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재배 유형

Search Result 170, Processing Time 0.043 seconds

농촌어메니티에 기초한 농촌자원의 중요도 평가 및 순위적 관계 분석

  • 박창석;전영옥;조영국
    • Proceedings of the KGS Conference
    • /
    • 2002.05a
    • /
    • pp.120-123
    • /
    • 2002
  • 본 연구는 농천어메니티의 개념을 토대로 농촌주민과 도시민의 가치라고 할 수 있는 정주기능으로서의 생활자원화와 방문가치로서의 관광자원화로 구분하고, 이를 토대로 도시민과 농촌주민,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농촌자원의 중요도와 순위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인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농촌자원을 자연적 자원과 문화적 자원, 사회적 자원으로 구분하여 37개 자원을 설정하였다. 이러한 농촌자원은 농촌어메니티를 형성하거나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대상이라고 볼 수 있다. 둘째, 이러한 농촌자원은 농촌주민과 도시민이 지닌 가치에 기초하여 생활자원적 가치와 관광가치적 가치를 동시에 혹은 차등적으로 지닐 수 있다. 이러한 관점은 농촌자원에 대한 중요도 평균에 대한 차이검증(t-test)을 수행한 결과 전체 자원의 56.8%에 해당하는 21개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결과에 의해 지지를 받는다. 셋째, 농촌자원에 대한 순위적 상관관계분석에서도 전문가와 전체집단에서 생활자원과 관광자원에 대한 순위상관관계가 의미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위의 두번째 결과를 지지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농촌자원의 개발 방향과 가치부여가 자원의 속성에 따라 차등적으로 진행되어져야 함을 보여준다. 다섯째, 농촌자원의 유형을 생활자원화와 관광자원화에 대한 중요도의 표준화 점수에 기초하여 4개 유형(유형 I~IV)으로 구분하였다. 이러한 유형별 자원중요도를 고려하여 농촌마을의 개발목적에 비추어 생활자원형이나 관광자원형과의 연계를 통해 마을의 정체성과 특성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요약 및 결론에서 발췌)를 고지도와 지리지.읍지를 통하여 살펴봄으로써 변한 것과 변하지 않는 것을 분석하여 시대상의 복원과 지역사회의 정체성 확립에 일조하고자 한다.곡물의 여러 줄기가 합수하고 물이 역류하지 않으며 잘 감아도는 곳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러한 명당의 기본적인 원리는 장풍(藏風)과 득수득파(得水得破)이다. 장풍과 득수란 '국'(局), 즉 산줄기와 수계로 이루어진 일정한 범위 속에 만물이 생태계 속에서 살아가는 모습인 '체형(體形)'의 의미가 나타나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의미는 시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것이다.면적의 52%를 점유하여 감자 재배지의 핵심지를 이룬다. 4. 한국 감자 재배지역 중심지의 지리적 특징은, 높은 산지지역의 산록완사면에 밭작물로 재배된다는 점과 교통이 불편한 지역으로서 도시화와 산업화 지역의 그늘 지역이 대부분이다. 강원도의 감자 재배지는 감자재배에 적합한 자연환경과 화전농업의 전통, 감자 재배기술의 전파,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지원하는 각종 연구소 분포와 영농지도, 씨감자 생산과 협동조합의 판로 개척, 도로 개설과 포장 등의 인문지리적 요인이 영농조건을 개선하고 감자 판매를 위한 시장접근을 용이하게 하여, 남한 최대의 감자 재배지역을 형성하였다. 제주도는 산지지형과 따뜻한 기온으로 2기작이 가능하고, 감자가공 공장설립과 교통발달에 따른 육지 시장과의 접근이 용이해졌기 때문에 남한에서 2번째로 큰 감자재배지역이 되었다.(요약 및 결론에서 발췌)그람양성균에서 효과적이었으며, 농도별 항균력시험 결과 농도가 증가할수록 비례하여 저해율도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첨가농도를 달

  • PDF

A Study on Growth Characteristics of Wild-simulated Ginseng (Panax ginseng C.A. Meyer) by Direct Seeding and Transplanting (직파 및 이식재배 유형에 따른 산양삼의 생육특성 연구)

  • Kim, Kiyoon;Jeong, Daehui;Kim, Hyun-Jun;Jeon, Kwonseok;Kim, Mahnjo;Um, Yurry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
    • v.32 no.2
    • /
    • pp.160-169
    • /
    • 2019
  • Th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wild-simulated ginseng by direct seeding and transplanting cultivation for develop standard cultivation techniques of wild-simulated ginseng. Bonghwa experimental field were confirm to be suitable location environment for cultivation of wild-simulated ginseng.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germination rate of wild-simulated ginseng was significantly highest when seed size was over 6.5 mm in the spot seeding cultivation. In the case of transplanting, survival rat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when the diameter of root was over 10 mm, planting distance was 7 cm, and the thickness of soil covering was less then 2 cm. The result of growth characteristics of wild-simulated ginseng by cultivation type, growth of stem in spot seeding cultivation was showed significantly increased when seed size over 6 mm, seeding number was 3 grains, and the seeding distance was less then 5 cm. Strip seeding cultivation was showed significantly increased in stem and root growth when seeding distance was 30 cm grains and quantity of seeding was less then 23 g. In the case of transplanting cultivation, it's was showed significantly increased in stem growth when diameter of root was over then 10 mm and direction of rhizome was top and bottom. The results of this study was that to clearly establish the techniques of cultivation of managements and it's will be suggest contribute to the industrial activation of wild-simulated ginseng.

Effect of Cut on Forage Production and Grain Yield of Naked Barley Cultivars (예취가 쌀보리 품종의 청초생산과 종실수량에 미치는 영향)

  • 강영길;강형식
    •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
    • v.36 no.4
    • /
    • pp.294-299
    • /
    • 1991
  • Eight naked barley cultivars were grown in three production systems to select proper cultivars for dual production of forage and grain and to determine production system x cultivar interactions. In the forage systems. barley was seeded on September 27 and October 17, harvested for forage on November 1. December 10 and February 12 from the September 27 planting (forage system I) and on December 10 and February 12 from the October 17 seeding(forage system II). In the grain-only system, barley was planted on November 5. In forage system I, oven-dried forage yields of eight cultivars ranged 195 to 296kg/10a and Saessalbori and Naehanssalbori yielde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other cultivars recording 280 and 296kg/ l0a, respectively. In forage system II, oven-dried forage yields of eight cultivars ranged 106 to 143kg/10a showing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cultivars. Production system x cultivar interactions were significant for lodging at maturity, powdery mildew rating, 1000 kernel weight and grain yield. Leaf area index and biomass at heading, no. of spikes per $m^2$, no. of kernels per spike and test weight were not affected by the production system. Forage utilization delayed heading by 3 days and reduced culm length, spike length, lodging due to heavy rain on May 5 and lodging at maturity except for Songhagbori and Naehanssalbori. Forage utilization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grain yield from the September 27 planting but reduced 9% from the October 17 planting. while Saessalbori and Hyangcheonggwa 1 yielded significantly less than in the grain-only system. Songhagbori appears to be a proper cultivar for dual production of forage and grain in Cheju, considering forage and grain yields. and lodging and powdery mildew resistance.

  • PDF

Weed Occurrence and Competitive Characteristic under Different Cultivation Types of Rice(Oyriza sativa L.) - 1. Distribution and Dominance of Weed and Rice (수도(水稻) 재배유형별(栽培類型別) 잡초발생양상(雜草發生樣相)과 경합특성(競合特性) - 제(第) 1 보(報). 잡초발생양상(雜草發生樣相)과 우점도(優占度) 변이(變異))

  • Im, I.B.;Guh, J.O.;Park, K.Y.
    • Korean Journal of Weed Science
    • /
    • v.13 no.1
    • /
    • pp.26-35
    • /
    • 1993
  • Differences in weed occurrence was investigated among five types of rice (Oryza sativa L.) cultivation. The five types employed were three transplanting cultivations such as conventional hand transplanting, machine transplanting with 30-day-old seedling, and machine transplanting with 10-day-old seedling and two direct-seedings such as flood direct-seeded rice by pregerminated seed and dry direct-seeded rice by dry seed. Weed specie, occurred varied from 7 to 20, depending on the different cultivation types. Weeds were more diverse in transplanting with l0-day-old seedling than in other transplanting cultivations and in direct-seeding than in transplanting practice. Dominant weed species also varied with cultivation types. In transplanting cultivations Scirpus juncoides Roxb., Echinochloa crus-galli (L.) P. Beauv., and Eleocharis kuroguwai Ohwi were dominant, whereas occurrence of annual weeds such as Cyperus difformis L. and Monochoria vaginalis Presl. aside from the three weed species increased in direct-seeded cultivations.

  • PDF

Effect of Slow-release Fertilizer Levels of Rice in Different Cultural Methods (벼 재배양식에 따른 유효성 비료의 시용량이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 정진일;최원영;최민규;이선용
    •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
    • v.40 no.6
    • /
    • pp.747-756
    • /
    • 1995
  • To find out the optimum application method of slow-releasing fertilizer(SRF) and conventional fertilizer(CF) with different fertilization rate under two culture methods[l0-day old seedling machine transplanting(MT) and direct-sowing on dry paddy(DS)] in the south-western region(clay loam soil) of Korea, used were Chosun slow-releasing fertilizer(silicate latex coated fertilizer: N-P$_2$O$_{5}$-K$_2$O =18-12-13) and conventional fertilizer. Plant height and number of tillers with different two culture methods were higher at MT than DS in early growth. The ratio of dry weight in heading stage was higher at CF than SRF in MT than DS and especially, SRF 80% + CF 20% than SRF 100% or CF 100%. Leaf area index (LAI) in heading stage was higher at CF in MT but higher at SRF in DS than their counterparts. Chlorophyll content was higher at SRF than in CF expect for heading stage(HS), especially in DS. It was highest at HS in CF without its difference during maximum tillering stage(MTS) and panicle formation stage(PFS), while highest at PFS in SRF with tendency of gradual increase and decrease before and after PFS, respectively. Heading was delayed 2~3 days at SRF in two cultrue methods and 4~5 days at SRF in DS in comparison with CF in MT with delay of 2 days at DS compared with MT. Culm length was longer at CF in MT and at SRF in DS than their counterparts. Panicle number per m was more at SRF and in DS. Filled grain ratio was higher at CF and in MT. Yield was obtained 101 and 100% at 100% and 80% level of SRF in DS respectively, and 96% at 80% level of CF in MT, compared with conventional application method (516kg /l0a), and increased 2~4% at DS and 0~3% at MT in SRF. Yield was high in order of 100%(SRF) =80%(SRF) + 20%(CF) > 100%(SRF) + 20%(CF) > 80%(SRF) at MT and 80%(SRF) + 20%(CF) =100%(SRF) > 80%(SRF) =100%(SRF) + 20%(CF) at DS.

  • PDF

Setting the Harvest Period by the Types of Planting of Wild Vegetables (산채류 재배유형별 수확기간 설정)

  • Yeom, Gue-Saeng;Moon, Jung-Seob;Yang, Jin-Ho;Kim, Dong-Won;An, Min Sil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9.10a
    • /
    • pp.52-52
    • /
    • 2019
  • 산채는 사람에 의하여 개량 육성되어 논밭에서 재배하고 있는 농작물과 달리 자연 그대로 산야에서 자생하는 식물 중 식용으로 가능한 것을 말한다. 우리나라 산야에는 480종의 식물이 식용으로 이용될 수 있다고 하나 현재 전국에서 재배하고 있는 작목은 36종으로 추정되며, 앞으로도 80여 종이 개배 가능한 작물로 추정된다. 산채류의 이용형태별 생산가능시기는 3~5월의 생채 생산과 6~7월의 건채 생산으로 소비자의 기호에 부합하는 신선 생채의 소비한계는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재배유형별 생채 수량검정을 통해 수확시기 연장 및 재배품목을 다양화 시킬 필요 있다. 이에 본 시험은 산채류 재배유형별 수확기간을 구명하고자 표고 500 m의 전북 남원시 허브산채시험장에서 2018년 5월 말 갯기름나물 등 15 종을 노지와 하우스에 정식하여 각 작물의 생육특성, 수확한계기 등을 조사하였다. 1년차 지상부 생육특성을 조사한 결과 참취, 개미취, 섬쑥부쟁이, 질경이, 갯기름나물, 두메부추, 돌단풍, 참당귀의 경우 초장, 엽장 등은 노지보다 하우스에서 높은 편이었고 생존율은 비슷하거나 하우스에서 더 높은 경향을 보였다. 우산나물, 단풍취의 생존율은 하우스에서 더 높았으나 생육 초기 엽소현상으로 인해 1년차 생육은 노지, 하우스에서 둘 다 저조하였고 곤달비, 어수리, 곰취, 눈개승마의 경우 노지에서는 7월 중순이후 지상부가 전부 고사하였으나 하우스에서는 생존율이 상대적으로 양호하여 11월 상순까지 후기 생육을 하였다. 2년차 산채류 출현기 조사한 결과 하우스 재배에서 산마늘이 2월 중순으로 가장 빨랐고 갯기름나물, 곤달비 등 10종이 2월 하순에 출현하였으며 참당귀 3월 상순, 단풍취 및 우산나물 3월 중순, 돌단풍이 가장 늦은 3월 하순에 출연하였다. 생체수확 시기는 갯기름나물, 눈개승마, 산마늘, 두메부추, 섬쑥부쟁이는 3월 중순부터 가능했고 곤달비 등 12개종은 3월 하순, 우산나물은 4월 상순, 돌단풍은 4월 중순으로 가장 늦게 생체수확이 가능했다. 노지 재배의 경우 산마늘과 눈개승마가 3월 중순으로 가장 빨랐고 갯기름나물 등 10종이 3월 하순에 출현하였으며 돌단풍, 참당귀, 단풍취가 4월 상순으로 가장 늦은 출연을 보였다. 생체수확 시기는 눈개승마와 산마늘이 4월 상순으로 가장 빨랐으며 갯기름나물 등 10종이 4월 중순부터 가능했고 돌단풍, 참당귀, 단풍취가 4월 하순으로 가장 늦었다. 수확한계기 조사 결과 눈개승마, 산마늘, 우산나물은 하우스 및 노지재배에서 20일정도로 가장 짧았으며 그 외 작물들은 계속적으로 수확이 가능하였으나 6월 상순 이후에는 품질이 나빠져 생체상품으로서 가치가 없었다.

  • PDF

Alterations in qualities of different cultivation types of garlic during storage: Changes assessed by ultrasonic and organic acid treatment (초음파 및 유기산 처리에 따른 재배유형별 마늘의 저장 중 품질변화)

  • You, Gwang Yeon;Hwang, Young;Kim, Kyumg Mi;Cho, Yong Sik;Jang, Hyun Wook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54 no.1
    • /
    • pp.80-87
    • /
    • 2022
  •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organic acid and ultrasonication treatment in maintaining the quality of garlic during storage. Samples were exposed for 5 min to either ultrasonication at 60℃, 1% citric acid, or 0.5% fumaric acid. Presence of microorganisms and minerals, hardness, and color were compared during storage at 4℃ for 28 days. The total aerobic bacterial count remained low. No proliferation of Escherichia coli was observed after treatment with fumaric acid or ultrasonication, and mold proliferation was inhibited by ultrasonication. The mineral content of the northern type garlic was higher than that of the southern type. Exposure to fumaric acid did not result in a substantial difference in hardness until 21 days of storage, at which time there was a decrease in the L-value in each cultivation type. Our results indicate that treatment with 0.5% fumaric acid for 5 min was effective in reducing the abundance of microorganisms during storage without affecting the hardness or color in garlic.

건강과 자연농업-제211호

  • Korea Organic Farming Association
    • THE HEALTH and ORGANIC FARMING
    • /
    • no.211
    • /
    • pp.1-12
    • /
    • 2005
  • 유기농업 연수회 유치 요청쇄도/유기재배에서의 윤작/맛 좋은 쌀 생산방법/쌀겨를 이용한 제초효과/유기농업의 기초/음주와 정신 건강/겨울철 실내건조 해결법/친환경농업 직불금 예산을 늘리자/우리아이들을 위해 학교급식은 유기농산물로 해야/농림부 친환경농업육성법 개정안 주요골자/친환경유기농산물 소비.유통의 활성화 방안/순환농업의 지역별 유형/국제기준에 의한 유기농산물 생산기술/토양전염성 병해/미생물 자재에 대한 올바른 이해/유기재배 쌀과 일반재배 쌀의 품질 특성 연구

  • PDF

방제포커스(2) - 파프리카 주요 해충 방제

  • Park, Hong-Hyeon
    • Life and Agrochemicals
    • /
    • s.283
    • /
    • pp.45-47
    • /
    • 2012
  • 파프리카(Paprika)는 착색단고추로 1995년부터 본격적으로 재배, 수출용으로 소비되었으나 최근에는 피자, 샐러드용으로 국내소비도 많아지고 있다. 재배양식은 여름형과 겨울형이 있다. 여름재배는 3월 중순경 정식, 6월 중순부터 12월까지 수확한다. 겨울재배는 9월 초순정식, 12월 초부터 7월까지 수확하여 연중 재배되고 있다. 시설 내 파프리카 생육적온은 주간 $21-27^{\circ}C$, 야간 $18-19^{\circ}C$이며 습도는 70-80%로서 시설내 발생하는 미소해충들이 번성하기에 좋은 조건이다. 해충 방제는 피해를 정확히 진단하고 발생초기에 적절한 방제수단을 강구하여야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따라서 재배유형별로 작기 전 기간에 걸쳐 종합적인 해충관리대책이 수립되어야 하며, 어린모 구입시 건전묘 구입, 해충 수시 예찰과 조기방제, 작기 후 포장위생을 철저히 하여야 한다.

  • PDF

Case studies for estimation nitrogen and phosphorous balance with different cropping systems in upland (현장사례를 통한 밭 작부의 질소와 인산양분 수지 평가)

  • Yun, Hong-Bae;Lee, Sang-Min;Kim, Myung-Sook;Lee, Ye-Jin;Lee, Yeoun;Lee, Jong-Sik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44 no.5
    • /
    • pp.762-766
    • /
    • 2011
  • Cropping system is very important for environment conservation and improvement of nutrient recovery rates in agricultural land. This case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nutrient balance of major upland cropping types with different districts. Typical cropping systems at MuAn and HaeNam located in the south coast district were cultivated with soybean-chinese cabbage or garlic and garlic-soybean-chinese cabbage-hot pepper. Alpine district, PyeongChang was cultivated with double cropping of chinese cabbage and potato-radish or chinese cabbage for one year. Typical cropping type of AnDong, YeongYang where are well known for hot pepper cultivation was hot pepper's mono cropping and hot pepper-soybean or hot pepper-sesame for one year. But SeoSan and HongSeong, where are located in mid-west coast had variety cropping system compareed to other districts. Double cropping of chinese cabbage, a heavy fertilizing crop, caused higher nutrient balance in the field when it was cultivated consistently. Experiment showed that heavy fertilizing crops, such as chinese cabbage, garlic and onion, need to be rotated with soybean and sesame cultivation which need smaller fertilizer level. Alpine arable land has shown higher nutrient balance than other areas, and the introduction of rotation crops are needed to reduce nutrient balance and environmental prot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