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of Smart Phone Application for Information Collection of Traffic Congestion Section Caused by Heavy Rain

집중호우에 따른 차량 혼잡구간 정보수집을 위한 스마트 폰 애플리케이션 개발

  • Chun, Young-Hak (Dept. of IT Convergence and Application Engineering, Pukyong National Univ.) ;
  • Kwon, Won-Seok (Interdisciplinary Programs of Information Systems, Pukyong National Univ.) ;
  • Kim, Chang-Soo (Dept. of IT Convergence and Application Engineering, Pukyong National Univ.)
  • 천영학 (부경대학교 IT융합응용공학과) ;
  • 권원석 (부경대학교 정보시스템협동과정) ;
  • 김창수 (부경대학교 IT융합응용공학과)
  • Received : 2012.04.17
  • Accepted : 2012.06.11
  • Published : 2012.06.30

Abstract

Flooding caused by torrential rains and landslide causes the deaths of people and property damage as well as traffic congestion and isolation. Driver enters the dangerous area when driver doesn't recognize disaster information on the road and the damage is spread over time. In this paper, we will develop a smart phone application to collect dangerous disaster area information and a system based on C/S to manage the data received from the smart phone application. This system can analyze dangerous disaster areas using the data received from the smart phone application and the spatial database analyzed dangerous disaster areas is displayed in the smart phone application using a map server. We think that the suggested system provides more efficient information to user.

집중 호우로 인한 침수, 산사태와 같은 자연 재해는 인명, 재산 피해 뿐만 아니라 교통혼잡 및 고립과 같은 피해를 주게 된다. 도로 공간에서 운전자들은 이러한 재해정보를 인지하지 못할 시 해당 위험지역으로 진입하게 되며 그 피해는 시간이 지날수록 확산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위험지역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하여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과 전송받은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C/S기반의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전송받은 데이터를 이용하여 위험지역을 분석하고 분석된 위험구간정보에 대한 공간데이터베이스를 지도 서버를 이용하여 스마트 폰 애플리케이션 상에서 표출 할 수 있어 보다 효율적인 정보 제공이 이루어 질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부경대학교

References

  1. 강연수, 강경표, 최정민, 김범일, 김현미. 2008. 재난대응 첨단교통관리체계 구축방안 연구. 한국교통연구원.
  2. 권원석, 김창수. 2012. 재해정보를 이용한 우회경로 및 대피경로 안내시스템 개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5(1):34-42.
  3. 김기욱, 이정은, 황현숙, 김창수. 2008. UIS기반 홍수관리 시뮬레이션을 위한 입력 데이터 자동생성 시스템 개발. 멀티미디어학회 논문지 11(2):247-256.
  4. 부산광역시. 2009. 부산시 풍수해 저감특성조사 및 피해영향분석 연구용역 최종보고서.
  5. 서태웅, 이성렬, 배병철, 윤이중, 김창수. 2012. 스마트폰을 이용한 재난 영상의 위치변조에 대한 검증에 관한 연구. 한국멀티미디어학회 논문지 15(2):242-249. https://doi.org/10.9717/kmms.2012.15.2.242
  6. 손영태. 2009. 지역 특성을 고려한 교통방재시스템 구축 및 활용에 관한 연구. 한국도로학회 논문집 11(1):217-231.
  7. 신성일. 2007. 교통방재의 추진방안과 사례. 한국방재학회지 7(4):8-15.
  8. 양충헌, 손영태, 양인철, 김현명. 2009. 재난.재해 시 대피 및 우회차량 경로 제공 알고리즘 개발. 한국도로학회 논문집 11(3):129-139.
  9. 윤재용, 전종수, 권영혁, 이의은. 2010. u-T 환경하에서 재난/재해시 교통관리지침 개념 정립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지 30(3D):331-338.
  10. 이명진, 이정호. 2011. GIS를 이용한 기후변화 연동 지하수 함양량 산성 모델 개발 및 검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4(3):36-51.
  11. 이상건, 김호정, 오성호, 정선영. 2005. 국가기간교통망의 유고 대응전략 연구 - 도로 재난 관리시스템을 중심으로. 국토연구원.
  12. 이중기. 2012. 스마트 폰을 사용한 GIS 기반의 재난정보수집 및 서비스 구현. 부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9쪽.
  13. 황현숙, 최은혜, 김창수. 2011. 지리정보시스템을 활용한 재난피해자 관리시스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4(1):59-72.
  14. ESRI. 2010a. Instroduction to Programing Arcobjects Using. NET Framework.
  15. ESRI. 2010b. Instroduction to ArcGIS Server.
  16. Jeon T.G., H.S. Hwang, and C.S. Kim. 2010. A UIS-based system development to express the damage history information of natural disasters.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13(2):1739-1747.
  17. Kim, K.U., H.S. Hwang, and C.S. Kim. 2007. A prototype of the urban flood warning system using sewer networks. ACIS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 Information Science 8:474-482.
  18. Niko, D.L., H.S. Hwang, Y.Y. Lee and C.S. Kim. 2011. Integrating User-Generated Content and Spatial Data into Web GIS for Disaster History. In: Roger Lee(Ed.) Computers, Networks, Systems, and Industrial Engineering 2011, Studies in Computational Intelligence(Springer), pp.245-256.
  19. 지능형교통체계 표준노드링크관리시스템. http:// nodelink.its.go.kr/.

Cited by

  1. Development of a Prototype Web GIS-Based Disaster Management System for Safe Operation of the Next Generation Bimodal Tram, South Korea—Focused Flooding and Snowfall vol.6, pp.4, 2014, https://doi.org/10.3390/su6041776
  2. An Examination of the Functions and Usages of Mobile Applications for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 in Korea vol.14, pp.1, 2014, https://doi.org/10.9798/KOSHAM.2014.14.1.2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