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장간막

검색결과 94건 처리시간 0.059초

개에서 복강수술 후 유착방지에 대한 Sodium carboxymethylcellulose, Oxidized regenerated cellulose, Vitamin E의 효과 (Efficacies of Sodium Carboxymethylcellulose, Oxidized Regenerated Cellulose and Vitamin E in Prevention Against Postoperative Adhesion Formation in Dogs)

  • 김정은;권영삼;장광호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698-703
    • /
    • 2010
  • 개에서 복강수술 후 유착방지에 대한 sodium carboxymethylcellulose (SCMC), oxidized regenerated cellulose (ORC), vitamin E의 병용효과를 알아보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견은 대조군, SCMC 처치군, ORC 처치군, SCMC와 vitamin E 처치군, ORC와 vitamin E 처치군의 5개군으로 분류하고 각 군에 5두씩 배치하였다. 정중개복 후 회장 장막에 6 cm 간격으로 5곳에 찰과상을 입혀 유착을 유발했다. 유착장소는 전군에서 장막-장간막(37.6%), 장막-장막(24%), 장막-대망막(8.8%), 장막-복막(3.2%) 순으로 발생하였다. 유착발생빈도는 SCMC와 vitamin E 처치군이 56%로 대조군 92%, SCMC 처치군 84%, ORC 처치군 64%, ORC와 vitamin E 처치군 68%에 비해 낮았다. 유착형성 점수는 SCMC와 vitamin E 처치군에서 다른 처치군에 비해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었다(p < 0.01). 따라서, 복강수술 후 유착방지에 있어 SCMC와 vitamin E의 병용이 개에서 효과적이라고 생각된다.

Rat에서 carboxymethyl chitosan의 복강수술후 유착형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carboxymethyl chitosan on postoperative intraperitoneal adhesion formation in the rat)

  • 장광호;권영삼;김정은;권은주;오태호;이근우;장인호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635-643
    • /
    • 2000
  • 본 실험은 carboxymethyl chitosan(CMC)이 복강유착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고자 수행하였다. 총 44마리의 rat를 유착유도후 아무런 처치하지 않은 대조군과 각각 1, 2, 3% CMC 용액 3ml로 처치한 3개 실험군 등 총 4군으로 나누었다. 유착은 회장의 장간막 반대측 장막부위를 노출시켜 수술도로 $0.5{\times}1cm$ 크기로 긁어 점상출혈을 유도하고, 우측벽측복막을 $0.5{\times}1cm$ 간격으로 창상을 유도한 후 두 창상을 봉합하였다. 2주후 halothane에 의한 안락사 후 유착정도를 computerized tensiometer로 측정하였다. 유착부 분리에 필요한 장력(Newton)은 대조군이 평균 $2.48{\pm}0.88$이었으며, 1% CMC 처치군은 $1.86{\pm}0.56$, 2% CMC 처치군은 $1.75{\pm}0.71$, 3% CMC 처치군은 평균 $1.55{\pm}0.60$로 3% CMC 처치군에서 유의적인 감소(p<0.01)가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rat에서 복강수술후 CMC의 복강내 투여는 복강장기 유착방지에 효과적이라고 사료된다.

  • PDF

목초액 단기섭취가 훈련된 흰쥐의 항산화 방어기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hort-Term Ingestion of Wood Vinegar on Antioxidative Defense System in Trained Rats)

  • 이수천;김동기;김재우;서효빈;이윤경;전병덕;이동운;류승필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30-336
    • /
    • 2009
  • 본 연구는 목초액의 섭취가 훈련된 흰쥐의 항산화방어기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실험대상으로는 Sprague-Dawley계 수컷 흰쥐를 사용하였는데 실험그룹은 비운동 대조군과 운동 대조군, 목초액 섭취 비 운동 대조군, 목초액 섭취 운동 대조군으로 나누어 수행하였는데 체중과 혈중성분 변화, 글리코겐 함량, SOD 활성 수준, MDA 함량에 관한 분석을 하였다. 체중과 체지방(장간막, 복막후, 부고환)은 각 그룹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TG와 FFA 농도도 목초액 섭취로 인한 차이는 없었다. Glucose 농도는 대조군 보다 운동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나 목초액 섭취로 인한 차이는 없었다. 목초액 투여 운동군에서의 SOD 활성은 다른 그룹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운동 대조군에서의 MDA 함량은 비운동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으나 대조군과 목초액 투여군 간의 차이는 없었다. 결론적으로 운동과 목초액 섭취는 산화적 스트레스의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장 가성 폐쇄로 진단된 전신 홍반 루푸스 1예 (Intestinal pseudo-obstruction as the initial presentation of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in a 13-year-old girl)

  • 조기영;길태영;안혜미;이선화;서정완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1권6호
    • /
    • pp.655-659
    • /
    • 2008
  • 전신 홍반 루푸스는 다양한 증상으로 발현되는 자가면역질환이다. 위장관 증상도 질환의 경과 중에 나타날 수 있으나, 장 가성 폐쇄로 처음 진단되는 경우는 소아에서 매우 드물다. 장 가성 폐쇄는 원발성 또는 속발성으로 장의 평활근이나 신경계에 이상이 있어 해부학적 원인 없이 장폐쇄의 증상과 징후가 나타나는 것이며, 장폐쇄로 인하여 수술을 하였다는 보고도 있다. 그러나 장 가성 폐쇄가 전신 홍반 루푸스에 속발한 경우 장간막 혈관의 폐쇄와 장괴사로 진행하기 전에 조기에 진단하고 치료하면 합병증을 예방하고 수술을 피할 수 있다. 저자들은 장 가성 폐쇄의 증상으로 내원한 13세 여아에서 전신 홍반 루푸스를 진단하여, 불필요한 수술을 피하고 조기에 치료한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GS 283의 평활근 억제 작용기전 (Mechanisms Underlying the Inhibitory Effect of GS 283 in Various Smooth Muscles)

  • 김시환;이영수;정원석;장기철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01-109
    • /
    • 1994
  • Tetrahydroisoquinoline유도체인 GS 283의 약리학적 특성을 흰쥐 흉부대동맥, 기니픽 결장띠 및 토끼 장간막 동맥 및 흰쥐 뇌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혈관 평활근에서 GS283은 고 $K^+$에 의한 수축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여 $Ca^{2+}$ 길항작용을 보였다. 또한 ${alpha}_1$- 수용체 자극에 의한 수축도 억제하였다. GS 283의 혈관이완 작용은 propranolol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beta}$-수용체 자극작용에 의한 것이 아니었다. 세포내 칼슘이온과 근장력 변화를 동시에 측정하였을 때 GS 283의 억제효과는 조직내 형광의 증가를 수반했다. 이 증가는 fura 2형광에 의한것이 아니라 내인성 pyridine nucleotide에 의한 것이며 이는 GS 283이 미토콘드리아 기능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시사했다. 흰쥐 뇌의 cAMP와 cGMP 의존성 phosphodiesterase에 대한 GS 283의 $K_i$,값은 2.5와 6.7mM이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GS 283의 약리 작용은 $Ca^{2+}$ 길항작용, ${\alpha}_1$- 수용체억제 작용 및 cyclic nucleotide 의존성 phosphodiesterase 억제 등 다양한 작용이 있으며 평활근 수축 억제에 대한 GS283 작용에는 $Ca^{2+}$ 길항이 가장 중요한 요인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지방세포 원형질막 단백질에 대한 다클론 항체의 수동면역이 수컷 흰쥐의 체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olyclonal Antiserum Against Adipocyte Plasma Membrane Proteins on Body Composition of Passively Immunized Sprague-Dawley Male Rats)

  • 백경훈;최창본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1호
    • /
    • pp.39-44
    • /
    • 2002
  • 본 연구는 흰쥐 지방세포 원형질막 단백질에 대한 항혈청의 면역주사가 흰쥐 체지방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20마리의 Sprague-Dawley 흰쥐를 대조구와 항체처리구(10두/구)로 완전 임의배치하였고, 대조구에는 생리식염수를, 항체처리구에는 면양으로부터 생산해 낸 흰쥐 지방세포 원형질막 단백질에 대한 다클론항체를 면역주사하였다. 항체의 수동면역(복강주사)은 실험동물의 피하지방(21.9%)과 신지방 + 장간막지방 + 정소외막지방조직(36.0%)을 유의적으로(각각 P=0.0054, P=0.0019) 감소시켰다. 항체처리구의 체중은 항체처리기간동안 감소하였지만, 처리 후 1주를 경과하면서 다시 정상체중으로 회복되었다. 혈중 glucose 농도와 근육내 조지방 및 조단백질의 수준은 항체의 처리로 인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들은 면양에서 생산한 지방세포 원형질막 단백질에 대한 다클론 항체들이 육생산동물의 체지방 함량을 조절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시사해 주고 있다. 앞으로 본 연구결과의 실용화를 위하여 실용적인 측면에서의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관상동맥우회술 후 재수술의 단기 및 증기 성적 (Early & Midterm Results after Redo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 김준성;김홍관;장우익;김기봉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7권2호
    • /
    • pp.146-153
    • /
    • 2004
  • 관상동맥우회술의 경험이 축적됨에 따라 관상동맥우회술의 재수술은 증가하는 추세이나 아직까지 국내 보고는 미흡한 수준이다. 저자들은 관상동맥 재수술의 사망률, 유병률 등의 임상경험을 정리하고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4년 1월부터 2002년 12월까지 관상동맥우회술의 재수술을 시행 받은 1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최초 수술 후 재수술까지의 기간은 평균 66$\pm$56 (3∼157)개월이었고 재수술 시 평균연령은 62.8$\pm$8.7 (51∼78)세였다. 2003년 6월 30일을 추적관찰 종료시점으로 하여 평균추적관찰 기간은 43$\pm$29 (8∼105)개월이었다. 재수술의 적응증은 이식편의 협착 또는 완전폐쇄가 11예(78.6%), 관상동맥질환의 진행이 1예, 그리고 두 가지 병리가 혼재한 경우가 2예였다. 결과: 입원기간 중 사망은 2예(14.3%)가 발생하였고 사망원인은 저심박출증이었다. 술 후 합병증은 총 7명(50.0%)의 환자에서 8예가 발생하였는데, 수술 전후 심근경색이 2예(14.3%), 종격동염이 1예(7.2%), 십이지장 궤양천공 1예, 허혈성 하지괴사 1예, 장간막경색에 따른 위장관 천공 1예, 지연 뇌경색 1예, 비장출혈 1예 등이었다. 조기사망 2예를 제외한 12명의 환자를 추적 관찰한 결과 만기사망은 1예가 발생하였고 추적관찰 종료시점에서 협심증을 호소하는 환자는 없었으며 모든 환자가 Canadian협심증분류 1급 또는 2급의 양호한 경과를 보였다. 결론: 관상동맥 재수술은 비교적 높은 유병률과 사망률을 보였으나 퇴원 후 환자상태는 양호하였으며 향후 경험의 축적과 노력이 요망된다.

수영 운동이 난소절제 후 비만 쥐의 지방조직에서 염증에 미치는 억제 효과 (The inhibitory effect of swimming exercise on inflammation in adipose tissue of obese mice after ovariectomy)

  • 정선효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1125-1137
    • /
    • 2020
  • 본 연구는 암컷 쥐의 난소절제 후 고지방식이로 비만이 유도된 비만 쥐에서 수영운동이 지방조직에서 염증반응을 억제하는지를 조사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은 모의수술군(Sham), 난소절제 수술군(OVX) 및 수영운동을 실시한 난소절제 수술군(OVX/Ex)으로 구분되어 8주 동안 고지방식이(45% fat) 사료를 섭취하면서 사육되었다. 생식기 주변 지방조직, 복막 신장주변 지방조직, 및 장간막 지방조직을 포함한 내장지방조직의 무게는 Sham에 비해 OVX에서 증가하였으나, OVX에 비해 OVX/Ex에서는 감소하였다. Sham에 비해 OVX는 지방조직에서의 IκBα의 유전자 발현이 감소하였고 염증성 사이토카인(IL-6, MCP-1, TNF-α 및 leptin)의 유전자 발현은 증가하였다. OVX에 비해 OVX/Ex는 지방조직에서의 IκBα이 증가하였고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유전자 발현은 감소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난소절제 후 고지방식이로 비만이 유도된 비만 쥐에서 수영 운동은 지방조직에서 염증반응을 억제함으로써 비만의 예방과 치료에 효과적이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황점볼락 Sebastes oblongus 인공종묘의 생식소 발달과 성비 (Gonadal Development and Sex Ratio of Artificial Seedlings of the Oblong Rockfish Sebastes oblongus)

  • 곽은주;이경우;최낙현;박충국;한경호;이원교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97-302
    • /
    • 2006
  • 황점볼락, Sebastes oblangus의 인공종묘의 성분화 과정 및 성결정을 조사하기 위해 출산 직후부터 370일령까지 조사하였다. 출산 직후 난황기 자어(7.10-7.77 mm)에서 시원생식세 포와 생식융기는 분리된 채 중신관과 장간막 사이에 나타났고, 출산 후 5일령 전기자어(7.12-9.68 mm)에서는 서로 융합하였으며, 출산 후 45일령 후기자어(18.6-20.4 mm)까지는 미분화 생식소 상태였다. 출산 50일 치어(20.0-24.5 mm)에서 생식소 전단부에서 양쪽 끝의 체세포 조직이 분열 신장되어 난소의 분화가 시작되어 60일 치어(25.5-32.0 mm)에서 완전 한 난소강이 형성되었다. 출산 80일령 치어(37.3-47.2 mm)의 난소에서 난원세포가 감수분열을 개시하여 염색인기 난모세포(chromatin nucleolus oocyte) 로 발달하기 시작하였다. 이 후 일령이 증가하여 130일령(68.0-86.0 mm)에서 주변인기(perinucleolus stage)의 난모세포가 나타났으며, 출산 후 370일령(101.0-116.0 mm)에서 전난황형성기의 난모세포들이 출현하였다. 황점볼락 인공종묘의 성비 조사결과 난소분화 완료 후에 암컷만 나타나 출산후 100일까지 자연수온보다 높은 수온에 의해 전암컷화 된 것으로 추정된다.

한국 연안에서 채집된 자연산 해산어의 아니사키스 유충 감염 (Survey of Anisakis spp. infection in wild populations of marine fish caught from coastal areas of Korea)

  • 최희정;전은지;이덕찬;조미영;지보영;임영수;박명애;서정수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01-210
    • /
    • 2009
  • 2007년 3월부터 2008년 2월까지 약 12개월에 걸쳐서 우리나라 동, 서, 남해 연안 지역에서 총 11목 44종 989마리 자연산 해산어류를 대상으로 아니사키스형 유충의 기생상황을 조사하였다. 유충의 감염률은 44종 중 28종에서, 전체 989마리 중 377마리에서 검출되어 평균 38%의 감염률을 보였다. 적출된 유충의 대부분은 형태학적 조사 및 유전학적 조사를 통하여 A. simplex type I 유충으로 동정하였다. 일반적으로 가을 겨울철보다 봄 여름철에 감염률이 높았으며, 같은 어종이라도 크기가 큰 개체에서 감염률이 높게 나타났다. 병리조직학적 검사를 통하여 유충의 기생 부위는 어종에 따라서 다르나 대체로 배설강 주변부를 비롯하여 장간막, 간, 복강지방 등 이였으며, 한두 마리씩 산재해 있는 것과 여러 마리가 함께 모여 있는 것, 피낭에 뭉쳐 있는 것 등 다양하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