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재해예측

Search Result 815,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Implementation of real-time water level prediction system using LSTM-GRU model (LSTM-GRU 모델을 활용한 실시간 수위 예측 시스템 구현)

  • Cho, Minwoo;Jeong, HanGyeol;Park, Bumjin;Im, Haran;Lim, Ine;Jung, Heok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22.10a
    • /
    • pp.216-218
    • /
    • 2022
  • Natural disasters caused by abnormal climates are continuously increasing, and the types of natural disasters that cause the most damage are flood damage caused by heavy rains and typhoons. Therefore, in order to reduce flood damage, this paper proposes a system that can predict the water level, a major parameter of flood, in real time using LSTM and GRU. The input data used for flood prediction are upstream and downstream water levels, temperature, humidity, and precipitation, and real-time prediction is performed through the pre-trained LSTM-GRU model. The input data uses data from the past 20 hours to predict the water level for the next 3 hours. Through the system proposed in this paper, if the risk determination function can be added and an evacuation order can be issued to the people exposed to the flood, it is thought that a lot of damage caused by the flood can be reduced.

  • PDF

Proposal of a Prediction Framework Based on Deep Learning Algorithm to Predict Safety Accidents at Small-scale Construction Sites (소규모 건설현장의 안전사고 예측을 위한 딥러닝 알고리즘 기반의 예측프레임워크 제안)

  • Kim, Ji-Myong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 /
    • v.23 no.6
    • /
    • pp.831-839
    • /
    • 2023
  •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framework for an accident prediction model leveraging a deep neural network algorithm, specifically tailored for small-scale construction sites. Notably, the incidence of accidents in the construction sector is markedly higher compared to other industries, with a significant contribution from small-scale sites. The challenging nature of construction in urban settings, coupled with the increasing frequency of adverse weather conditions, is likely to escalate accident risks at these sites. Anticipating and mitigating accidents at small-scale construction sites is therefore crucial to decrease the overall industry accident rate. Consequently, this research introduces a Deep Neural Network-based model for forecasting accidents at small-scale construction sites. The framework and findings of this study are poised to serve as a guideline for the safety management of small-scale construction projects, ultimately aiding in the realization of safer, more sustainable construction practices at these sites.

SDGs approach towards Building Resilience to Disaster and Climate Change (재해에 대한 리질리넌스 확보를 위한 지속가능개발목표의 이행)

  • Hong, Ilpyo;Park, Jih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77-77
    • /
    • 2016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수문기상학적인 극한 사상들은 점점 대형화되고 있고, 그 발생빈도 또한 잦아지고 있다. 인구의 증가와 급격한 도시화, 자산 가치의 증가 등으로 물과 관련된 재해로 인한 피해는 점점 더 규모가 커지고 있다. 홍수와 가뭄, 허리케인, 쓰나미와 같이 물과 관련된 재해는 그 영향을 받는 사람들의 수로 본다면 지구상의 재해 중 90%를 차지하고 있을 만큼 그 규모가 크다 할 수 있으며, 전세계적으로 물관련 재해로 인한 재산상의 피해를 약 1,000억 달러 규모로 추산하고 있는데, 2030년에는 그 현재의 두 배가 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이와 같은 재해로 인한 피해는 개도국이나 최빈국뿐만 아니라 관련 인프라가 잘 구축되어 있는 선진국 또한 예외는 아니다. 2015년 9월 UN 세계지속가능 정상 회의에서 각국의 수반들 또한 17개의 "지속가능개발목표(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를 채택함으로서 post-2015 아젠다가 세계를 지속가능하고 균형 있게 바꾸어 나가기 위해서 취해야 하는 가장 시급하고 필요한 과감한 혁신적인 조치임을 인식하였다. 재해경감과 지속가능개발은 2005년 채택된 "효고프레임웍(Hyogo Framework for Action) 2005-2015"에서 도 중요하게 다루어 졌다. 2015년 3월 제3차 세계재해경감대회에서 채택된 "센다이 프레임웍(Sendai Framework for Disaster Risk Reduction) 2015-2030"은 Post-2015 개발의제의 첫 번째 합의 결의안이라 할 수 있으며, 인명피해의 실질적인 감소와 재해에 의한 영향으로 피해 보는 사람들의 수를 줄이고, 경제적 손실과 대형 인프라 피해의 경감을 주요 타겟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리질리언스의 중요성은 SDGs의 Goal 11인 "안전하고 지속가능한 도시와 정주지 조성(Make cities and human settlements inclusive, safe, resilient and sustainable)"에서 강조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골에서 재해로 부터의 리질리언스 확보에 대한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재해 위험을 경감시키기 위해서 국제적으로, 지역적으로 또는 국경을 넘어서는 협력 관계의 구축이 중앙정부나 지방정부를 비롯한 국가적으로 절대적으로 필요한 노력이라 할 수 있다. 특히나, Post-2015 개발 아젠다에 대한 기후변화와 재해경감을 위한 금융지원을 포함한 최빈국, 개도국, 군소 도서국가들과 중견국 선진국들의 양자간이나 다자간 협력 채널을 통한 역량 강화가 필요하다.

  • PDF

Development of heavy rain damage prediction function using logistic regression model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이용한 호우피해 예측함수 개발)

  • Choi, Chang Hyun;Kim, Jong Sung;Kim, Dong Hyun;Lee, Jong So;Kim, Hung 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41-41
    • /
    • 2017
  • 자연재난으로 인한 피해의 대형화, 다양화, 집중화 현상이 일어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사회 경제적 피해가 과거에 비해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만약 기존에 발생하였던 재난 피해 자료와 기상현상간의 통계적 분석을 통해 재난의 발생 가능성과 피해 범위를 예측할 수 있다면, 효율적으로 재난관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자연재난 피해인 호우피해를 대상으로 낙동강 권역 69개 시군구별 재해통계 자료를 기반으로 수문기상자료와의 통계적 분석을 통해 호우피해 예측함수를 개발하였다. 국민안전처에서 발간하는 재해연보 자료를 통해 호우피해 발생기간별 호우피해액 자료를 분석하였고, 이를 호우피해 예측함수의 종속변수로 사용하였다. 종관기상관측소의 시강우 자료를 분석하여 선행강우, 지속시간별 최대강우, 총강우량을 구축하였고, 시군구별 면적 등의 지역 특성을 수집하여 설명변수로 사용하였다. 기존의 피해예측함수 관련 연구에서 제기되었던 피해액이 큰 부분에서 예측력이 떨어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피해액이 큰 집단과 피해액이 작은 집단을 구분하여 함수식을 개발할 수 있는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사용하여 호우피해 예측함수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호우피해 예측함수의 NRMSE는 6.34~18.79%로 나타났으며, 대부분 호우피해를 적절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호우피해액이 큰 집단과 피해액이 작은 집단으로 구분할 수 있는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이용하여 낙동강 권역의 시군구별 호우피해 예측함수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시군구별 호우피해 예측함수를 이용하여 사전에 호우피해를 예측할 수 있다면 호우피해액이 크게 줄어들 것으로 사료된다.

  • PDF

Study on Establish of Multi-Hazard Map in Urban Area (도시지역에서의 멀티 해저드 맵 구축을 위한 연구)

  • Kim, Yeon Joong;Yoon, Jung Sung;Tanaka, Kohj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17-17
    • /
    • 2015
  • 세계적으로 최근 국지적 호우에 의한 홍수 및 토사재해가 빈번히 발생하여 인적피해 및 자산피해가 급증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강우에 의해 홍수가 발생되며 하안 및 하천 구조물에 피해를 주는 동시에 월파 및 제방이 붕괴되어 하천에서 제내지로 범람하여 범람피해가 발생된다. 하지만 도시지역에서 발생되는 강우는 불투수 면적비율이 비교적 커 다른 지역보다 최대 침수심이 발생되는 시간이 매우 빠르게 도달하는 환경적 특징이 있다. 또한 선상지 지역에 발달된 도시는 어느 동일한 강우사상에 의해 발생되는 내 외수 범람재해 및 토사재해가 동시에 발생되어 피해가 중첩될 가능성이 매우 크며 피해 리스크 또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이상기후에 의해 발생되는 재해경감을 위해 기존의 대책 및 새롭게 구축되는 해저드 맵에 대해서 이와 같은 여러 재해 발생 가능성을 충분히 고려된 멀티 해저드 맵 구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일본 오노시의 지역방재계획을 위한 통합적인 해저드 맵 구축을 위해 내 외수 범람에 의한 피해 및 토석류 발생에 의한 영향평가를 실시하여 두 재해가 동시에 발생 가능한 지역을 대상으로 멀티 해저드 맵 구축 및 피난계획 수립을 목적으로 최근 발생되는 국지적 호우에 대한 예측을 위해 아직 검토대상 지역에 발생하진 않았지만 발생 가능한 강우사상을 추출하기 위해 DAD 분석을 실시하여 가능최대강우량을 산정하여 외력조건으로 사용하였다. 뿐만 아니라 토석류 모델의 현장 적용성 평가를 위해 2011년에 발생된 우면산 토석류 재해를 대상으로 비교 검토를 실시하였으며 본 논문의 주요한 결과를 아래와 같이 나타내었다.

  • PDF

GIS-based Spatial Zonations for Regional Estimation of Site-specific Seismic Response in Seoul Metropolis (대도시 서울에서의 부지고유 지진 응답의 지역적 예측을 위한 GIS 기반의 공간 구역화)

  • Sun, Chang-Guk;Chun, Sung-Ho;Chung, Choong-Ki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0 no.1C
    • /
    • pp.65-76
    • /
    • 2010
  • Recent earthquake events revealed that severe seismic damages were concentrated mostly at sites composed of soil sediments rather than firm rock. This indicates that the site effects inducing the amplification of earthquake ground motion are associated mainly with the spatial distribution and dynamic properties of the soils overlying bedrock. In this study, an integrated GIS-based information system for geotechnical data was constructed to establish a regional counterplan against ground motions at a representative metropolitan area, Seoul, in Korea. To implement the GIS-based geotechnical information system for the Seoul area, existing geotechnical investigation data were collected in and around the study area and additionally a walkover site survey was carried out to acquire surface geo-knowledge data. For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geotechnical information system used to estimate the site effects at the area of interest, seismic zoning maps of geotechnical earthquake engineering parameters, such as the depth to bedrock and the site period, were created and presented as regional synthetic strategy for earthquake-induced hazards prediction. In addition, seismic zonation of site classification was also performed to determine the site amplification coefficients for seismic design at any site and administrative sub-unit in the Seoul area. Based on the case study on seismic zonations for Seoul, it was verified that the GIS-based geotechnical information system was very useful for the regional prediction of seismic hazards and also the decision support for seismic hazard mitigation particularly at the metropolitan area.

Inundation analysis of Gonjiamcheon due to heavy rains in July 2011 (2011년 7월 집중호우로 인한 곤지암천 범람 모의 해석)

  • Kim, Sang-Ho;Hyun, Jin-Sub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416-416
    • /
    • 2012
  • 최근 엄청난 폭우로 인해 발생한 하천의 범람으로 수많은 인명피해가 발생하였는데, 이를 위해 정부에서는 하천 정비를 포함한 치수 및 방재 정책을 꾸준히 펼치고 있다. 하지만, 지구온난화 등으로 인한 기후변화로 발생하는 자연재해는 예측치를 넘는 집중 호우로 인해 큰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홍수범람을 정확히 예측하기 위한 수치 모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 왔으나 예측 모의결과가 수치적 자료 또는 도면으로 제시되어 재해관리자가 방대한 모의자료를 신속하게 검토하여 방재대책을 수립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여 효과적으로 홍수 및 범람 예측결과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모형결과를 가시화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며, 강우에 따른 2차원 수치해석을 이용하여 흐름의 변화 및 유량을 파악하고 2차적인 피해를 예방하고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 최근 범람을 했던 지역의 자료를 이용하여 흐름의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그러한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11년 7월에 발생한 경기도 광주시 곤지암천 범람을 HEC-RAS 및 CCHE2D 모형을 이용하여 시간별로 제방 붕괴 시점 및 그에 따른 범람 해석을 모의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당시 발생한 하천범람 현상을 예측하고 이를 예방하기 위한 대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Priority Data Handling in Pipeline-based Workflow (파이프라인 기반 워크플로우의 우선 데이터 처리 방안)

  • Jeon, Wonpyo;Heo, Daeyoung;Hwang, Suntae
    • KIISE Transactions on Computing Practices
    • /
    • v.23 no.12
    • /
    • pp.691-697
    • /
    • 2017
  • Volcanic ash has been predicted to be the main source of damage caused by a potential volcanic disaster around Mount Baekdu and the regions of the Korean peninsula. Computer simulations to predict the diffusion of volcanic ash should be performed according to prevalent meteorological situations within a predetermined time. Therefore, a workflow using pipelining is proposed to parallelize the software used for this computation. Due to the nature of volcanic calamities, the simulations need to be carried out for various plausible conditions given that the parameters cannot be precisely determined during the simulations, even at the time of a volcanic eruption. Among the given conditions, computations need to be first performed for the condition with the highest probability so that a response to the volcanic disaster can be provided using these results. Further action can then be performed later based on subsequent results. The computations need to be performed using a volcanic disaster damage prediction system on a computing server with limited computing performance. Hence, an optimal distribution of the computing resources is required. We propose a method through which specific data can be provided first to the proposed pipeline-based workflow.

Implentation of a Model for Predicting the Distance between Hazardous Objects and Workers in the Workplace using YOLO-v4 (YOLO-v4를 활용한 작업장의 위험 객체와 작업자 간 거리 예측 모델의 구현)

  • Lee, Taejun;Cho, Minwoo;Kim, Hangil;Kim, Taekcheon;Jung, Heok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21.10a
    • /
    • pp.332-334
    • /
    • 2021
  • As fatal accidents due to industrial accidents and deaths due to civil accidents were pointed out as social problems, the Act on Punishment of Serious Accidents Occurred in the Workplace was enacted to ensure the safety of citizens and to prevent serious accidents in advance. Effort is required. In this paper, we propose a distance prediction model in relation to the case where an operator is hit by heavy equipment such as a forklift. For the data, actual forklift trucks and workers roaming environments were directly captured by CCTV, and it was conducted based on the Euclidean distance. It is thought that it will be possible to learn YOLO-v4 by directly building a data-set at the industrial site, and then implement a model that predicts the distance and determines whether it is a dangerous situation, which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a comprehensive risk situation judgment model.

  • PDF

The Case Study of Bangladesh for International Cooperation on the Vulnerable Region of Natural Hazard (자연재해 증가 지역의 국제협력 지원 방안을 위한 방글라데시 사례 연구)

  • Lee, Jaw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9 no.2
    • /
    • pp.340-351
    • /
    • 2013
  • International society has been making a lively discussion about natural disaster by climate change to mitigate natural hazard centering around intra-government association. This study dealt with a strategic mitigation and technical adaptation to support a habitual natural disaster region such as Bangladesh in terms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for assistance to protect against the natural hazard. The land-cover on scale of one third of Bangladesh is situated lower than sea level that causes habitual flooding accident which gets increasing in the strengthen every single year. Most of people lives around exterior sea coast being faced with disaster of abnormal storm forming every three year cycle. Especially, the socio-economic status of the people in the coast is usually very low, and it need to get help from international cooperation aid. Therefor, the case study for the vulnerability of natural disaster in Bangladesh on geographical analysis is meaningful to join the international cooperation taking a part of role on technical support and education for adaptation of the natural disaste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