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재가급여 노인 수급자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6초

사회적 지지 프로그램이 노인장기요양 재가급여 노인 수급자 가족원의 부담감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a Social Support Program on Family Caregivers' Role Strain in Elderly Long-term Home Care)

  • 오미혜;박경민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37-145
    • /
    • 2014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a social support program on family caregivers' role strain in elderly long-term home care. Methods: The research adopted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number of participants was 25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25 in the control group sampled among family caregivers in elderly long-term home care.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a 10-session social support program, which consisted of physical, emotional, informational, and material support. The effect of the program was evaluated by measuring family caregivers' role strain.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family caregivers' role strain in elderly long-term home care. Conclusion: The result suggests that the social support program was effective in decreasing family caregivers' role strain in elderly long-term home care. There is a need to develop more effective and systematicsocial support programsfor family caregivers of elderly long-term home care.

노인장기요양보험 이용지원 상담 대상자 선정모형 개발 (A Target Selection Model for the Counseling Services in Long-Term Care Insurance)

  • 한은정;김동건
    • 응용통계연구
    • /
    • 제28권6호
    • /
    • pp.1063-1073
    • /
    • 2015
  • 우리나라 노인장기요양보험에서는 수급자와 그 가족부양자가 수급자의 심신기능 상태와 욕구에 따라 불이익이나 불편함이 없이 비용-효과적으로 장기요양 급여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자 이용지원 상담을 제공하고 있다. 본 연구는 재가급여 이용자의 이용지원 정기상담 대상자 선정시 상담 대상자의 욕구를 반영하지 않아 이용지원 상담의 만족도와 효율성이 낮은 문제를 통계학적 모형을 활용하여 해결하고자 수행되었다. 모형 개발을 위해 2013년 3월 장기요양 재가급여를 이용한 수급자와 가족부양자를 대상으로 이용지원 상담에 대한 욕구와 관련 변수를 조사하였으며, 2,000명이 조사를 완료하였다. 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이용지원 상담 대상자 선정모형을 다양한 데이터마이닝 기법(로지스틱 회귀모형, 의사결정 나무모형, Lasso 모형, 자동 신경망모형, 그래디언트 부스팅, 앙상블 모형)을 통해 개발하였고, 이중 가장 안정적이고 현장 적용이 쉽고 성능이 좋은 Lasso 모형 결과를 최종모형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가 이용지원 상담의 만족도를 높이고 업무를 효율화 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의사결정나무기법을 활용한 노인장기요양보험 표준급여모형 개발 (A Decision-support System for Care Plan in Long-term Care Insurance)

  • 한은정;이정석;김동건;권진희
    • 응용통계연구
    • /
    • 제27권5호
    • /
    • pp.667-679
    • /
    • 2014
  • 우리나라 노인장기요양보험에서는 수급자가 월 한도액 범위 내에서 필요한 서비스를 비용-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자 표준장기요양이용계획서를 작성하여 제공하고 있다. 본 연구는 표준장기요양이용계획서의 객관성 확보와 업무 효율성 제고를 위하여 의사결정나무기법을 이용해 수급자의 건강 및 기능 상태에 맞는 최적의 급여계획을 도출하는 표준급여모형을 개발하였다. 타당도 높은 모형 개발을 위하여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전국 220개 장기요양운영센터로부터 장기요양인정조사와 표준장기요양이용계획서 작성 경험이 풍부한 직원(본 연구에서는 '훈련된 조사자'라고 함)을 추천받아 자료수집의 내용과 방법에 대해 교육을 실시하였고, 이들이 수급자의 건강 및 기능 상태를 평가하고 작성한 수급자 개인별 맞춤형 급여계획을 자료 분석에 활용하였다. 표준급여모형은 1단계로 시설 또는 재가 급여 권고 여부를 결정하는 모형을, 2단계로 재가급여를 권고했을 경우의 재가급여 세부 종류별 권고 여부를 결정하는 모형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표준급여모형은 전산프로그램화 되어 국민건강보험공단 직원이 수급자에게 제공할 표준장기요양이용계획을 수립하는 과정에 실제로 활용되고 있어 표준장기요양이용계획서의 객관성 확보와 업무 효율화가 기대된다.

노인장기요양보험 재가급여 수급자의 구강위생서비스 요구도와 비용지불의사 (Demand and willing to pay for oral hygiene service in long-term care insurance of elderly)

  • 김한나;김기연;노희진;김남희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al Health
    • /
    • 제42권4호
    • /
    • pp.204-209
    • /
    • 2018
  •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demand and willingness to pay for oral hygiene services among elderly people with long-term care insurance. Methods: Our study was a cross-sectional analysis. Subjects comprised 126 elderly individuals from long-term home-care centers. A total of 28 centers were selected through convenience sampling from among 78 centers in ${\bigcirc}{\bigcirc}$. For analysis, semi-structured questionnaires that required about 20-30 minutes to complete were used.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23.0 software. Results: The overall demand for oral hygiene services was 44.4%, and willingness to pay was 31.0%. Thirty-three people (58.9%) of elderly those who have demand for an oral hygiene service were willing to pay for the service, and 64 people (91.4%) who did not have a demand were not willing to pay for it. Among those with partial dependence on brushing, 65.6% had demand for oral hygiene services and 50.0% were willing to pay costs. Among basic livelihood beneficiaries, 69.6% were willing to pay for oral hygiene services; general subjects and relievers were less willing to pay. Conclusions: The overall demand for oral hygiene services among elderly people was 44.4%, and the willingness to pay was as low as 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