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장미과

Search Result 416,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Breeding of Orange Rose "Peach Pudding" with Good Color and Shape (화형, 화색이 우수한 오렌지색 절화용 스탠다드 장미 "피치푸딩" 육성)

  • Kim, Won-Hee;Kim, Seung-Tae;Huh, Kun-Yang;Lee, Eun-Kyung;Park, Pil-Man;Kim, Young-Jin
    • Korean Journal of Breeding Science
    • /
    • v.41 no.1
    • /
    • pp.40-43
    • /
    • 2009
  • A new standard rose cultivar "Peach Pudding" was bred from the cross between deep red standard cultivar 'Red Sandra' and light pink standard cultivar 'Dolores' at the National Horticulture Research Institute. The cross was made in 2000 and "Peach Pudding" was finally selected in 2006 after 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for three years from 2002 to 2006. 'Peach Pudding', a pink standard cultivar has good flower shape and fashionable flower color. The major characteristics of this cultivar are 113.1 stems/$m^2$/year in yield, 60.6 cm in length of cut flower, 8.7 cm in flower diameter, 38.6 in petal number, and 12.8 days in vase life. This cultivar can be propagated by both cutting and grafting. The consumer's preference of this cultivar i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control cultivar, 'New Miracle'.

Responses of Electroencephalogram to Different Fragrance (향(香)이 뇌파에 미치는 영향)

  • 민병찬;정순철;김상균;민병운;오지영;김수진;김혜주;신정상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1999.11a
    • /
    • pp.423-426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EEG반응을 통하여 향이 인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평균나이 23.9세의 남녀 피험자 각각 10명을 대상으로 전두엽(Fz)과 두정엽(Cz)에서 EEG를 기록하였다. 대역별 relative power spectrum 값을 구하여 $\alpha$대역에 대한 $\beta$대역의 비($\beta$/$\alpha$)를 통하여 전체 또는 남녀의 성별에 대한 향의 쾌도를 구분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향은 Rose oil bulgrian, Lemon oil misitano, Jasmine abs., Lavender oil france(KIMEX.co.ltd) 등 4가지의 천연오일을 사용하였다. 전체 피험자에 대하여 쾌도는 레몬-라벤다-자스민-장미 순으로 평가되었고 라벤다와 레몬 사이에 0.5%의 유의차가 있었다. 이는 주관적 평가와 상관성을 보였다. 남녀 성별 구분에 있어서는 가장 쾌하다고 생각되는 향이 남자는 라벤다, 여자는 레몬으로 평가되었고, 가장 불쾌한 향은 남녀 모두 장미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통계학적 의미는 결과에 나타내었다.

  • PDF

Measurement and Analysis of Low Flow in the Cheonggecheon Watershed (청계천 유역 갈수량 측정 및 분석)

  • Noh, Seong Jin;Kim, Hyeon Jun;Jang, Cheol Hee;Kim, Dong Pil;Hong, Il Py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1067-1071
    • /
    • 2004
  • 도시 유역의 물순환 특성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갈수량 자료의 구축이 필수적이다. 하지만 지금까지의 인구는 주로 치수분야에 한정되어 대부분의 자료 또한 홍수기에 대해서만 자료가 구축되어 있으며 상대적으로 갈수기에 내한 자료와 관련 연구는 부족한 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청계천 유역의 기존 수문자료를 이용하여 유역의 유출 특성을 분석하고 갈수량을 측정하여 청계천 유역의 물순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구축하였다. 청계천은 서울의 서북쪽에 위치한 인왕산과 북한산의 남쪽 기슭, 남산의 북쪽 기슭에서 시작하여 서에서 동으로 종로, 세운상가, 동대문 등 서울의 도심부를 흐르는 유로연장 13.75 km, 유역 면적 $50.96 km^2$의 도시하천으로 중량천의 제1지류인 지방2급 하천이며, 정릉친, 성북천을 제1지류, 월곡천을 제2지류로 포함한다. 청계천은 도시화로 인해 195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 점차 복개되었다가 2003년 7월부터 5.9 km의 본류구간에 대한 복원공사가 진행 중이다. 청계천은 홍수기 이후 유량이 급격히 줄어 11월 이후에는 다음 홍수기까지 강바닥이 완전히 들어나는 일종의 간헐천으로 홍수기를 제외한 시기의 자료는 전무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유역내 8개의 모니터링 지점을 선정하여 2003년 9월 이후, 월 2회 이상 갈수량 자료를 현장 측정${\cdot}$분석하였다. 청계천 유역은 복원공사 완공 후에는 유역의 물순환 특성이 대폭 바뀔 것이 예상되는 지역으로 본 연구에서 구축된 갈수량 자료는 청계천 유역의 물순환계 변화를 분석하고 건전한 물순환 체계의 유지${\cdot}$관리를 위한 기본 자료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바늘꽃과, 속새과, 십자화과, 장미과, 사초과, 삼과, 현삼과, 닭의장풀과가 각 1종씩 조사되었으며, 조사지점(II)인 1km지점에서는 15과 26종으로, 벼과가 4종, 마디풀과, 국화과가 3종, 버드나무과, 십자화과, 콩과가 2종씩, 바늘꽃과, 속새과, 자라풀과, 장미과, 사초과, 백합과, 현삼과, 골풀과, 닭의장풀과가 각 1종씩으로, 조사지점( I )보다 좀 더 많은 종이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어류는 조사지점( I )에서 3회에 걸쳐 총 396개체가 채집되어 3목 8과 21종이었다. 이 중 한국 고유종은 11종이었고, 외래 어종은 검정우럭과 2종이 조사되었으며, Zacco platypus(피라미), Zacco temmincki(갈겨니), Acheilongnathus koreanus(칼납자루), Odontobutis platycephala(동사리), Coreoleuciscus splendidus(쉬리) 순으로 분포하고 있었고, Acheilognathus signifer(묵납자루)는 댐 건설 전에는 많이 분포하였으나 현장조사에서 서식을 확인 할 수 언어 개체수의 큰 감소내지 멸종된 것으로 추정되었다.에서 동시에 시행하였다. 수술 후 1년 내 시행한 심초음파에서 모든 환아에서 단지 경등도 이하의 승모판 폐쇄 부전 소견을 보였다. 수술 후 조기 사망은 없었으며, 합병증으로는 유미흉이 한 명에서 있었다. 술 후 10개월째 허혈성 확장성 심근증이 호전되지 않아 Dor 술식을 시행한 후 사망한 예를 제외한 나머지 6명은 특이 증상 없이 정상 생활 중이다 결론: 좌관상동맥 페동맥이상 기시증은 드물기는 하나, 영유아기에 심근경색 및 허혈성 심근증 또는 선천성 승모판 폐쇄 부전등을 초래하는 심각한 선천성 심질환이다

  • PDF

Studies on the Utilization of Bamboo Screen(Zhuping: 竹屏) and the Meaning in Gardening Books of Ming Dynasty (명대 원림서에 기술된 죽병(竹屏)의 활용과 그 의미)

  • Jung, Woo-Jin;Kwon, O-Man;Sim, Woo-Kyun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
    • v.32 no.1
    • /
    • pp.83-92
    • /
    • 2014
  • This study has researched the uses and plant materials of bamboo screen from the gardening books in Ming Dynasty: Yuanye (園冶), Zhang wu ji (長物志) and Xian Qing Ou Ji (閑情偶寄).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ough these books nearly were written nearly at the same period, the bamboo screen was seen in a negative viewpoint or positively endorsed by authors. These show the extinctive process which had used bamboo screen creating for urban seclusion in early Ming Dynasty and that the meaning was changed by the social economic changes in Late Ming Dynasty. Second, the bamboo screen was devised as a support which was trained the branches of the creepers. This was an equipment to maximize ornamental effectiveness with some rose families which produced nearly all year round, and it was involved cultural enjoyment of Chinese indigenous custom. Finally, the bamboo screen was used rose families for the beautiful flowers. And this was constructed as a multipurpose facility which was used as the flower screen in blossoming season as well as the role as wall.

A new species of Potentilla (Rosaceae): P. baekdusanensis M. Kim (양지꽃속(장미과)의 신종: 백두산양지꽃(Potentilla baekdusanensis M. Kim))

  • JO, Hyun;SHIN, Changkeun;SEO, Eunkyoung;KIM, Muyeol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 /
    • v.48 no.1
    • /
    • pp.37-42
    • /
    • 2018
  • A new species, Potentilla baekdusanensis M. Kim, is described here. It is found in Baekdusan Mt., Korea. Potentilla baekdusanensis shares several characteristics (pinnately compound leaves, pubescent leaf blades and leaf petioles, different leaflets size, and absent stolons) with the related species P. fragarioides. However, this new species has small plants with short and curved hairs, 7 leaflets, small lower leaflets, a glabrous leaflet margin, and yellow petals with a reddish yellow base. In contrast, P. fragarioides are large plants with long and straight hairs, 9-15 leaflets, large lower leaflets, a ciliate leaf margin, and yellow petals without a reddish yellow base.

Pollen morphology of the genus Aruncus L. (Rosaceae) (개승마속(Aruncus L., 장미과)의 화분형태학적 연구)

  • Ok, Min-Kyoung;Hong, Suk-Pyo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 /
    • v.45 no.4
    • /
    • pp.323-331
    • /
    • 2015
  • Polle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7 taxa of the genus Aruncus L. (Rosaceae) were examined us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to evaluate the taxonomic implication within the genus. Aruncus pollen grains were monad, tri-colporate with granular membranes, small in size ($P=8.33-12.57{\mu}m$, $E=8.93-14.40{\mu}m$), amb is sub-circular to circular, suboblate to prolate-spheroidal in shape (P/E = 0.68-1.70). The sexine ornamentation in all studied taxa was basically striate but existence of perforation (striate-perforate: A. dioicus, A. dioicus var. acuminatus, A. dioicus var. astilboides, A. dioicus var. pubescens, A. dioicus var. vulgaris; striate-pstilate: A. dioicus var. aethusifolius, A. gombalanus) and the widths of muri and grooves varied according to the taxa. In particular, relatively short, and sharply crested muri being a distinct feature of A. dioicus var. acuminatus. As a result, the various combination of each pollen characteristics could be useful to identify the some taxa of the genus Aruncus.

The petiole anatomy of the genus Spiraea L. (Rosaceae) in Korea (한국산 조팝나무속(Spiraea L. 장미과)의 엽병 해부)

  • Lee, Jeong-Ho;Kwon, Oh-Woung;Jang, Tae-Soo;Roh, Hee-Seon;Hong, Suk-Pyo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 /
    • v.40 no.1
    • /
    • pp.16-26
    • /
    • 2010
  • The petiole anatomy of three sections (sects. Calospira, Chamaedryon, and Spiraria) in the genus Spiraea (Rosaceae), which are distributed/cultivated in Korea, was studied and described in details. The vascular bundle system of the distal, medial, and proximal parts of the petiole were studied using LM with the aim of documenting any differences in vascular anatomy. Significant variation of anatomical characters was found in petiole shape (dichotomy, lens or subcircular in outline), presence of two distinct lateral wings, the thickness of epidermis, number of vascular bundles, length of ventral axis, length of dorsiventral axis, width of median vascular bundle, and length of median vascular bundle. All features were compared and we concluded that petiole anatomical characters can be useful for providing diagnostic features to distinguish the studied taxa. A key for identifying the Spiraea taxa in Korea based on their petiole anatomical characters is also provided.

Growth Responses of Two Evergreen Species (Rosaceae) Native to Korea according to Indoor Light Conditions (실내 광조건에서 자생 상록 장미과 2종의 생육반응)

  • Lee, Ha Min;Lee, Cheol Hee;Cho, Ju Sung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9.10a
    • /
    • pp.61-61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실내 광조건에서 자생 장미과 상록 활엽 목본 2종의 생육반응을 조사하였다. 식물재료는 다정큼나무[Rhaphiolepis indica var. umbellata (Thunb.) Ohashi]와 비파나무[Eriobotrya japonica (Thunb.) Lindl.]의 3년생 실생묘를 사용하였다. 실내 광량은 10, 50, 100 및 200 PPFD (${\mu}mol{\cdot}m^{-2}{\cdot}s^{-1}$)로 설정되었으며, 광주기(12/12 h), 온도($25{\pm}1^{\circ}C$), 습도($55{\pm}3%$) 및 관수(1회/3일) 주기는 일정하게 유지하였다. 실내에서 8주간 재배한 다음 유리온실에서 동일 기간동안 재배된 대조구와 생육 및 광합성 능력 등을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다정큼나무의 생육은 200 PPFD에서 대조구와 유사한 수준이었으며, 줄기직경은 광량과 정비례하는 경향이었다. 엽수는 대조구에 비해 고 광량(100, 200 PPFD) 조건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를 보였다. 처리 별 최대 양자수율(Fv/Fm) 및 광계II 성능지수(Pi_Abs)는 대조구와 유사한 수준이었으며, 광량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비파나무는 재배기간 동안 광량에 관계없이 생육변화가 크지 않았으나, 엽록소함량은 200 PPFD에서 가장 많았다. 한편 10 PPFD에서는 모든 개체의 잎 고사에 따른 관상가치가 하락하였다. Fv/Fm은 200 PPFD에서 대조구와 유사한 수준이었으며, Pi_Abs는 저광량(10, 50 PPFD) 조건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수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