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장구

검색결과 396건 처리시간 0.024초

한우의 신속한 증식을 위한 번식기술 개발에 관한 연구 II. 조기 임신 진단법 및 번식장애 분포에 관한 연구 (Studies on Development of Breeding Technique to Increase HanWoo(Bos taurus coreanae) : II. Early Pregnancy Diagnosis Incidence of Reproductive Disorders)

  • 장구;손창호;이은송;류일선;이강남;이동원;오명환;오성종;정근기;최상용;노규진;김상철;이병천;황우석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7-14
    • /
    • 2001
  • The aims of these study were to diagnose early pregnancy and reproductive disorders by using progesterone concentration and ultrasonography. The measurement of blood progesterone (P$_4$) concentration was conducted to diagnose pregnancy and to detect corpus luteum (CL) or evaluate disorder of CLs. As a result, the incidence rates of reproductive disorders were as follows : SH and EED (41.9%), inacitve ovaries (32.6%), follicullar cyst (9.3%), PCL (7.0%), endometritis (4.7%), pyometra (2.3%) and luteal cyst (2.3%). 61 Cows having P$_4$concentration 1.0 ng/ml(at the insemination) were increased to 1.0 ng/ml $\geq$ 6day after insemination. 50 cows among 61 cows were diagnosed pregnant. 8 cows among 13 HanWoos having P$_4$concentration 1.0 ng/ml at the insemination and 1.0 ng/mnl 6 day after insemination had non-ovulatory estrus and the others had P$_4$concentration 1.0 ng/ml at the insemination and 1.0 ng/ml $\geq$ 6 day after insemination, which was the error of estrus detection. All 13 cows were diagnosed non-pregnant. 47 cows diagnosed pregnant after insemination of P$_4$concentration 3.0 ng/ml were examined by ultrasonography at 30 day post-insemination. As a result, 41 cows were diagnosed pregnant (87.2%) but 14 cows having P$_4$concentration 3.0 ng/ml at 21 day after insemination was diagnosed to non-pregnancy. Calving intervals by surveying 100 cows were as follows 11~12 months (20%), 12~13 months (36%), 13~14 months (19%), 14 months $\geq$ (25%), respectively. In conclusion, hormone and ultrasonography help to detect reproductive disorders exactly and diagnose early pregnancy. This study suggest that diagnosis of early pregnancy and reproductive disorder by blood P$_4$concentration and ultrasonography improve reproduction management of HanWoo.

  • PDF

알파미분 첨가에 따른 흰떡의 이화학적 특성변화 (Changes i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rean rice cake by the Addition of Gelatinized Rice flour)

  • 이창호;한억;금준석;백경혁;유병규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01-106
    • /
    • 1995
  • 알파미분이 흰떡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각 첨가량별(0, 25, 35, 45%) 이화학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흰떡의 호화도는 조리 전의 무첨가구의 경우 5.75%에서 첨가 후 12% 이상으로 증가하였고, 조리 후의 경우에도 무첨가구 52%에서 첨가구 85% 이상으로 크게 증가하였으며, 색도의 경우는 알파미분을 첨가함으로써 명암도가 증가하였으나 함량에 따른 시료간 유의차는 보이지 않았다. 알파미분을 첨가하여 제조한 흰떡의 조리 전 경도는 무첨가구에 비하여 첨가하였을 경우 전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조리 후의 경우에도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냉동저장 후 조리한 경우에는 알파미분 첨가에 따른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조리특성 실험에 있어서는 알파미분 첨가구의 경우 냉장, 냉동저장구 모두 무첨가구보다 조리중 수분흡수율이 높았다. 알파미분을 첨가하여 제조한 흰떡의 미세구조를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알파미분을 첨가한 경우 무첨가구에 비하여 내부 구조가 속성 복원력을 갖도록 변화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임상검체에서 분리한 장구균의 항생제 감수성 및 유전적 다양성 (Antibiotic Susceptibility and Genetic Diversity of Enterococci Isolated from Clinical Specimens)

  • 임채원;김형락;김양호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76-88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임상검체에서의 Enterococcus sp.의 균종별 분리현황을 조사하고, 분리균의 항생제 감수성 양상을 알아보는 한편, aminoglycoside계 항생제에 내성을 나타내는 균주를 대상으로 Rep-PCR을 실시하여 유전적인 다양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각종 임상검체로부터 E. faecalis 49주, E. faecium 34주, E. avium 9주, E. gallinarum 4주, E. casseliflavus 3주, E. hirae 1주 등 총 100주를 분리하였다. 대부분 외래를 통하기보다는 입원환자의 검체로부터 분리됨을 관찰하면서 원내감염의 원인균 중의 하나임을 알 수 있었다. Urine과 pus, sputum에서 대부분의 균들이 분리되었고 E. faecalis와 E. faecium이 주 종을 이루었다. 항생제 감수성양상으로는 disk법과 ViteK GPS-430의 MIC결과와 유사하게 관찰 되었으며, 대부분의 Enterococcus sp.가 cephalosporin계 항생제에는 80% 정도의 내성을 보였다. E. faecalis의 경우 항생물질에 대해 고른 감수성양상을 볼 수 있었고, E. faecium의 경우 다른 Enterococcus sp.와는 차별적으로 항생물질에 대해 높은 내성 양상을 볼 수 있었다. 또한 vancomycin에 대한 내성을 보이는 Enterococcus sp.는 전체 10%정도를 차지하였고 aminoglycoside계 항생제인 amikacin과 gentamicin에 대해서 높은 고도내성을 나타냈었고, streptomycin의 경우에는 50% 정도의 내성률을 나타내었다. Aminoglycoside계 항생제에 내성을 보이는 Enterococcus sp.를 대상으로 Rep-PCR을 실시하여 유전자 분획유형을 분석하였으나 유전적 다양성에 있어 크게 차이를 보이지 않아 DNA양상의 기원이 크게 다르지 않다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국내 모터사이클복의 착용실태 및 불만족도에 관한 연구 -남성용 모터사이클 쟈켓을 중심으로- (A Study on Wearing Conditions and Dissatisfaction With Current Motorcycle Wear in Korea -Focus on Men′s Motorcycle Jacket-)

  • Hei-Sun;Do, Wol-Hee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6권12호
    • /
    • pp.1765-1777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국내의 서울시내에 거주하는 모터사이클을 타는 만20세 이상의 남성을 대상으로 모터사이클복에 대한 착용실태와 불만사항들을 조사하고 이를 연령별, 모터사이클 유형별로 비교 분석하여 착용감 및 안전성이 향상된 모터사이클복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 하고자 하였다. 설문조사는 2002년 1월~3월까지 3개월간 총 400부를 배부한 후 회수하고, 이 중 262부를 분석자료로 사용하여 빈도 및 백분율, 평균 등의 기술 통계치를 얻어 전반적인 착용현황을 알아보고, 교차분석을 실시한 후 X$^2$-검증을 실시하여 연령별, 모터사이클 유형별, 운행경력 별로 통계적인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1. 모터사이클복의 착용실태 및 불만사항 전반에 관한 조사결과, 조사대상자는 20대~40대의 운행경력은 5년 이상인 전문 라이더들이 많았으며 모터사이클의 배기량은 400cc이상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모터사이클 유형은 로드 바이크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이용목적은 레져.취미용, 선호하는 모터사이클복 아이템별 소재는 원피스와 슬랙스의 경우에는 피혁소재가 쟈켓의 경우에는 텍스타일 소재가 높게 나타났다. 아이템별 소유는 쟈켓과 투피스가 높게 나타났고, 보호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신체부위는 상의에서는 가슴과 팔꿈치, 하의에서는 무릎으로 나타났으며, 무릎보호대의 소유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모터사이클복 주된 착용목적은 '부상방지', 모터사이클복을 착용하지 않는 이유는 '움직이기가 불편해서' '가격이 비싸서' '여름철에 더워서'가 각각 높게 나타났다. 모터사이클복에 대한 불만족도에서 동작적합성과 사이즈에 대한 불만도가 높게 나타났고, 모터사이클복소재 및 내부 장착 보호장구의 경량화가 요구되었으며, 모터사이클 쟈켓의 치수부적합부위는 소매길이가 가장높게 나타났다. 2. 전체 응답자의 연령을 20대, 30대, 40대 이상으로 나누어 연령별 차이를 비교한 결과 각각의 문항에 대해서 모두 연령대별로 유의차가 인정되었다. 3. 모터사이클복 아이템별 선호소재 문항에서 원피스와 쟈켓에서 모터사이클 기종별 유의차가 나타났는데, 비즈니스 기종에 서는 텍스타일 소재를, 아메리칸크루져 기종에서는 피혁소재를 선호하였다. 로드바이크와 오프로드 기종에서는 원피스는 피혁소재를 선호하였고, 쟈켓은 텍스타일 소재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자선 조사가 포장방법을 달리한 한우육의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lectron-Beam Irradiation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Hanwoo Meat)

  • 박태선;박구부;오성현;이정일;신택순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2호통권82호
    • /
    • pp.260-265
    • /
    • 2007
  • 본 연구는 한우 암소 지육 중 육질등급 $1^{+}$ 판정(근내지방도 No. 7, 육색 No. 4, 성숙도 No. 1, 조직감 No. 1)을 받은 지육($280{\sim}300$ kg) 6두를 1차로 수돗물로 고압 수세하고 2차로 50% 에틸알콜로 소독한 후 발골 정형하여 실험재료로 사용하였고, 등심 및 우둔부위를 채취하여 $0{\pm}1^{\circ}C$에서 숙성한 후 등심은 1.5 cm steak로 제조하고, 우둔은 patty를 제조한 후 진공포장 및 랩 포장한 다음 전자선 가속기를 이용하여 0, 3 , 4.5, 6, 7.5 kGy로 조사한 후 실험에 이용하였다. 진공포장구 및 함기포장구의 pH 는 전자선 조사선량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p>0.05), 함유수분은 전자선 조사구 및 비조사구 모두 steak에 비하여 patty가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조단백질은 steak의 경우 전자선 비조사구가 조사구에 비하여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으며(p<0.05), Patty의 경우는 전자선 조사수준에 상관없이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육색의 명도($L^{\ast}$)는 전자선조사 처리구와 비조사 처리구간에는 차이가 없었다(p>0.05). 육색 중 적색도($a^{\ast}$)와 황색도($b^{\ast}$)는 전자선 조사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점차 낮아지는 경향이었으며, 비조사구와 3 kGy 조사구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감귤류(柑橘類)의 저장(貯藏)에 관한 연구(硏究) -I. 온주밀감(溫州蜜柑)의 주요생산지별(主要生産地別) 저장성(貯藏性)과 품질(品質)의 비교(比較)- (Studies on the Storage of Citrus Fruits -I. Comparison of the Storage Qualities and Freshness of Citrus Unshiu Oranges between the Growing Districts-)

  • 박노풍;최언호;변광의;백자훈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권4호
    • /
    • pp.285-290
    • /
    • 1972
  • 제주산(濟州産) 온주밀감(溫州蜜柑)의 주요산지별(主要産地別) 저장성(貯藏性)과 품질(品質)을 비교 검토하고자 남부(南部), 서남부(西南部), 서북부(西北部), 북부(北部) 및 동부산(東部産), 임온주(林溫州)(Citrus unshiu MARCOVITCH, CV. HAYASHI)를 반지하식(半地下式) 보통(普通) 저장고(貯藏庫)와 순환송풍식(循環送風式) 저온저장고(低溫貯藏庫)에 저장(貯藏)하고 변질과(變質果)와 당산도(糖酸度)의 변화(變化)를 조사(調査)한 바 1) 저장중(貯藏中) 부패율(腐敗率)은 보통(普通) 저장구(貯藏區)($8{\sim}10^{\circ}C$)와 저온저장구(低溫貯藏區)($2^{\circ}C{\pm}1$)에서 다같이 서북부(西北部)(한림(翰林))와 서남부(西南部)(대정(大靜)) 및 동부(東部)(성산(城山))산(産)이 높고 남부(南部)(서귀(西歸))및 북부(北部)(제주(濟州))산(産)은 현저히 적었다. 2) 저장중(貯藏中) 유포(油胞)의 갈변(褐變)은 저장온도(貯藏溫度)에 관계없이 북부(北部)와 남부산(南部産)에 발생이 심하고 서북부(西北部)와 서남부(西南部) 및 동부산(東部産)은 거의 문제시되지 않았다. 3) 저장중(貯藏中) 전당(全糖)은 점차 증가하고 과육(果肉)에서 환원당(還元糖)과 적정산도(滴定酸度)는 점차 감소하였다. 4) 산지별(産地別) 감미비(甘味比)는 서북부(西北部), 서남부(西南部), 남부(南部), 북부(北部) 및 동부(東部)의 순위로 서부산(西部産)이 동부산(東部産)에 비(比)하여 높고 식미(食味)가 우수하였다.

  • PDF

시판 수산식품에 대한 세균학적 연구 1. 건제품의 위생지표 세균에 관하여 (BACTERIOLOGICAL STUDIES ON MARKET SEA FOODS 1. Sanitary Indicative Bacteria in Sundried Sea Foods.)

  • 장동석;최위경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6권3_4호
    • /
    • pp.87-91
    • /
    • 1973
  • 현재 우리나라에서 시판되고 있는 수산 건제품에 대한 위생지표 세균의 오염도를 파악하고 나아가서 식품의 위생관리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1970년 9일부터 12월까지 부산시 남포동 건어물 시장과 충무동 어패류 처리조합에서 건제품 21종을 수집하여 위생지표 세균인 대장균군, 분변계대장균, 분변계연쇄상구균, 장구균 및 일반생균수를 시험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전 식품을 통하여 fecal strepococci나 enterococci는 coliform group이나 fecal coliform MPN보다 훨씬 높았다. 3, 일반적으로 enterococci MPN은 대부분 1,000이상이었으며 fecal coliform MPN은 18이하였다. 3. 대장균군의 중앙치는 78이었으며 분변계연쇄상구균은 3,300이었고 일반생균수의 중앙처는 $9.9\times10^4$이었다. 4. 일반적으로 사람의 손과 접촉이 많은 제품은 다른 제품에 비하여 세균 오염도가 높았다. 5. 해조류의 세균 오염도는 어패류나 연체류에 비하여 매우 낮았다. 6, 각 위생지표 세균과 일반 생균수 사이에는 일정한 상관관계는 없었다.

  • PDF

약용버섯을 이용한 도토리화분의 세포 발아 및 항산화 활성 (Germina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Korean Oak Pollen Treated with Medicinal Mushrooms)

  • 홍인표;우순옥;한상미;여주홍;조미란
    • 한국균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65-169
    • /
    • 2014
  • 도토리화분의 총 폴리페놀함량은 화분배지에 뽕나무버섯(Armillaria mellea) 배양한 발아액에서 가장 높았으며, 표고(Lentinula edodes) 발아액에서 가장 낮았다. 뽕나무버섯을 배양한 발아액 중에서 동결건조 화분의 발아액이 정제화분과 저온초미분쇄화분의 발아액보다 총 폴리페놀함량이 많았다. 또한 동결건조 화분의 뽕나무버섯 발아액은 물추출액보다 총 폴리페놀함량이 1.4배 높았다. 도토리화분의 DPPH radical 소거능은 뽕나무버섯 발아액에서 가장 높았으며, 표고 발아액에서 가장 낮았다. 동결건조 화분의 뽕나무버섯 발아액은 DPPH radical 소거능이 물추출보다 2~4배 높았다. 수집된 꿀벌화분은 알갱이 형태이며, 꿀벌의 분비물을 제거한 순수 화분은 분말형태로 크기는 0.1~0.003 mm 정도이다. 화분의 전자현미경 구조는 도토리화분은 단립이며 모양은 장구형(prolate)이고 극면상은 난형이다. 발아구는 3구형이며 비교적 짧고 곧은 주름이 있다. 표면은 과립상(verrucate) 또는 미립상(scabrate)으로 불규칙한 돌기가 있다. 저온초미분쇄한 화분은 세포벽이 파쇄 또는 절단되었으며, 동결건조한 화분에서는 세포벽이 파열되어 세포질이 나출되는 양상을 보였다. 표고를 접종한 도토리 화분의 세포 발아 형태는 공구(pore) 주변에 외피가 없는 다량의 발아세포가 형성되었으며, 뽕나무버섯을 접종한 화분배지에서의 세포 발아 형태는 화분에서 균사속과 유사한 발아관이 형성되고 그 끝에 발아세포가 형성되었다.

충청북도 박달산 일대의 식물상 (The Flora of Mt. Bakdal in Chungcheongbuk-do, Korea)

  • 유주;진연희;장혜원;조흥원;이동우;윤희빈;이철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69-182
    • /
    • 2004
  • 본 연구의 목적은 충청북도 괴산군에 위치한 박달산(825 m)에 자생하는 관속식물상을 정확하게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2000년 10월부터 2001년 8월에 걸쳐 조사한 결과 91과 275속 391종 62변종 5품종 등 458종류가 확인되었다. 희귀 및 멸종위기 종은 말나리 , 난장이붓꽃, 매미꽃, 태백제비꽃, 미치광이 풀, 토현삼 등 총 6종류가 조사되었고 특산식물은 가는 장구채, 진범, 매미꽃, 조팝나무, 가시딸기, 주엽 나무, 털조록싸리, 광릉갈퀴, 노랑갈퀴, 뽕잎피나무, 자란초, 오동, 토현삼, 병꽃나무, 청괴불나무, 고려 엉겅퀴, 분취 등 17종류가 관찰되었다. 또한 귀화식물은 애기수영, 소리쟁이, 닭의덩굴, 취명아주, 털비름, 아까시나무, 족제비싸리, 토끼풀, 어저귀, 수박풀, 달맞이꽃, 큰달맞이꽃, 개망초, 망초, 미국가막사리, 지느러미엉겅퀴 등 16종류가 관찰되었다.

자생수목그루터기를 재활용한 에코녹화공법 개발연구(III) (A Study on Development of Eco-revegetation Measures Using Remnant Root-stock of Native Trees(III))

  • 오구균;안영희;일본명;나경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7-17
    • /
    • 2004
  • 폐기물로 처리되고 있는 자생수목 그루터기를 재활용하여 에코녹화공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전남 함평군 월야면에 위치한 호남대학교 부속농장에 모니터링 시험구를 2001년 11월에 설치하였다. 시험기간은 2001년 11월부터 2003년 10월까지였으며, 모니터링 시험구 조사는 2002년 10월, 2003년 9월, 총 2회 실시하였다. 모니터링 시험에서 그루터기의 맹아우세수종 선발 수간 절지길이 차이 및 방부처리 유무에 따른 생장량 변화, 식재시기 및 식재본수에 따른 활착율을 조사하였다. 자생수목 그루터기 모니터링 시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90% 이상 활착율을 나타낸 수종은 공시수종 총 20종 중 10종으로 느티나무, 때죽나무, 비목나무, 산딸나무, 상수리나무, 야광나무, 참느릅나무, 털야광나무, 팽나무, 장구밥나무 였다. 수간절지길이에 따른 생장량은 수간길이 10cm처리구보다 35cm처리구에서 우세하게 나타났고, 근원직경에 대한 뿌리규격에 따른 생장량은 3배(폭)${\times}$5배(깊이)와 5배(폭)${\times}$5배(깊이)에서 우세하게 나타났다. 수간절지부 방부처리 유무에 따른 생장량은 방부처리구의 수종에서 우세하게 나타났고, 식재시기에 따른 공시수종의 생장량은 생리휴면기인 늦가을(11월)에 식재한 그루터기에서 우세하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초봄(3월), 늦봄(5월) 식재 순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