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장애인화장실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22초

휠체어사용자용 화장실의 규격기준에 대한 연구 (A Study on Standards of Wheelchair User Accessible Toilet Rooms)

  • 신동홍;박광재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24권4호
    • /
    • pp.27-35
    • /
    • 2018
  • Purpose: The diverse users and the increase of power wheelchair users have made it difficult to apply the standards of Wheelchair user accessible toilet rooms for the existing law and BF-certification. To address these issues, the standards of the relevant laws have been improved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8), but there are still many problems. In this study, problems with the standards for Wheelchair user accessible toilet rooms in Korea are analyzed by comparing national and international standards. In addition, improvements to standards for Wheelchair user accessible toilet rooms will be suggested. Method: It presents improvement for standards of Wheelchair user accessible toilet rooms by comparing national, international standard and standards of many countries. Korean standard, International Standard(ISO 21542), American Standard(ADA Standards), German Standard(DIN 18040-1), Austrian Standard($\ddot{O}NORM$ B 1600) and Swiss Standard(Norm SIA 500)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Results: Korea's standards differ from the ISO and the Standards of other countries in many ways, so there is a need for realignment. Specifications for disabled toilets and clear criteria for the size, shape, and location of sanitary appliances in toilets that are practically available to wheelchair users should be provided. Considering the increasing number of disabled toilet users, the installation of various disabled toilet rooms should be considered considering the user characteristics of those who can walk and wheelchair users. Implication: Recent partial improvements to relevant laws cannot meet the requirements of various users. Therefore, comprehensive and clear standard should be presented that take into account changing society and the environment.

M-IPA를 이용한 장애인과 일반인 지하철 이동시설만족도 비교 연구 (A Comparative Analysis on Performance of Transport Facilities in Subway for Vulnerable Pedestrians and Non-Vulnerable Pedestrians Using Modified-IPA)

  • 김태호;손상호;박제진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9권6D호
    • /
    • pp.703-709
    • /
    • 2009
  • 본 연구는 교통약자의 이동시설에 대한 실태 및 의식조사를 바탕으로 향후 지하철역사에 추가 도입될 교통약자 시설 개선의 전략 수립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를 위해 선행연구와 교통약자의 이동편의 증진법의 이동시설 관련 평가항목을 선정하고, 설문조사 및 변형된 중요도-만족도(M-IPA)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장애인이 시급히 개선을 요구하는 사항에 대한 개선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장애인을 중심으로 결과를 서술하였다. 첫째, 종합적인 측면의 M-IPA 분석결과 장애인은 안내시설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세부적인 측정지표별 M-IPA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보행접근로, 안내방송 및 표지판, 경보 및 피난시설, 장애인화장실에 대한 시설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나 일반인들에 비해 지하철 역사로의 접근과 정보제공에 대한 부분이 중점적으로 부각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장애인들을 위한 시설개선시 접근과 정보제공에 대한 시설을 시급히 개선하는 것이 지하철 역사의 접근과 이동성 제고를 위해 가장 우선순위 높은 개선사항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한국 국립공원 사찰 공중화장실 디자인 연구 (Design for Public Lavatory in Korean Temple Considering the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al Concept)

  • 온순기;양우창;유상완;박주남;정태운
    • 디자인학연구
    • /
    • 제15권2호
    • /
    • pp.147-156
    • /
    • 2002
  • 우리나라는 2002년 한·일 공동주최 월드컵이라는 국제적 대회의 개최로 인한 외국인 입국자의 증가로 시설물 확충 및 개보수의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되어지고 있다. 하지만 한국관광공사에 따르면 외국인 관광객의 한국여행 시 안내표지판 미비 및 화장실의 불결이 가장 큰 불편사항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중 화장실은 숫자적으로 증가하였으나 관리소흘과 시설의 낙후 등으로 문제가 크게 대두되고 있으며 또한, 디자인측면과 장애인 시설측면의 미흡함으로 관광한국으로서 많은 문제점이 도출되고 있는 실정이다. 화장실에 대한 기존연구는 1980년대부터 시작되어 왔지만 시설물 개선 및 확충, 시민의식의 제고 측면에 편중되어 있기 때문에 공간배치 및 시설물 계획만을 주로 검토하고 있어 공중화장실의 전통적 디자인 측면이나 환경측면에 대한 고려의 연구가 미흡하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체크리스트를 통해 공중화장실의 문제점과 실태를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립공원에 적용되어질 수 있는 공중화장실의 디자인을 한국불교 건축양식을 적용하여 쾌적한 환경창출과 한국 전통문화를 느낄 수 있는 공간으로 재탕출하였다.

  • PDF

충남지역 장애인화장실의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pace Composition of Impediment persons Latrines in Chung Nam Area)

  • 도용호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8권3호
    • /
    • pp.27-34
    • /
    • 2006
  •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space composition by focusing on the impediment persons latrines among the public latrine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order to eliminate the rejection feeling which the word feeling of impediment persons' latrine communicates, its name should be changed into the impediment persons latrine. Thus, the impediment persons, the old and the weak, the pregnant women and the nursing mothers, who suffer the difficulty to use the general latrines, should use such impediment persons latrines jointly. By lowering the height from the ground to the latrine floor, the impediment persons, who use their wheel chairs, should gain the easy access to such impediment persons latrines. By equipping the doorway of public latrines and impediment persons latrines with the automatic door instead of the sliding door, the impediment persons should use such latrines conveniently. The locations and sizes of impediment persons latrines differ with one anothe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nite constantly their location, scale, and facilities.

  • PDF

대학내 위생시설의 장애학생 이용 가능성에 대한 조사·평가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Sanitary Arrangements for the Disabled Person in University)

  • 박광재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10권1호
    • /
    • pp.59-68
    • /
    • 2004
  • The sanitary arrangements and Toilets are very important for a barrier-free environment of university education. this paper try to provide basic evaluation of the sanitary arrangements for disabled person in university.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is study has analyzed with questionnaire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the 188 universities. As the result, from the barrier-free environmental evaluation of the sanitary arrangements, the large-scale university and the university with special admission rules for the disabled person are highly evaluated, while the small-scale university and the university without special admission rules are done low.

  • PDF

객체 인식을 활용한 시각장애인용 지하철 길 안내 시스템 (Subway Guidance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Using Object Recognition)

  • 윤성철;박종혁;주세환;한윤원;김성완;김종득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278-1281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시각장애인들의 지하철 이용의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는 내비게이션 앱을 개발하였다. 스마트폰 카메라가 전방을 인식하여 사물을 판단 후 장애물 혹은 위험요소를 사용자에게 음성으로 전달한다. 또한, 사용자의 원활한 지하철 이용을 위해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지하철 환승 정보, 화장실, 출구 정보 등의 이동 편의를 위한 실질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시각장애인은 본 앱을 활용하여 지하철을 더욱 편하고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다.

충남지역 공중화장실의 평면구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lan Composition of Public Toilet in Chung Nam Area)

  • 도용호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9권2호
    • /
    • pp.21-28
    • /
    • 2007
  • This thesis analyzed the uniqueness of a toilet plane structure, centering on a case of Beautiful Public Toilet Construction Project under a project by Chungcheongnam-do and drew a conclusion as followings. Most of public toilets, constructed under a project by Chungcheongnam-do, were located in remains, tourist resorts, parks, and the outskirts of traditional markets. They were constructed at the selected location within an easy access of most user and plane structure was also designed so that the persons, in charge of management and maintenance, and the users could use them without difficulty. But some public toilets didn't establish the handicaps' toilet or made them difficult to sue due to location or size. The plane structure style was various such as a rectangular, stream line, or circle in accordance with location or building size. A circle-styled toilet offered a good view but didn't offer a good access or an effective space for users. In addition, when a handicapped person enters a toilet, he or she has to enter or go out of it through a sliding dor. So a constructor has to make progress of a work in accordance with this point.

  • PDF

청주시 소재 치과의료기관의 장애인 접근성 확보를 위한 편의시설 실태조사 (A Study on the State of Convenience Facilities for the Accessibility of a Disabled Person in Dental Institutions in the City of Cheongju)

  • 임순연;김선주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35-241
    • /
    • 2011
  • 본 연구는 치과의료기관을 대상으로 장애인 편의시설의 설치 실태를 파악하여 향후 장애인의 치과의료기관 이용 편의성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삼고자 2011년 3월부터 4월까지 충청북도 청주시에 개설신고 된 치과의료기관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장애인 편의시설 기준항목을 선정하여 항목별 시설물의 설치 실태를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조사대상 의료기관은 치과의원이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의료기관 개설 시기는 1990년 이전부터 2011년까지 전체적으로 폭넓게 분포하고 있었으며 건물 내 치과진료실의 위치는 대부분 2-3층에 위치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치과의원의 장애인 편의시설은 주출입구 접근로 및 승강기의 설치율이 가장 높았고 장애인 주차구역과 장애인용 화장실의 경우 편의시설 중 설치율은 매우 낮게 나타났으나 병원 및 보건소는 조사대상 편의시설이 모두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2006년 이후에 개설된 의료기관이 1990년 이전에 개설한 의료기관과 비교하여 편의시설 항목 전체에서 높은 설치율을 보였고, 1-2층에 위치한 경우보다 3층 이상에 위치한 치과의원의 설치율이 모두 높게 나타났다.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율은 병원 및 보건소가 높았고 치과의원의 경우 대체로 낮게 조사되어 향후 편의시설의 의무사항을 일차 의료기관까지 확대하는 법적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장애인들의 치과의료기관 접근 편의성 확보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피공공도서관의 장애인화장실 편의시설 설치실태에 관한 연구 -대구광역시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The Study about Installation Condition of Convenient Facilities on Toilets for the Disabled in Public Libraries -Focused On the Public Libraries in Daegu-)

  • 서경자;김종영;공성훈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16권4호
    • /
    • pp.103-111
    • /
    • 2013
  • In view of the fact that modern society has a range of origins causing disability, the population of acquired crippled is escalating. Hence, it is obligatory to facilitate every visitors can utilize facility equitably because public libraries are being changed to compounded service area. Particularly, it is urgent to manage space planning and accommodation by considerate the requirement traits of disabled who are a susceptible social group about knowledge information. This study analysis installation of toilet, the inevitable factor of hygiene facility, for disabled equipped in four different public libraries in Daegu with related on the standards of establishment for prolonged stay through advanced research and legislation connected on handicapped. This study provides foundation data to establish construction plan for disabled to alleviate inconvenience of taking service of public library, and to compose satisfying hygiene facility.

전시시설의 정당한 편의 제공 실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alysis of Reasonable Accommodations at Exhibition Facilities)

  • 이규일;김인순;이기정;이태은
    • 재활복지
    • /
    • 제17권4호
    • /
    • pp.311-338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전시시설에서의 정당한 편의제공 현황을 파악하여 이에 대한 문제점을 도출하고 분석함으로써 편의제공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전시시설의 정당한 편의제공 현황분석을 위해 23개 전시시설을 대상으로 물리적 정당한 편의제공 범위에 포함되는 편의시설에 대한 현황과 더불어 서비스 측면의 비물리적 정당한 편의제공 현황을 실태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시설물 영역 중 외부의 접근과 관련하여 관람자가 안전하고 편리하게 대지 내의 접근로를 이동하여 전시시설까지 이동할 수 있도록 보행안전통로를 확보한다. 둘째, 전시시설 내부에서의 안전한 관람이 가능하도록 바닥면을 미끄럽지 않도록 처리하고, 시각장애인이 이동할 때에 위험요소인 장애물을 제거한다. 셋째, 승강기 내부 조작반과 장애인용화장실 설치시 휠체어사용자와 시각장애인의 이용시설이 같지 않다는 점을 고려하여야 한다. 넷째, 장애인의 안내를 위한 촉지도, 점자안내판, 시설물 축소모형 등을 설치하고 시설 편의이용정보가 기재된 안내서를 구비한다. 다섯째, 시 청각 장애인이 다양한 감각을 이용하여 전시물을 체험할 수 있도록 서비스 영역 측면의 다양한 편의가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