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재해유형 분석

Search Result 202,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Estimation of River Flow Data Using Machine Learning (머신러닝 기법을 이용한 유량 자료 생산 방법)

  • Kang, Noel;Lee, Ji Hun;Lee, Jung Hoon;Lee, Chungd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261-261
    • /
    • 2020
  • 물관리의 기본이 되는 연속적인 유량 자료 확보를 위해서는 정확도 높은 수위-유량 관계 곡선식 개발이 필수적이다. 수위-유량 관계곡선식은 모든 수문시설 설계의 기초가 되며 홍수, 가뭄 등 물재해 대응을 위해서도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유량 측정은 많은 비용과 시간이 들고, 식생성장, 단면변화 등의 통제특성(control)이 변함에 따라 구간분리, 기간분리와 같은 비선형적인 양상이 나타나 자료 해석에 어려움이 존재한다. 특히, 국내 하천의 경우 자연적 및 인위적인 환경 변화가 다양하여 지점 및 기간에 따라 세밀한 분석이 요구된다. 머신러닝(Machine Learning)이란 데이터를 통해 컴퓨터가 스스로 학습하여 모델을 구축하고 성능을 향상시키는 일련의 과정을 뜻한다. 기존의 수위-유량 관계곡선식은 개발자의 판단에 의해 데이터의 종류와 기간 등을 설정하여 회귀식의 파라미터를 산출한다면, 머신러닝은 유효한 전체 데이터를 이용해 스스로 학습하여 자료 간 상관성을 찾아내 모델을 구축하고 성능을 지속적으로 향상 시킬 수 있다. 머신러닝은 충분한 수문자료가 확보되었다는 전제 하에 복잡하고 가변적인 수자원 환경을 반영하여 유량 추정의 정확도를 지속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머신러닝의 대표적인 알고리즘들을 활용하여 유량을 추정하는 모델을 구축하고 성능을 비교·분석하였다. 대상지역은 안정적인 수량을 확보하고 있는 한강수계의 거운교 지점이며, 사용자료는 2010~2018년의 시간, 수위, 유량, 수면폭 등 이다. 프로그램은 파이썬을 기반으로 한 머신러닝 라이브러리인 사이킷런(sklearn)을 사용하였고 알고리즘은 랜덤포레스트 회귀, 의사결정트리, KNN(K-Nearest Neighbor), rgboost을 적용하였다. 학습(train) 데이터는 입력자료 종류별로 조합하여 6개의 세트로 구분하여 모델을 구축하였고, 이를 적용해 검증(test) 데이터를 RMSE(Roog Mean Square Error)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 모델 및 입력 자료의 조합에 따라 3.67~171.46로 다소 넓은 범위의 값이 도출되었다. 그 중 가장 우수한 유형은 수위, 연도, 수면폭 3개의 입력자료를 조합하여 랜덤포레스트 회귀 모델에 적용한 경우이다. 비교를 위해 동일한 검증 데이터를 한국수문조사연보(2018년) 내거운교 지점의 수위별 수위-유량 곡선식을 이용해 유량을 추정한 결과 RMSE가 3.76이 산출되어, 머신러닝이 세분화된 수위-유량 곡선식과 비슷한 수준까지 성능을 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양질의 유량자료 생산을 위해 기 구축된 수문자료를 기반으로 머신러닝 기법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한 기초 연구로써, 국내 효율적인 수문자료 측정 및 수위-유량 곡선 산출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수자원 환경 및 통제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영향변수를 파악하기 위해 기상자료, 취수량 등의 입력 자료를 적용할 필요가 있으며, 머신러닝 내 비지도학습인 딥러닝과 같은 보다 정교한 모델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도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 PDF

Risk assessment of water scarcity considering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in Gwangju and Jeonnam (광주·전남지역의 사회경제적 특성을 고려한 물부족 위험도 평가)

  • Hwang, Se Won;Park, Ju Young;Lee, Moon Hwa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7 no.9
    • /
    • pp.599-613
    • /
    • 2024
  • Unlike other disasters, the water shortage problem caused by drought is characterized by the long-lasting ripple effect of the social and economic sectors in all regions of Korea, and the types and purposes of water mainly used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 of region, so the factors and scale of water shortage damage are different. In this study, a methodology to evaluate the risk of water shortage based on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was developed and applied to Gwangju and Jeollanam-do to analyze the results. To this end, 20 impact indicators for risk, exposure, and vulnerability items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 climate risk concept of IPCC AR6. The results of the water shortage risk evaluation reflecting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were different from the risk results considering only the existing meteorological and hydrological factors. The areas with the greatest risk of water shortage were calculated as Yeonggwang-eup in Yeonggwang-gun, Yeonsan-dong and Haean-dong 4-ga in Mokpo-si, Jeokryang-dong in Yeosu-si and Geumsan-myeon in Goheung-si. Through the evaluation results, risk factors and countermeasures for water shortage were derived in consideration of detailed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which can be used as data contributing to the establishment of measures to reduce drought damage tailored to the region in the future.

An Analysis of the Specialist's Preference for the Model of Park-Based Mixed-Use Districts in Securing Urban Parks and Green Spaces Via Private Development (민간개발 주도형 도시공원.녹지 확보를 위한 공원복합용도지구 모형에 대한 전문가 선호도 분석)

  • Lee, Jeung-Eun;Cho, Se-Hwa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39 no.6
    • /
    • pp.1-11
    • /
    • 2011
  • The research was aimed to verify the feasibility of the model of Park-Based Mixed-Use Districts(PBMUD) around urban large park to secure private-based urban parks through the revision of the urban zoning system. The PBMUD is a type of urban zoning district in which park-oriented land use is mixed with the urban land uses of residents, advertising, business, culture, education and research. The PBMUD, delineated from and based on a new paradigm of landscape urbanism, is a new urban strategy to secure urban parks and to cultivate urban regeneration around parks and green spaces to enhance the quality of the urban landscape and to ameliorate urban environmental disasters like climate change. This study performed a questionnaire survey and analysis after a review of literature related to PBMUD. The study looked for specialists in the fields of urban planning and landscape architecture such as officials, researchers and engineers to respond to the questionnaire, which asked about degree of preference.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specialists prefer the PBMUD at 79.3% for to 20.7% against ratio, indicating the feasibility of the model of PBMUD. The second, the most preferable reasons for the model, were the possibility of securing park space around urban parks and green spaces that assures access to park and communication with each area. The third, the main reason for non-preference for the model, was a lack of understanding of PBMUD added to the problems of unprofitable laws and regulations related to urban planning and development. These proposed a revision of the related laws and regulations such as the laws for planning and use of national land, laws for architecture etc. The fourth, the most preferred type of PBMUD, was cultural use mixed with park use in every kind of mix of land use. The degree of preference was lower in the order of use of commercial, residential, business, and education(research) when mixed with park use. The number of mixed-use amenities with in the park was found to be an indicator determining preference. The greater the number, the lower was preference frequencies, especially when related to research and business use. The fifth, the preference frequencies of the more than 70% among the respondents to the mixed-use ratio between park use and the others, was in a ratio of 60% park use and 40% other urban use. These research results will help to launch new future research subjects on the revision of zoning regulations in the laws for the planning and uses of national land and architectural law as well as criteria and indicators of subdivision planning as related to a PBMUD model.

Clinical Analysis of Patients with Multiple Organ Injuries Who Required Open thoracotomy (개흉술이 필요했던 다발성 외상환자에 대한 임상적 고찰)

  • 이성광;정성운;김병준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v.31 no.8
    • /
    • pp.804-810
    • /
    • 1998
  • Background: Multiple trauma patients have rapidly increased due to traffic accidents, industrial disasters, incidental accidents, and violence. Multiple trauma can involve injuries to the heart, lung, and great vessels and influence the lives, necessitate prompt diagnosis and treatment. Most of the thoracic injuries can be managed with conservative method and simple surgical procedures, such as closed thoracostomy, but in certain cases open thoracotomy is necessary. Materials and methods: The author analyzed the surgical result of 70 cases of open thoracotomy after multiple organ injury including thoracic organ. Results: The most common type of thoracic lesion was hemothorax with or without pneumothorax and diaphragmatic rupture was the second. Sixty percent of the patients were associated with bone fractures, 42.9% with abdominal injuries, and 37.1% with head injuries. The modes of operation were ligations of torn vessels for bleeding control(48.6%), repair of diaphragm(35.7%), and repair of lung laceration(25.7%) in this order of frequency and additional procedures were splenectomy(14.3%), hepatic lobectomy (8.6%) and repair of liver lacerations(5.7%).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re atelectasis (8.6%), wound infection (8.6%), and pneumonia(4.3%). Postoperatively six patients died(The mortality rate was 8.6%) and the causes of death were respiratory failure(2), acute renal failure(2), sepsis(1), and hypovolemic shock(1).

  • PDF

A Study on Establishing Disaster Management Plan for Central Administration Office (중앙행정기관 재난관리계획 수립에 관한 연구)

  • Kim, Mu-Jun;Kim, Kye-Hyun;Kwon, Moon-J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10 no.3
    • /
    • pp.61-69
    • /
    • 2010
  • Disasters have been diversifying and the scale of disaster has been increasing worldwide due to the global warming and urbanization. Consequently, it is essential to establish the systematic disaster management because the scale of damages has been rapidly increasing. Nowadays, the importance of the standardized disaster management have been realized internationally due to the 9.11 terror and Tsunami. Also, the activities of research and development to utilize and establish the disaster management standards have been increasing. This study mainly focused on generating an efficient operating manual to support the systematic disaster management of the central administration office based on disaster management standard in South Korea. Firstly, the activities and status of disaster management performed by the central administration office were investigated. Accordingly, libraries of work, functions, organizations, references and behavior for disaster management were designed. Then, a method to make the efficient operation manual based on the constructed libraries was presented to maximize the efficiency of disaster management. This emergency operation manual could support the systematic disaster management by defining the work, function, references and the codes of conduct. Thus, central administration office would be able to define methods and procedures from preparation to recovery through the utilization of the operation manual.

A Study on Practical Analyzing and Improving Disaster Management Organization of Korean Government (재난관리조직의 실태분석과 발전방안)

  • 권오한;남상화;이춘하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15 no.1
    • /
    • pp.127-138
    • /
    • 2001
  • I. introduction. A government goal at the present is established to make a welfare nation and to keep people's safe living, but it is criticised that when a large-scale disaster happens, the authority concerned could not deal with it, causing many people injured and material damage. Moreover, in these days, cities have many risk factors. extremely large and intelligent building, industrial facilities and underground equipment have many risk themselves along with scientific progress. The cope with disaster effectively, government must have efficient organization, skillful personnel, tool, facilities and so on. To reduce the damages, what's the most effective government organization\ulcorner II. Government organization for managing disaster In a few decades, a large-sized accidents broke out in korea, for example, collapse of Sampoong department store, break of Sungso bridge, explosion of Daegu city gas, gas explosion accident at Ahyon-dong etc. but government has not any adequate disaster response organization. Especially, after collapse of Sampoong department store broke out, Disaster Management Act is enacted to solve the past problem. According to Disaster management Act, disaster is limited in manmaid disaster. Therefore, in this thesis, disaster management is inspected theoretically, organization of disaster management for pattern of disaster, and role, duty of government organization, emergency relief organization system and actual conditions are analyzed. there are some problems. there are trials and errors. the government has changed the disaster management organization by the disaster management law. the organization consists of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but both of government do not work together harmoniously. in thesis, I would like to introduce the advanced nations disaster management organization, and study our central, local government organization. III. Conclusion Change and development of the government disaster management organization is the goal of this thesis. we have to increase public service in response and manage disaster. protecting civilian's life from the disaster is very important responsibility of government. there would be better way of government disaster management organization.

  • PDF

A Study on the Ecological Restoration of Disturbed area in DMZ(Demiltarized zone) (DMZ 내 생태교란지 식물복원 연구)

  • Jung, JI-Young;Kim, Sang-Jun;An, Jong-Bin;Lee, Ahyoung;Hwang, Hee-Suk;Bak, Gippeum;Park, Jinsun;Song, Jin-Heon;Yun, Ho-Geun;Jung, Su-Young;Shin, Hyun-Tak;Lee, Cheol-Ho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9.04a
    • /
    • pp.26-26
    • /
    • 2019
  • DMZ 일원은 정전협정으로 비무장지대(DMZ: Demilitarized Zone)가 설정된 이래 민간인의 출입이 엄격히 금지된 채로 외부의 간섭에서 벗어난 독보적 공간으로 보전되어 오고 있다. 하지만 일부 지역은 자연재해 및 군사적 목적으로 훼손되어 생태적으로 교란된 지역이 발생하여 생태적 건강성이 저하되고 있다. 무엇보다 군사분계선 남쪽 2km에 설치된 남방한계선은 군사적 목적에 따라 시계확보를 위해 불모지작전을 수행하여 생태적 교란 및 토양침식에 의해 생태계가 열악한 실정이다. DMZ 내 생태교란지 식물복원 연구는 DMZ내 생태교란지를 하나의 특수한 생태계로 간주하여, 향후 DMZ내 생태교란지에 특화된 식생복원 체계를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DMZ 155마일(248km)에 대해서 위성영상분석을 수행하여 생태교란지 유형화분류 연구를 수행하여 7개 유형(저지대초지, 서부저지대산지, 저습지 및 수공간 지역 등)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DMZ 생태교란지에 적합한 식물종 선정을 위하여 DMZ 전역을 대상으로 식물상 조사를 실시하여, 분포가 확인된 종을 대상으로 도입 가능종의 검토, 종자 수집 및 채종원 조성을 실시하였다. 추후 DMZ 생태교란지 식물복원에 적합한 공법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시계확보를 위해 수행되는 불모지 작전에 적합한 종의 선정, 선정된 종을 대상으로 유사환경 조성에 따른 공법 적용, 적용된 공법에 따른 관리 방안 연구를 함께 수행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DMZ 일원에 특화된 공법개발이 이루어진다면 불모지 작전 및 관리 최소화가 이루어지고, 무엇보다 우리나라 종자 및 야생화 산업의 활성화와 현재 파편화 되어 있는 생태축이 하나의 축으로 연결 될 것이라고 기대해 본다.

  • PDF

Crossplot Interpretation of Electrical Resistivity and Seismic Velocity Values for Mapping Weak Zones in Levees (제방의 취약구간 파악을 위한 전기비저항과 탄성파속도의 교차출력 해석)

  • Cho, Kyoung-Seo;Kim, Jeong-In;Kim, Jong-Woo;Kim, Ji-Soo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31 no.4
    • /
    • pp.507-522
    • /
    • 2021
  • Specific survey objectives often cannot be met using only one geophysical method, as each method's results are influenced by the specific physical properties of subsurface materials. In particular, areas susceptible to geological hazards require investigation using more than one method in order to reduce risks to life and property. Instead of analyzing the results from each method separately, this work develops a four-quadrant criterion for classifying areas of levees as safe or weak. The assessment is based on statistically determined thresholds of seismic velocity (P-wave velocity from seismic refraction and S-wave velocity from multichannel analysis of surface waves) and electrical resistivity. Thresholds are determined by subtracting the standard deviation from the mean during performance testing of this correlation technique applied to model data of four horizontal and inclined fracture zones. Compared with results from the crossplot of resistivity and P-wave velocity, crossplot analysis using resistivity and S-wave velocity data provides more reliable information on the soil type, ground stiffness, and lit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levee system. A loose and sandy zone (represented by low S-wave velocity and high resistivity) falling within the second quadrant is interpreted to be a weak zone. This interpretation is well supported by the N values from standard penetrating test for the central core.

Analysis of Structural Types and Design Factors for Fruit Tree Greenhouses (과수재배용 온실의 구조유형과 설계요소 분석)

  • Nam, Sang-Woon;Ko, Gi-Hyuk
    •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 /
    • v.22 no.1
    • /
    • pp.27-33
    • /
    • 2013
  • In order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 controlled environment cultivation system and standardization of the structures, structural status and improvement methods were investigated for the fruit tree greenhouses of grape, pear, and peach. The greenhouses for citrus and grape cultivation are increasing while pear and persimmon greenhouses are gradually decreasing due to the advance of storage facilities. In the future, greenhouse cultivation will expand for the fruit trees which are more effective in cultivation under rain shelter and are low in storage capability. Fruit tree greenhouses were mostly complying with standards of farm supply type models except for a pear greenhouse and a large single-span peach greenhouse. It showed that there was no greenhouse specialized in each species of fruit tree. Frame members of the fruit tree greenhouses were mostly complying with standards of the farm supply type model or the disaster tolerance type model published by MIFAFF and RDA. In most cases, the concrete foundations were used. The pear greenhouse built with the column of larger cross section than the disaster tolerance type. The pear greenhouse had also a special type of foundation with the steel plate welded at the bottom of columns and buried in the ground. As the results of the structural safety analysis of the fruit tree greenhouses, the grape greenhouses in Gimcheon and Cheonan and the peach greenhouses in Namwon and Cheonan appeared to be vulnerable for snow load whereas the peach greenhouse in Namwon was not safe enough to withstand wind load. The peach greenhouse converted from a vegetable growing facility turned out to be unsafe for both snow and wind loads. Considering the shape, height and planting space of fruit tree, the appropriate size of greenhouses was suggested that the grape greenhouse be 7.0~8.0 m wide and 2.5~2.8 m high for eaves, while 6.0~7.0 m wide and 3.0~3.3 m of eaves height for the pear and peach greenhouses.

Development of a Comprehensive Model of Disaster Management in Korea Based on the Result of Response to Sampung Building Collapse (1995), - Disaster Law, and 98 Disaster Preparedness Plan of Seoul City - (우리나라 사고예방과 재난관리 모형 개발을 위한 연구)

  • Lee, In-Sook
    • Research in Community and Public Health Nursing
    • /
    • v.11 no.1
    • /
    • pp.289-316
    • /
    • 2000
  • 우리나라의 경우 지역사회 재난 관리계획과 훈련이 보건의료적 모형이라기 보다는 민방위 모형에 입각하기 때문에 사고 현장에서의 환자 중증도 분류, 합리적 환자배분 및 이송, 병원 응급실에서의 대처 등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으며, 지역사회가 이에 즉각적으로 반응할 수 없다. 본 연구는 삼풍 붕괴사고 시에 대응방식과 그 후의 우리나라 응급의료 체계를 분석함으로써 대형사고 예방과 재난관리를 위한 우리나라 응급의료체계의 개선방안과 간호교육에서의 준비부분을 제시하고자 한다. 1 삼풍 사고 발생시에는 이를 관장할 만한 법적 근거인 인위적 재해에 관한 재난관리법이 없었다. 따라서 현장에서는 의학적 명령체계를 확보하지 못했기 때문에 현장에서의 응급 처치는 전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현장에서의 중증도 분류. 응급조치와 의뢰, 병원과 현장본부 그리고 구급차간의 통신 체계 두절, 환자 운송 중 의료지시를 받을 수 있도록 인력, 장비, 통신 체계가 준비되지 못하였던 점이 주요한 문제였다. 또한 병원 응급실에서는 재난 계획이 없거나 있었더라도 이를 활성화하여 병원의 운영 체계를 변환해가지 못하였다. 2. 삼풍백화점 붕괴사고 한달 후에는 인위적 재해에 대한 재난관리법이 제정되고, 행정부 수준별로 매년 지역요구에 합당한 재난관리 계획을 세우도록 법으로 규정하였다. 재난 관리법에는 보건의료 측면에서의 현장대응, 주민 참여, 응급 의료적 대처, 정보의 배된. 교육/훈련 등이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 그러나 법적 기반이 마련된 이후에도 한국 재난 계획 내에는 응급의료 측면의 대응 영역은 부처간 역할의 명시가 미흡하며, 현장에서의 응급 대응과정을 수행할 수 있는 운영 지침이 없이 명목상 언급으로 그치고 있기 때문에 계획을 활성화시켜 지역사회에서 운영하기는 어렵다. 즉 이 내용 속에는 사고의 확인 /공고, 응급 사고 지령, 요구 평가, 사상자의 중증도 분류와 안정화, 사상자 수집, 현장 처치 생명보존과 내과 외과적 응급처치가 수반된 이송, 사고 후 정신적 스트레스 관리, 사고의 총괄적 평가 부분에 대한 인력간 부처간 역할과 업무가 분명히 제시되어 있지 못하여, 사고 발생시 가장 중요한 연계적 업무 처리나 부문간 협조를 하기 어렵다. 의료 기관과 응급실/중환자실, 시민 안전을 책임지고 있는 기관들과의 상호 협력의 연계는 부족하다. 즉 현재의 재난 대비 계획 속에는 부처별 분명한 업무 분장, 재난 상황에 따른 시나리오적 대비 계획과 이를 훈련할 틀을 확보하고 있지 못하다. 3. 지방 정부 수준의 재난 계획서에는 재난 발생시 보건의료에 관한 사항 전반을 공공 보건소가 핵심적 역할을 하며 재난 관리에 대처해야 된다고 규정하고 있다. 그러므로 보건소는 지역사회 중심의 재난 관리 계획을 구성하고 이를 운영하며, 재난 현장에서의 응급 치료 대응 과정은 구조/ 구명을 책임지고 있는 공공기관인 소방서와 지역의 응급의료병원에게 위임한다. 즉 지역사회 재난 관리 계획이 보건소 주도하에 관내 병원과 관련기관(소방서. 경찰서)이 협동하여 만들고 업무를 명확히 분담하여 연계방안을 만든다. 이는 재난관리 대처에 성공여부를 결정하는 주요 요인이다. 4 대한 적십자사의 지역사회 주민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은 연중 열리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교육주제는 건강증진 영역이며. 응급의료 관리는 전체 교육시간의 8%를 차지하며 이중 재난 준비를 위한 주민 교육 프로그램은 없다. 또한 특정 연령층이 모여있는 학교의 경우도 정규 보건교육 시간이 없기 때문에 생명구조나 응급처치를 체계적으로 배우고 연습할 기회가 없으면서 국민의 재난 준비의 기반확대가 되고 있지 못하다. 5. 병원은 재난 관리 위원회를 군성하여 병원의 진료권역 내에 있는 여러 자원을 감안한 포괄적인 재난관리계획을 세우고, 지역사회를 포함한 훈련을 해야 한다. 그러나 현재 병원은 명목상의 재난 관리 계획을 갖고 있을 뿐이다. 6. 재난관리 준비도를 평가할 때 병원응급실 치료 팀의 인력과 장비 등은 비교적 기준을 충족시키고 있었으나 병원의 재난 관리 계획은 전혀 훈련되고 있지 못하였다 그러므로 우리나라 재난 관리의 준비를 위해서는 현장의 응급의료체계, 재난 대응 계획, 이의 훈련을 통한 주민교육이 선행되어야만 개선될 수 있다. 즉 민방위 훈련 모델이 아닌 응급의료 서비스 모델에 입각한 장기적 노력과 재원의 투입이 필요하며,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대응 준비와 이의 활성화 전략 개발, 훈련과 연습. 교육에 노력을 부여해야 한다. 7. 현장의 1차 응급처치자에 대해서는 법적으로 명시하고 있는 역할이 없다. 한국에서는 응급구조사 1급과 2급에 대한 교육과 규정을 1995년 이후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에서 정하고 있다. 이 교육과정은 미국이 정하고 있는 응급구조사 과정 기준과 유사하지만 실습실이나 현장에서의 실습시간이 절대적으로 부족하다. 덧붙여 승인된 응급구조사 교육 기관의 강사는 강사로서의 자격기준을 충족할 뿐 아니라 실습강사는 대체적으로 1주일의 1/2은 응급 구조차를 탑승하여 현장 활동을 끊임없이 하고 있으며, 실습은 시나리오 유형으로 진행된다. 그러므로 우리나라의 경우 응급 구조사가 현장 기술 인력으로 역할 할 수 있도록 교과과정 내에서 실습을 강화 시켜야하며, 졸업생은 인턴쉽을 통한 현장 능력을 배양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8. 간호사의 경우 응급전문간호사의 자격을 부여받게 됨에 따라, 이를 위한 표준 교육 지침을 개발함으로써 병원 전 처치와 재난시 대응할 수 있는 역량을 보완해야 한다. 또한 현 자격 부여 프로그램 내용을 고려하여 정규자격 간호사가 현장 1차 치료자(first responder)로 역할 할 수 있도록 간호학 교과과정을 부분 보완해야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