone application to collect dangerous disaster area information and a system based on C/S to manage the data received from the smart phone application. This system can analyze dangerous disaster areas using the data received from the smart phone application and the spatial database analyzed dangerous disaster areas is displayed in the smart phone application using a map server. We think that the suggested system provides more efficient information to user.

Development of Web-GIS based Real-Time Natural Disaster Damag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웹GIS를 이용한 실시간 자연재해 피해정보 관리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 Kim, Tae-Hoon;Kim, Kye-Hyun;Shim, Jae-Hyun;Choi, Woo-Jung
    •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ystem Society
    • /
    • v.10 no.4
    • /
    • pp.103-107
    • /
    • 2008
  • This study mainly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real-time based damage investigation system using web-GIS. The study area was Gangseo-Gu in Busan where frequently has relatively higher magnitude of damages from natural disasters. GIS DB was built to provide geospatial data such as 1:1,000 and 1:5,000 topographic maps and IKONOS high resolution satellite data. The web-GIS system has demonstrated the higher contribution for the better response and recovery against any type of natural disasters through real-time communication and data dissemination among government agencies and personnel. However, further researches need to be made to improve system capabilities. In addition, for more effective system operation and maximizing the benefits of exploiting web-GIS system, linkage with national DB such as NDMS is essential.

  • PDF

Development of Public Safety Map and Activation Plan (생활안전지도 서비스 구축 및 활성화 방안)

  • Goo, Sin-Hoi;Chun, Young-Woo;Pyo, Kyung-Soo;Park, You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5.11a
    • /
    • pp.276-277
    • /
    • 2015
  • 현정부 들어 "범죄로부터 안전한 사회구현", "재난재해 예방 및 체계적 관리" 등이 주요 국정과제 현안으로 추진되고 있으며 국가적 차원에서 국민의 안전을 위한 정책 및 생활안전에 대한 대국민 서비스 마련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각 부처 기관별로 개별적으로 관리되고 있는 재난 및 안전사고 관련 정보를 통합하여 GIS DB를 구축하고 이를 기반으로 국가 안전정책 개발 및 대국민 서비스를 위한 생활안전지도 서비스 구축현황과 이에 대한 문제점을 분석하고 대국민 관점에서 생활안전지도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였다.

  • PDF

Establishment of Accuracy Criteria of Flood Inundation Map Using Quantitative Evaluation Indices (정량적 평가 지표를 활용한 호우피해 예측지도의 정확도 판단기준 설정)

  • Lee, Jin-Young;Kim, Dongkyun;Park, Kyung Woon;Kim, Tae-Woong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9 no.3
    • /
    • pp.381-389
    • /
    • 2019
  • It is important to estimate flood overflow because adverse weather phenomena are frequently occurring in recent years. In order to cope with such abnormal floods, it is essential to perform flood inundation simulations for constructing flood inundation maps as nonstructural countermeasures. However, there is no quantitative evaluation method and criterion for flood inundation prediction. In this study, the Receiver Operation Characteristics (ROC) and Lee Sallee Shape Index (LSSI) were employed to quantitatively evaluate the accuracy of flood inundation maps for 10 administrative districts. Comparing predicted inundation maps with actual inundation trace maps, the ROC score was 0.631 and the LSSI was 25.16 %. Using the ROC and the LSSI, we proposed an evaluation criterion for flood inundation map. The average score was set as an intermediate score and distributed into 5 intervals. The validity of the evaluation criterion was investigated by applying to the XP-SWMM model, which has been verified and corrected. The ROC analysis result was 0.8496 and the LSSI was 51.92 %. It is considered that the proposed evaluation criteria can be applied to flood inundation maps.

Mapping Inundation Area Using Analysis Result of SWMM (SWMM 분석결과를 이용한 내수침수지도 작성)

  • Lim, Ji On;Na, Seo Hyeon;Lee, Kyung S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486-490
    • /
    • 2017
  • 도심지에서의 침수피해는 이상홍수 및 국지성 호우 시 우수관거 시설기준 미달, 펌프장 등 배수시설이 설치되지 않아 하천의 계획홍수위보다 제내지의 지반고가 낮은 저지대 지역에서 많이 발생하고 있다. 특히, 내수침수의 경우는 외수에 따른 범람보다는 국민의 재산과 인명피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침수피해 위험도가 높은 지역의 주민에게 그 지역의 침수빈도와 범위를 인지시키고 사전대응 능력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연구의 목적으로 매년 피해가 발생한 이력이 있는 위험지구에 대해 전국단위 시군구별 침수피해 지도를 작성하여 침수심 산정과 피해액 예측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하고, 주민들의 신속한 대처를 통해 그들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여 재난 안전 국가 이미지 제고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도심지 유출모형인 XP-SWMM을 활용하여 내수재해 위험요인에 대한 전국을 해석하는 것에 한계가 있어 풍수해저감종합계획에 수록된 XP-SWMM모의 분석 결과 값을 활용하고자 하였다. 기 수립된 전국 풍수해저감종합계획의 과거 피해 자료를 바탕으로 이상 집중호우나 태풍의 내습 시 풍수해 피해 발생 가능성이 제일 높은 지역을 연구범위 대상지역으로 선정하였다. 그 중 풍수해의 주요 원인으로서 태풍, 집중호우 및 해일로 인한 피해발생 빈도가 높은 지역이면서 하천재해 및 내수침수 피해가 많은 경기도 동두천시를 연구대상 지역으로 선정하였으며, 대상지 유역 현황과 지형정보 및 빈도별 침수심을 조사하였다. 수록된 내용에 따르면 경기도 동두천시는 우수관망의 밀도가 높은 4개 위험지구를 내수재해 발생가능성 지역으로 선정하여 10년, 20년, 30년, 50년, 100년, 200년 6개 빈도에 대해 XP-SWMM 모의를 실시하였다. 이와 같이 수록된 각 빈도에 대한 모의 결과 값을 GIS기술을 이용하여 디지털화 하고 부가적인 분석을 위한 GIS데이터화 하는 내삽법을 선정하여 침수면적 및 침수심을 산출하였다. 그러나 면적비교를 통해 모의 결과 값을 디지털화 하는 과정에서 많은 오차가 발생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를 보완하기 위해 좌표보정 자동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제거하여 신뢰도를 향상시켰다. 이렇게 계산된 연구 대상지역의 침수심과 침수면적을 활용하여 지도제작 표준 지침서 및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여 한국형 호우피해 지도제작 기술개발에 기여하고, 비구조적 대책으로서 이상홍수에 대한 위험도를 파악하여 지역별 도심침수 방지를 위한 대비체계를 구축하는 등 위험지역에 대한 사전분석 및 활용에 기초자료로 도움이 되고자 한다.

  • PDF

Experimental Study on Analysis of Debris-Flow Runoff Characterization (토석류 유출특성 분석을 위한 실험적 연구)

  • Jang, Chang-Deok;Jun, Kye-Won;Jun, Byong-Hee;Oh, Chae-Yeon;Park, Hwan-Se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172-172
    • /
    • 2012
  • 기후변화에 따른 집중호우가 증가하면서 호우에 따른 피해의 양상이 달라지고 있다. 특히 사회적 경제적으로 발달하면서 도시가 확장되고 산지가 개발됨에 따라 산지와 인접한 지역에 대한 토사재해가 최근 자주 발생하고 있다. 2011년 7월 27일 서울시 우면산에서 발생한 토석류는 집중호우에 따른 사면재해의 새로운 경향을 잘 나타내었던 재해이다. 본 연구에서는 집중호우 발생 시 발생한 토석류의 유출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토석류발생 모형실험을 수행하여 공급유량과 하상조건에 따른 유출특성을 분석하였다. 토석류 실험장치의 총 수조길이는 6m이며 상 중 하단부의 경사조절이 가능하다. 유량과 하도조건에 따른 유출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토석류 발생지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여 국내에서 발생한 대표적인 토석류를 재현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토석류 유출은 하상재료와 공급유량에 대해 상관성을 가지고 있었으며 하상재료에 대한 추가적인 분석과 하도조건에 대한 더욱 다양한 실험이 수행된다면 토석류 재해지도의 작성이나 토석류 해석모형의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도가 높을 것이다.

  • PDF

A Study on Prediction of Heavy Rain Disaster Protection Characteristics Using ANN Technique (ANN기법을 이용한 호우재해 피해특성 예측 연구)

  • Soung Seok Song;Moo Jong Par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338-338
    • /
    • 2023
  • 최근 특정 지역에 짧은 시간동안 많은 강우가 내리는 국지성 집중호우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예측과 대비에도 불구하고 피해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지속적인 강우량 증가 추이로 시간최대 및 일최대 강우량 관측기록이 해마다 갱신되고, 도시, 하천 및 주요 홍수방어 시설의 설계용량을 초과하는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다수의 인구가 거주하고 대규모 기반시설이 집중된 도시지역에서 발생하는 집중호우는 심각한 인명 및 재산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부처별 재난의 저감대책은 정량적인 피해규모의 피해금액 예측보다는 설계 빈도에 대한 규모의 크기로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풍수해 피해를 저감시키기 위해 개발에 따르는 재해영향요인을 개발 사업 시행 이전에 예측·분석하고 적절한 저감대책안을 수립·시행하고 있으나 설계빈도에 대한 규모일 뿐 정량적인 저감대책으로 예방되는 피해금액은 알 수 없다. 본 연구에서는 재해연보를 기반으로 호우재해(호우, 태풍)에 대한 시군구-재해기간의 피해데이터를 1999년부터 2019년까지 총 20년의 빅데이터와 전국 68개 강우관측소를 대상으로 총 20년(1999년 ~ 2019년)의 강우자료를 구축하였다. 머신러닝의 학습별 알고리즘을 조사하여 호우재해 피해데이터의 적용성이 높고 다양한 분야에 적용이 가능한 Neural networks의 분석기술인 ANN기법을 선정하였다 피해데이터의 재해발생기간별 총강우량, 일최대강우량, 총피해금액에 대하여 1999년 ~ 2018년을 학습하고 2019년에 대하여 강우특성과 피해특성의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Neural Networks의 지도학습은 총 6,902개 중 2019년을 제외한 6,414개를 학습하였으며 분석 타깃은 호우재해의 피해규모를 분석할 수 있는 총강우량, 일최대강우량, 총피해금액에 대하여 은닉노드 5개씩 2계층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