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장구

검색결과 396건 처리시간 0.025초

다화성 누에씨(MR, SPT, HM)의 냉장보존 (Cold Storage of Multivoltine Silkworm Eggs.)

  • 박남숙;김상은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35-37
    • /
    • 1986
  • 수세대의 계대동육에 의해서도 휴면란이 얻어지지 않는 열대성 다화성 누에의 품종보존을 위한 사육회수를 줄이고자 다화성 누에씨(MR, SPT, HM)의 냉장적기, 냉정적온 및 냉장가능기간을 부화비율을 지표로 하여 조사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5$^{\circ}C$에서 30일간 냉장한 MR과 SPT의 부화비율은 2일영난냉장구에서 가장 높았고(약 80%), 7일영난냉장구에서 가장 낮았다(5% 이하). 2. 2일영의 HM누에씨를 -2.5, 0.0, 2.5, 5.0, 7.5$^{\circ}C$의 각 온도에 15일-60일간 냉장하여 부화비율을 조사한 결과, 30일 냉장에는 $0^{\circ}C$가 적합하며(91%), 60일 냉장에는 2.5$^{\circ}C$가 적합하였다.(61%) 3. 이상의 결과로부터 다화성 누에의 품종보존을 위해서는 산란 후 2일 경과한 누에씨를 2.5$^{\circ}C$에서 50-60일간 냉장함으로서 연중계대동육회수를 반감시킬 수 있음이 밝혀졌다.

  • PDF

한국 서안 장구만에 발달한 조간만대의 퇴적상 및 퇴적구조 (Intertidal Flat Sediments and Charateristic Sedimentary Structures in the Changgu Bay, West Coast of Korea)

  • 김준래;박수철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43-49
    • /
    • 1985
  • 서해안 장구만에 발달하는 조간대에서 24개의 표층시료 및 18개의 코아를 채 취하여 퇴적물의 조직 및 퇴적구조를 조사하였다. 이 조간대 지역은 대체로 silt flat, sandy-silt flat, silty-sand flat 으로 구분되며 해안선에서 바다쪽으로 갈수 록 입도가 조립화되는 경향을 보여준다. 코아의 X-ray촬영에 의해 나타나는 퇴적구 조는 bioturbation, current ripple laminae, parallel laminae등이며 지역에 따라 현저 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Bioturbation구조는 1차적으로 형성된 물리적 퇴적구조를 파괴하고 있으며, 만조선 쪽으로 갈수록 그 정도가 증가하고 있다. current ripple laminae 는 bioturbation정도가 비교적 적은 silty-sand, sandy-silt지역에 잘 나타나 며, 몇번의 창조류와 낙조류에 의해 형성된 미세한 사층리를 잘 보여주고 있다. 내 만쪽에 나타나는 parallel laminae는 silt/clay호층의 두께 1mm이하의 층리로이루어 져 있는 반면, 외만쪽에 나타나는 parallel laminae는 sand/silt/호층의 두께 1~5mm 의 층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 PDF

Aspergillus oryzae를 이용한 대두발효식품의 색상개량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Color Improvement of Doenjang (Fermented Soybean Paste) Using Various Aspergillus oryzae Strains)

  • 김상순;김순경;유명기;최홍식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67-74
    • /
    • 1983
  • Aspergillus oryzae 6균주(A, B, C, D, E, F 등 6개구)를 이용한 콩된장및 개량된장의 색상개량에 관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제국중 protease 및 $\alpha$, $\beta$-amylase 활성은 콩된장구보다 개량된장구에서 더 높았고 전반적으로 48시간까지는 그 활성이 급격히 그리고 12시간까지는 서서히 증대되었으며, A 및 C 균주구의 활성이 높았다. 그리고 숙성중 일반성분, 단백질 화합물, pH 등의 변화에 있어서 콩된장 및 개량된장 모두 균주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균주에 따른 숙성중의 색상변화 즉 갈변현상은 균주의 차이에 따라 그 차가 심하였고 B 및 균주구에서 완만하여 색상이 우수하였으며 개량된장보다 콩된장에서 더 갈변이 심하였다. 그리고 숙성된장의 저장중에서도 같은 경향을 보였으며 내부보다는 표면에서 더욱 심하였다. 그리고 이와같은 갈변화 현상은 효소학적 반응이 주요인으로 고려되었다. 전반적으로 Aspergillus oryzae 2157(C)균주에 의한 된장 발효는 제품의 색상 개선효과가 현저하였고 관능적 특성, 효소활성등이 우수하였다.

  • PDF

고농도 탄산가스 처리가 저장중 딸기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_2$ Pretreatment on Quality of Strawberry during Storage)

  • 문광덕;김종국;손태화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8권
    • /
    • pp.83-88
    • /
    • 1990
  • 고농도의 탄산가스를 단기간 처리한 딸기를 0.06mm 폴리에틸렌 필름으로 포장저장하는 동안 포장내부의 기체조성, 중량감소율 및 부패율, 과육의 경도 및 과피의 색도등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저장중 포장내부의 기체조성은 저장초기에 급격히 변화하다가 저장14일 이후에는 산소농도 1~2%, 탄산가스농도 8~9%를 유지하였다. 무포장구의 중량감소율은 저장말기까지 12% 정도였으나 포장구는 약 2%정도의 중량감소율을 보였으며 탄산가스처리에 의해 부패율의 증가가 크게 억제되었다. pH는 다소 증가한 반면 적정산도는 약간 감소하였으며 당도는 탄산가스처리 및 포장에 의해 감소가 비교적 작게 나타났다. 과육의 경도는 탄산가스 처리에 의하여 저장14일까지 크게 증가되었으며 과피의 a값 역시 탄산가스 처리 및 포장에 의해 그 감소가 억제되었다. ascorbic acid의 함량은 저장 14일까지는 무포장구가 높았으나 그 이후는 포장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 PDF

한국산 아옥목 식물 줄기에서 이기목부인 비교해부 (Comparative Anatomy of the Secondary Xylem in the Stem of Malvales Plants in Korea)

  • 임동옥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4권1호
    • /
    • pp.67-75
    • /
    • 1991
  • 한국산 아욱목 식물 4과, 5속 10종의 목부 해부학적 형질을 비교 관찰하여 과 및 속간의 목부의 특수화 정도를 검토하였다. 담팔수과 담팔수속의 목부는 산공재로서 각상 도관이 주로 방사배열(2-14 세포폭)이고 이관 및 반관유조직이 드물게 나타난다. 산공재로서 단독분포도관과 유조직이 계단상 1열대를 보이는 피나무과 식물 중 피나무속은 도관이 각상이고, 방사조직이 절화와 타일세포가 존재하며 장구밥나무속은 원형도관을 보인다. 아욱과 무궁화속은 환공재로 도관은 원형 단독분포이며 유조직이 2열로 나타난다. 그리고 벽오동과 벽오동속은 환공재로 원형 단독분포이며, 반관연합익상 및 이관 다열 유조직이 나타난다. 그리고 유조직에는 전분과립이 많이 나타난다. 도관요소의 배열, 모양, 길이, 직경 및 청공판 각도와 주축유조직의 분포 등의 특징에 의한 이들 과간의 계통순서는 담팔수과(담팔수속) 피나무과(피나무속 장구밥나무속) 아욱과(무궁화속) 벽오동과(벽오동속) 순으로 사료된다.

  • PDF

제한된 피드백 정보를 이용하는 이중 공간 다중화 시스템의 Preceding 기법 (Preceding Scheme for Dual Spatial Multiplexing Systems with Limited Feedback)

  • 이명원;문철;육종관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7권12호
    • /
    • pp.1224-1230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제한된 피드백 정보를 사용하는 공간 다중화 시스템을 위한 preceding 기법을 제안하였다. 제안하는 precoding 기법은 unitary 행렬로 구성된 precoder 코드북내에서 preceding 행렬의 선택 정보를 송신단에 전달하는 장구간 피드백과 선택된 unitary 행렬의 열 벡터 중 전송체 사용될 열 벡터 정보를 송신단에 전달하는 단구간 피드백을 이용한다. 또한, zero-forcing 수신기를 사용하는 $2{\times}2$ MIMO 시스템에 대해 평균 throughput을 최대화하는 precoder 코드북을 디자인하였다. 모의 실험 결과에 따르면 제안된 기법은 몇 비트의 장구간 피드백 정보를 추가함으로써 평균 SNR이 20 dB인 환경에서 멀티모드 안테나 선택 기술이나 멀티모드 기저 선택 기술에 비해 throughput 성능이 각각 11.2 %, 5.1 % 증가한다.

Lactobacilli가 신선돈육의 저장성에 미치는 효과 (Studies on the Effect of Lactobacilli on Shelf life of Fresh Pork Chop)

  • 이신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51-55
    • /
    • 1988
  • 본(本) 연구(硏究)는 lactobacilli 의 처리에 의한 돈육(豚肉)의 저장성(貯藏性)을 검토(檢討)하기 위하여 일반포장(一般包裝), 진공포장(塡空包裝), lactobacilli 를 처리한 일반포장(一般包裝), 진공포장법(塡空包裝法) 사용(使用)하여 $4^{\circ}C$에서 저장(貯藏)하면서 미생물학적(微生物學的), 이화학적(理化學的) 변화(變化)를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Lactobacilli 의 처리효과(處理效果)는 일반포장(一般包裝), 진공포장(塡空包裝)의 경우 공(公)히 인정(認定)되었으며 lactobacilli 를 처리(處理)한 진공(塡空) 포장구(包裝區)가 저장성(貯藏性)이 가장 양호하였다. 2. 저장(貯藏) 기간중 lactobacilli 의 처리구(處理區)에 있어 lactobacilli 의 성장(成長)은 거의 관찰할 수 없었으며 육부패 미생물의 주종을 이루는 그람 음성균의 성장은 억제되었다. 3. pH, TBA, VBN 치(値)는 본(本) 실험(實驗)기간 동안 공히 부패(腐敗)를 판별할 수 있는 기준치에 미달하였다. 4. 각(各) 처리구별(處理區別) 최대(最大) 저장(貯藏) 가능(可能)기간은 일반포장구(一般包裝區) $12{\sim}15$ 진공(塡空) 포장구(包裝區)와 lactobacilli를 처리(處理)한 일반포장구(一般包裝區) $20{\sim}25$ 그리고 lactobacilli를 처리(處理)한 진공(塡空) 포장구(包裝區)가 $30{\sim}35$일로 추정되었다.

  • PDF

"영추(靈樞).잡병(雜病)"에 대(對)한 연구(硏究) -대어(對於)"영추(靈樞).잡병(雜病)"적연구(的硏究)-

  • 한상인;이남구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18권2호통권29호
    • /
    • pp.124-144
    • /
    • 2005
  • ${\ulcorner}$영추(靈樞).잡병(雜病)${\lrcorner}$논술료궐기사증(論述了厥氣四證,), 심통육증(心痛六證), 함통이증, 이급슬통(以及膝痛), 후통(喉痛), 치통(齒痛), 이롱(耳聾), 학(虐), 요통(腰痛), 기역(氣逆), 항통(項痛), 복통(腹痛), 위궐(萎厥), 육(戮), 홰등각증적병정, 진단급자법(診斷及刺法). 인해편소논술적내용병미국한어특정적질병(因該篇所論述的內容幷未局限於特定的疾病), 이시논술료임상상견적제다병증(而是論述了臨床常見的諸多病證), 소이편명칭위잡병(所以篇名稱爲雜病). 잡병시인내상혹외감소치적질병(雜病是因內傷或外感所致的疾病), 재고대상한등외감성질환(在古代傷寒等外感性疾患), 대인류생명구성료흔대위협, 단시도료현재유어현대문명발달(但是到了現在由於現代文明發達), 이급생활방식적다양화(以及生活方式的多樣化), 내상잡병각성료갱대적위협인소(內傷雜病却成了更大的威脅因素). 본편재(本篇在)${\ulcorner}$황제내경장구색인(黃帝內經章句索引)${\lrcorner}$분위료오절(分爲了五節), 재(在)${\ulcorner}$영추경교석(靈樞經校釋)${\lrcorner}$ 급(及)${\ulcorner}$황제내경영추경어역(黃帝內經靈樞經語譯)${\lrcorner}$분위료이십구절(分爲了二十九節), 필자기어편이상적고려(筆者寄於便利上的考慮), 준순(遵循) ${\ulcorner}$황제내경장구색인(黃帝內經章句索引)${\lrcorner}$이분위오절진행료연구(而分爲五節進行了硏究). 본편기재료상견적흔다잡병, 재임상상유흔대적연구가치. 단시통과역대다차전초(但是通過歷代多次轉抄), 유흔다오식, 착간(錯簡), 가차적부분(假借的部分), 인차유흔다불역리해적지방. 여과불참조다종판본화역대주석가적연구성과(如果不參照多種版本和歷代註釋家的硏究成果), 취무법진정영회기본의(就無法眞正領會其本意). 기어저일점(寄於這一點), 본편논문연구료역대판본화주석가적견해(本篇論文硏究了歷代版本和註釋家的見解), 병진행료교감화교주(幷進行了校勘和校註), 재가어료현토급국어주석(再加於了懸吐及國語注釋), 이기갱유조어정확지리해원문적본의(以期更有助於正確地理解原文的本意).

  • PDF

반코마이신 내성 장구균 환자 보호자의 질병 불확실성과 감염관리 수행 (Uncertainty and Performance of Infection Control in Caregivers of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i Patients)

  • 이은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346-357
    • /
    • 2015
  • 목적: 본 연구는 VRE 환자 보호자의 질병 불확실성과 감염관리 수행 정도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방법: 본 연구는 D광역시에 소재한 D의료원에 입원한 VRE 환자 보호자 82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1.0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t-test, ANOVA로 통계 분석하였다. 결과: VRE 환자 보호자의 질병 불확실성은 56.99점이었고, 감염관리 수행 정도는 35.09점이었다.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감염관리 수행 정도 차이 검정에서 나이(F=121.38, p<.001), 학력(F=102.77, p<.001), 환자와의 관계(F=17.80, p<.001), 하루 평균 간호하는 시간(t=3.14, p=.002), 가족의 형태(t=-8.65,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대상자의 질병 불확실성은 유의하게 감염관리 수행 정도와 부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r=-.96, p<.001). 결론: 본 연구결과는 VRE 환자 보호자를 위한 감염관리 프로그램 개발 및 감염관리 표준지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치과 의료종사자의 개인보호장구 착용에 대한 보건계열 대학생의 인식 (Study on the perception of health science college students about the personal protection of dental personnels)

  • 강은주;최미혜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637-647
    • /
    • 2011
  • Objectives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nhance infection control and to establish the fundamental and practical improvement by the survey on personal protection of dental personnels with health science college students. Methods : We performed the survey with 585 individual students affiliated with health science in Jeonbuk province and statistically analyzed by SPSS 12.0 program. Results : The frequencies of the clinic gown as a personal protection were 96.0% of dentists (p<0.01) and 88.0% of dental hygienists (p<0.05) respectively in college-associated dental hospital when we compared with institution scale. The frequencies of the medical gloves as a compulsory personal protection were 47.2% of dentists and 34.6% of dental hygienists respectively (p<0.001). The frequencies of the medical mask as a compulsory personal protection were 84.0% of dentists (p<0.001) and 52.2% of dental hygienists (p<0.05) respectively shown by freshman students. The frequencies of the safety glasses as a compulsory personal protection were 12.3% of dentists and 2.5% of dental hygienists shown by freshman students (p<0.001). Conclusions : The results reflect that current dental personnel's concern of personal protection need to be increased continuously in accordance with current demands and eventually suggest their effort to put their action on personal protection in their dental off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