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재난정보수집

Search Result 340, Processing Time 0.03 seconds

An Implementation of Application for Collecting Disaster Information using Smartphone (스마트 폰을 이용한 재난정보수집 애플리케이션 구현)

  • Lee, Jung-Ki;Kim, Chang-Soo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15 no.1
    • /
    • pp.108-114
    • /
    • 2012
  • Government-related organizations and institutions are stepping up their efforts to establish information system and service for disaster prevention because of the increasing occurrence of disaster. Therefore, they are collecting numerous disaster data using various way such as using mobile device or disaster history document. However, these method requires large amount of time and effort. Moreover, it is difficult to connects with another system because previous ways fall short of standard and connectivity. Therefore, this paper focused on collecting various disaster information using smartphone application and then complement the drawbacks of previous system.

Disaster situation and damage status DB design and mobile disaster site information collection app development (재난상황·피해현황 DB설계 및 모바일 재난현장 정보수집 앱 개발)

  • Jang, Cho Rok;Cho, Jung Yun;Song, Ju Il;Jang, Moon Yup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237-237
    • /
    • 2021
  • 2020년의 경우 6월부터 8월 중순까지 54일 동안 전국에 걸쳐 대규모 폭우가 집중적으로 내리면서 산사태·침수·저수지 붕괴 등이 산발적으로 발생하였다. 특히 집중호우와 같은 풍수해의 경우 매년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재난유형으로서 안전점검과 같은 대비를 위한 활동을 실시하고 있음에도 피해가 꾸준히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재난으로 인한 반복적인 피해로 인해 국가의 재난대응에 관한 관심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현재 이러한 재난대응을 위하여 재난유형별로 위기관리 매뉴얼을 구축하였으며, 13개 협업기능을 통해 효율적인 재난대응을 실시하고자 정부 및 각 지자체, 유관기관 등이 노력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복합적이고 큰 규모의 재난이 발생하면 현장과 상황실 간에 정보공유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문제가 반복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재난이 발생하면 지자체에서 재난대응 및 상황관리를 우선적으로 실시하고 있으나 재난현장에 파견한 현장담당자의 경우 잦은 보직이동으로 재난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정보와 전달해야하는 필수정보에 대해 정확히 알지 못해 재난현장에서 수집해야할 정보들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는 등 재난대응에 있어 어려움을 겪기도 한다. 또한 현장대응 담당자들이 초기 대응에 집중 할 수 있는 정보전달 체계가 존재하지 않아 상황실에서 재난현장으로 필요로 하는 정보를 전송하는 현장대응 지원체계가 미비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재난현장과 상황실 간 원활한 소통뿐 만 아니라 재난현장담당자들이 재난현장 및 피해현황 정보 등을 신속하게 수집할 수 있도록 재난현장에서 필수적으로 수집되어야하는 정보 DB(Database)를 설계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모바일 기반 재난현장 정보수집 앱을 개발하여 현장대응 지원체계의 기초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Improving Methods and System Status for Gathering Disaster Information (재난정보 수집 시스템 현황 및 개선 방안 연구)

  • Park, Jae-Min;Song, Young-Mi;Chun, Young-Hak;Kim, Cha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2.05a
    • /
    • pp.815-816
    • /
    • 2012
  • In order to a quick response to disasters preparation, it is necessary to collect an disaster information quickly. In this study, it is essential to look for several methods to collect the information about disaster in real time, and we also examine how the collected information can be utilized in any way.

  • PDF

The Development of Automatic Collection Method to Collect Information Resources for Wed Archiving: With Focus on Disaster Safety Information (웹 아카이빙을 위한 정보자원의 자동수집방법 개발 - 재난안전정보를 중심으로 -)

  • Lee, Su Jin;Han, Hui Lyeong;Sim, Min Jeong;Won, Dong Hyun;Kim, Yo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 /
    • v.17 no.4
    • /
    • pp.1-26
    • /
    • 2017
  • This study aims to provide the efficient sharing and utilization method of disasters scattered by each institution and develop automated collection algorithm using web crawler for disaster information in deep web accounts. To achieve these goals, this study analyzes the logical structure of the deep web and develops algorithms to collect the information. With the proposed automatic algorithm, it is expected that disaster management will be helped by sharing and utilizing disaster safety information.

Analysis of disaster-accident informa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활용한 재난사고정보 분석)

  • Ahn, Jaehwang;Choi, Youngje;Lee, Inhwa;Chae, Heechan;Yi, Jae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106-106
    • /
    • 2017
  • 우리나라는 현재 재난의 유형을 자연재난과 사회재난으로 구분하여 관리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재난 사고 사례를 살펴보면 단일재난으로 인한 피해보다 자연재난이 발생한 이후 사회재난으로 재난이 전파되는 복합재난의 형태가 종종 나타나고 있다. 복합재난은 단일 재난에 의한 피해(인적, 물적) 보다 크게 나타나고 복합재난의 발생원인 및 전파과정을 분석하기 어려워 이에 대한 다각적인 분석과 동시에 재난상호간의 연관성을 도출하는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과거 재난사고정보를 분석하는 연구는 일반적인 통계기법을 활용한 분석에 머물러 있으며 수집된 재난사고사례가 많지 않아 분석에 신뢰성을 보장할 수 없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복잡하게 나타나는 재난 사고를 분석하기 위하여 최근 각광받고 있는 인공지능 분석기법을 연구에 고려하였다. 본 연구의 과정은, 첫째로 재난사고정보 분석에 인공지능을 활용한 사례를 조사하고 여타 연구분야에서 적용되고 있는 인공지능 분석기술을 재난사고정보 분석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둘째로 수집가능 한 재난사고정보를 수집하고 인공지능 모형에 적용가능 한 형태로 변환하는 과정을 수행하였다. 셋째로 변환된 재난사고정보를 대표적인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다양한 질문(목적)에 부합하는 재난사고정보 분석모형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적용한 모형의 신뢰성을 비교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재난사고정보 분석에 적용가능 하며 질문(목적)에 부합하는 최적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system for collecting and displaying disaster site information for disaster situation management : focusing on earthquakes (재난상황관리를 위한 재난현장정보 수집 및 표출시스템 개발 연구 : 지진을 중심으로)

  • Koo, Jee Hee;Song, Juil;Cho, Jung Y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40 no.1
    • /
    • pp.31-40
    • /
    • 2022
  • The importance of disaster management and response is emerging as various disasters such as COVID-19, torrential rains, and fires occur one after another. In addition, in order to respond efficiently throughout disaster response activities, it is necessary to quickly collect disaster site information and quickly check the site situation through photo and video information so that rapid disaster response can be achieved. In this study, essential information required for decision-making was derived by analyzing the essential activities of each disaster response stage, analyzing the crisis management standard manual and related laws for each disaster type, and daily comprehensive report. In addition, a list of information necessary to grasp the situation of the disaster site and grasp the status of real-time damage was derived to establish guidelines for collecting volatile disaster site information, and disaster situation information can be efficiently displayed through a spatial information-based display system. By presenting essential disaster management information to be collected first, the person in charge of collecting information can efficiently collect information, and the situation room in charge of disaster response decision-making is expected to enable more efficient disaster situation management by receiving only the necessary information.

A Design of Prototype System for Information Collection and Management based on Disaster Site (재난현장 중심의 정보 수집 및 관리를 위한 프로토타입 시스템 설계)

  • Lee, Jung-Ki;Bae, Ihn-Han;Kim, Chang-Soo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15 no.1
    • /
    • pp.101-107
    • /
    • 2012
  • Real time information on disaster situation is very important in disaster prevention effort. Generally, disaster related organizations use mobile devices to collect various disaster informations of disaster site. However, current disaster collection systems do not provide effective functionality to connect with another disaster information system. Therefore, disaster-related organizations have to make smartphone application for collection and administration of disaster information and then connect it with another information system. If this system is commercialized, vulnerability of previous system can be complemented. Thus, this paper focused on designing a prototype system for information collection and management in disaster site using smartphone applicatiom.

Development of rapid prediction technique of storm surge height for disaster response (해안재난대응을 위한 폭풍해일 범람파고 신속 예측기술개발 연구)

  • Kim, Dongseag;Hong, Sung-jin;Park, Hyung-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5.11a
    • /
    • pp.278-279
    • /
    • 2015
  • 최근 해수욕장, 저지대 침식, 해안시설물 노후화 등과 같이 해안지역 구성 및 지형적 요인에 따라 국지적으로 발생하는 피해와 태풍 및 이상너울 등의 대규모 기상현상에 의해 해안재난이 발생가능성이 높아지고 실제 발생하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재난대응을 위한 과학적 재난정보 수집 및 분석을 통해 의사결정에 활용하고 효과적으로 예방 대응하고자 유관기관에서 다양하게 구축된 시스템의 재난관련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태풍 내습시 신속한 대응을 위해 폭풍해일 시뮬레이션을 통해 범람파고를 추정하였다. 기존 상황판단을 위한 정보수집단계에 추가적으로 관측자료 및 시뮬레이션을 통한 정량적 피해추정정보를 신속하게 제공함으로서 재난상황판단을 가능할 수 있도록 방안을 마련하였다.

  • PDF

Smart sensor based social disaster notification system (스마트 센서 기반 사회재난 상황 알림 시스템)

  • Lim, Hojung;Kim, Sanghan;Lee, Daesung;Kim, Jungk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7.11a
    • /
    • pp.133-136
    • /
    • 2017
  • 사회재난을 예방하고 재난 상황에서 위기 대처를 신속하게 수행하기 위해서는 재난 상황을 신속하게 인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재난 상황의 신속한 인지를 위해서는 현장에 설치된 각종 센서로부터 상황 정보를 사물인터넷을 통해서 빠르게 수집하고 중요 이벤트 발생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 수위 센서 데이터의 효율적인 수집과 데이터 전송을 위한 사물인터넷 기반 사회재난 상황 알림 시스템을 설계하고 평가한다.

  • PDF

Design and Construction Strategy for Disaster and Safety Record Information Resources Archives Based on Automatic Acquisition (자동수집 기반 재난안전 기록정보자원 아카이브 설계 및 구축전략)

  • Han, Hui Jeong;Gang, Ju-Yeon;Kim, Yong;Oh, Hyo-Ju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 /
    • v.17 no.4
    • /
    • pp.127-154
    • /
    • 2017
  • Large-scale and complex disasters have frequently occurred all over the world recently, and they are repeated every year. Accordingly, the need for the systematic management and utilization of raw-data and processing information in the past has increased. For this purpose, this study proposed a construction strategy for disaster and safety record information resources archives based on automatic acquisition, which can be used as a hub for disaster and safety information. Based on local and foreign case studies, several consideration factors for building the archives are determined. Finally, this study proposed four steps for constructing the archives. These are as follows: 1) complete enumeration survey of the disaster and safety record information resources, 2) automatic acquisition possibility study, 3) selection of the resources for preservation, and 4) automatic acquisition of metadata. The construction of the archives proposed in this study will facilitate integrated management, sharing, and use of scattered information resources on disaster and safe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