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재해위험지구

Search Result 130,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Analyzing the Disaster Vulnerability of Mt. Baekdusan Area Using Terrain Factors (지형 요소를 고려한 백두산 지역의 위험도 분석)

  • Choi, Eun-Kyeong;Kim, Sung-Wook;Lee, Young-Cheol;Lee, Kyu-Hwan;Kim, In-Soo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34 no.7
    • /
    • pp.605-614
    • /
    • 2013
  • Most steep slope failures tend to take place in geographically unstable areas. Mt. Baekdusan is known as a potentially active volcano in a typical mountainous terrain. This study prepared a digital elevation model of Mt. Baekdusan area and created a hazard map based on topographical factors and structural lineament analysis. Factors used in vulnerability analysis included geographical data involving aspect and slope distribution, as well as contributory area of upslope, tangential gradient curvature, profile gradient curvature, and the distribution of wetness index among the elements that comprise topography. In addition, the stability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lineament intensity map. Concerning the disaster vulnerability of Mt. Baekdusan region, the south and south west area of Mt. Baekdusan has a highest risk of disaster (grade 4-5) while the risk level decreases in the north eastern region.

Construction of Hazard Risk Assessment Systems for Urban Flooding (도시 침수피해 위험도 평가체계 구축)

  • Kim Weon-Seok;Kim Dong-Kyoo;Kim Eui-Myoung;Yoo Hwan-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6.05a
    • /
    • pp.49-54
    • /
    • 2006
  • 세계적인 기상이변으로 전 세계적으로 예측하기 힘든 규모의 자연재해가 발생하고 있고, 향후에도 증가될 가능성이 매우 높은 실정이다. 또한 인구의 집중화와 도시화로 자연재해가 발생하면 엄청난 인명과 재산피해를 발생시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의 일부 지역을 대상으로 그 지역에 대한 지형, 하수관건, 기후 등의 공간 및 속성 데이터베이스를 바탕으로 자연재해 중 우리나라에서 가장 빈도가 높은 침수재해에 초점을 두고 도시의 강우 유출모형인 SWMM을 이용하여 우수관거 해석 및 월류량을 산정하고 해수위 상승에 따른 저지대 우수관망 월류량을 계산하여 침수구역 예상 및 침수심 산정을 하고 침수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는 해안 저지대 도시지역에서 빈도별 침수량을 예상하여 피해지역의 침수구역에 대한 홍수에 의한 위험도를 평가할 뿐 아니라 단계적 대피 계획, 주요시설 보호 및 이동, 위험지구에 대한 사전 개선대책 수립 등 홍수피해 경감계획 수립에 기초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PDF

Development of Risk Index for Evaluation of River Risk (하천 위험도 평가를 위한 위험지수의 개발)

  • Kim, Sang-Ho;Hwang, Shin-Bum;Cho, Ah-Ra;Lee, Jong-T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440-444
    • /
    • 2011
  • 집중호우로 인한 자연재해는 대부분 하천을 중심으로 발생하며, 설계빈도를 초과한 홍수량을 인해 제방을 월류하거나 제방의 붕괴로 인해 피해가 발생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제방 붕괴와 같은 홍수의 위험으로부터의 취약성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홍수에 의한 피해에 대해 빠른 복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정책을 홍수 경감 대책이라고 하며, 홍수에 대비하는 정책은 홍수의 주기 및 재해특성과 관련이 있고, 인간과 사회에 대한 잠재적인 피해를 줄이기 위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가지 이유에 의해 발생하는 제방의 붕괴 현상이 복잡한 수리학적 또는 토질 기초 공학적 현상 등에 의하여 일어나기 때문에 이에 대한 발생 원인을 규명하는 것이 쉬운 일은 아니나, 일반적 월류, 세굴, 침하 및 지진 등으로 꼽히는 제방 붕괴 위험 원인들을 검토하여 제방 붕괴를 유발할 수 있는 하천의 위험 인자들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토대로 하천 내 주요지점에 대한 위험도를 산정할 수 있는 기법을 개발하고 시험유역을 대상으로 하천에서 발생 가능한 위험 지구를 선정하여 그 타당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 PDF

Pre-Analysis of Disaster Effects and Countermeasures on Development Works of Housing Site (택지개발사업의 사전재해영향 검토 및 저감대책)

  • Ahn, Sung-Sick;Kim, Jin-H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299-303
    • /
    • 2011
  • 사전재해영향성검토 협의제도는 개발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재해유발 요인을 사전에 검토하여 이를 사전에 제거하는 것이 목적이다. 사전재해영향성 검토는 1996년부터 시행한 재해영향평가의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2005년 개정된 자연재해대책법에서는 사전재해영향성 검토협의제도를 포함하였으며, 2005년 8월 17일 동법 시행령을 개정 공포하여 사전재해영향성검토 협의제도를 본격적으로 시행하게 되었다. 본고에서는 사업 대상 지구를 "부산장안지구 택지개발사업(1단계)"로 선정하였으며, 개발에 따른 재해 발생요인, 즉 유출량 증가에 따른 하류부의 홍수피해 가중, 토공 공사에 따른 토사유출량 증가, 절 성토계획 따라 유발되는 사면의 불안정에 대한 사전검토를 목적으로 하였다. 사업시행에 따른 개발중 토사유출량의 증가와, 개발후 홍수유출량의 증가로 재해의 위험이 예상되어 개발 중의 임시저류지 겸 침사지 2개소와 개발 후의 영구저류지 1개소를 계획하여 홍수유출량을 $2.48m^3/sec$을 줄이고, 토사유출을 90% 포착하였다.

  • PDF

A Study on Integrated Assessment of Baekdu Mountain Volcanic Aisaster risk Based on GIS (GIS기법을 이용한 백두산 화산재해 종합평가 연구)

  • Xiao-Jiao, Ni;Choi, Yun Soo;Ying, Nan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22 no.4
    • /
    • pp.77-87
    • /
    • 2014
  • Recently there are many disasters caused by volcanic activities such as the eruptions in Tungurahua, Ecuador(2014) and $Eyjafjallaj\ddot{o}kull$, Iceland(2010). Therefore, it is required to prepare countermeasures for the disasters. This study analyzes the Baekdu Mountain area, where is the risky area because it is active volcano, based on the observed data and scientific methods in order to assess a risk, produce a hazard map and analyze a degree of risk caused by the volcano. Firstly, it is reviewed for the research about the Baekdu mountain volcanic eruption in 1215(${\pm}15$ years) done by Liu Ruoxin. And the factors causing volcanic disaster, environmental effects, and vulnerability of Baekdu Mountain are assessed by the dataset, which includes the earthquake monitoring data, the volcanic deformation monitoring data, the volcanic fluid geochemical monitoring data, and the socio-economic statistics data. A hazard, especially caused by a volcano, distribution map for the Baekdu Mountain Area is produced by using the assessment results, and the map is used to establish the disaster risk index system which has the four phases. The first and second phases are very high risky area when the Baekdu Mountain erupts, and the third and fourth phases are less dangerous area. The map shows that the center of mountain has the first phase and the farther area from the center has the lower phase. Also, the western of Baekdu Mountain is more vulnerable to get the risk than the eastern when the factors causing volcanic disasters are equally applied. It seems to be caused by the lower stability of the environment and the higher vulnerability.

The study of Heavy Rain Warning Information considering Threshold Rainfall and disaster risk (영향한계강우량과 재해위험성을 고려한 호우특보 기준에 관한 연구)

  • Hyeon Ji Lee;Dong Ho Kang;Yong In Song;Byung Sik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188-188
    • /
    • 2023
  • 지구온난화, ENSO 등 전지구적인 기후변화 현상으로 위험기상 발생이 증가하고 있다. 한반도는 삼면이 바다에 접하였기 때문에 매우 불안정한 대기로 저기압이 빈번히 통과하는 특징을 가지며, 우리나라는 매년 이상기후로 인한 기상재해로 인명 및 재산 피해가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 10년간 가장 많이 발생한 피해액 기준 대형 자연재난은 호우로 총 49회 발생하였다. 호우는 다른 기상재해에 비해 발생 시간이 짧고, 공간 규모가 작을 뿐만 아니라 시공간적으로 변동성이 매우 크기 때문에 발생 시 많은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유발한다. 기상청은 호우 외 9가지 기상현상으로 인해 중대 재해 발생이 예상되는 경우 주의를 환기하거나 경고를 예보하는 특보를 발표한다. 현재 사용 중인 호우특보 기준은 기후변화와 위험기상 발생 패턴 변화에 따른 호우 피해와 강우량의 상관성을 고려해 3시간 강우량 개념으로 강우강도, 12시간 강우량 개념으로 누적강우량을 파악할 수 있게 개선한 결과이다. 그러나 지역 특성을 반영하지 아니하고, 하나의 특보 기준 값을 전 지자체에 적용하기 때문에 국지성 집중호우의 지역별 특성을 세세히 반영하지 못하는 등 한계를 보인다. 이와 반대로 영국의 경우 기상특보 기준에 기상현상이 미치는 영향을 포함하였으며, 일본의 경우 우리나라 시군구 개념인 시정촌별로 기상특보 기준을 다르게 설정하여 운영 중이다. 지역 특성을 반영한 해외 기상특보 사례와 달리 우리나라 기상특보는 지역별 위험 및 사회·경제적 취약성을 고려하지 않아 특보 기준 값이 획일화되어 있음을 확인했다. 이에 본 연구는 기상특보 중 호우특보로 연구 범위를 한정하고, 위험기상의 획일적 의사결정 시스템을 보완하기 위해 영향한계강우량과 재해위험성을 고려한 호우특보 기준을 연구하여 제안하고자 한다.

  • PDF

동해의 지진해일, 그 위험과 대책

  • Lee, Ho-Jun
    •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5 no.1 s.16
    • /
    • pp.27-33
    • /
    • 2005
  • 12월 20일, 성탄절 이튿날 지구촌은 최악의 대재앙을 실감했다. 인도네시아 수마트라 앞바다에서 발생한 M9.0의 강진과 함께 지진해일이 인근 연안에 내습하여 근 30만 명의 목숨을 앗아갔다. TV를 통해 비추어지는 참담한 모습만으로도 그 공포를 실감할 수 있었다. 온 세계가 지진해일의 공포를 느끼고, 그 위험에 대해 인식하기 시작했으며, 국제적 차원에서의 대책마련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지진해일 경보 미비, 피해자들 대부분이 지진해일에 대한 지식과 대처요령을 터득하지 못했으며, 저빈도 재해로서 피해국이 투자우선순위를 뒤로하였던 공통점이 이번 대규모 인명피해에 대한 직접 원인이라는 지적이 제시되고 있는 한편으로, 그동안 선진국을 중심으로 발전해 오던 지진해일 대책에 대한 취약점이 지적되면서 대책의 수정이 필요하게 되었다 경보체제의 정비를 뒤로하더라도, 주민의 방재의식과 재해에 대한 지식 함양을 지진해일재해에 대한 직접적 해결책으로 선진국들은 주장하고 있다. 본 고에서는 그 위력과 예측불허의 특성 때문에 지구상의 대재앙으로 여기는 지진해일에 대하여 우리가 처해 있는 위험환경과 대책마련에 있어서의 문제점에 대해 짚어 보고자 한다.

  • PDF

An Agrometeorological Reference Index for Projecting Weather-Related Crop Risk under Climate Change Scenario (농작물의 기상재해 발생위험 판정기준 설정 및 지구 온난화에 따른 기준기상위험의 변화 전망)

  • Kim, Dae-jun;Kim, Jin-hee;Yun, Jin I.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 /
    • v.18 no.3
    • /
    • pp.162-169
    • /
    • 2016
  • The agrometeorological reference index means 'the agrometeorological damage possibility' or the possibility of the normal year climate condition to damage the crop cultivation in a certain region. It is a reference used to compare the cultivation risk of a crop by region. The global climate warming is expected to increase the winter temperature. At the same time, the frequency of extreme weather events will also increase. Therefore, people pay attention to the potential of low temperature-induced damages (e.g., frost damage and injury) to fruit trees under the future climate condition. However, simple damage projection based on climate conditions does not help the climate change adaptation in the practical aspect because the climate change affects the phenology of fruit trees as well. This study predicted the phenology of the pear, peach, and apple trees by using the climate change scenarios of major regions. Furthermore, low temperature induced agrometeorological reference indices were calculated based on the effects of temperature on each plant growth stage to predict the damage possibility. It was predicted that the breaking rest would delay more in the future while the bud-burst date and flowering date will be earlier. In Daegu, Jeonju, and Mokpo, the breaking rest delayed more as time passed. The bud-burst date and flowering date of Seoul and Incheon regions were later than other regions. Seoul and Incheon showed a similar pattern, while Daegu and Jeonju revealed a similar pattern. Busan and Mokpo also showed a similar pattern. All regions were safe from the frost damage during the dormancy period. However, plants were vulnerable to frost damage between the breaking rest and the bud-burst period. Regions showed different frost damage patterns between the bud-burst period and the flowering period. During the bud-burst and flowering period, the risk level decreased in general, although the risk of some areas tended to increa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