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잠재량

Search Result 895,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A Study of CES potential prediction in Korean power market (국내 구역전기사업 잠재량 예측기법에 관한 연구)

  • Lee, Yun-Kyoung;Lee, Yong-Suk;Ahn, Nam-Sung;Yoon, Yong-Beom;Lee, Jae-Gul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6.11a
    • /
    • pp.180-182
    • /
    • 2006
  • 2004년7월1일부터 시행이 시작되어 현재 1곳의 시범지역을 운영하고 있는 구역전기사업은 소형열 병합발전을 기반 기술로 활용하고 있다. 국내 구역전기 사업의 잠재량 예측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인구증가율과 인구증가율에 따른 주택건축수요를 기된 데이터로 사용하였다. 잠재량예측을 위해 프로세스는 시스템다이나 믹스 모델인 VENSIM을 사용하였다. VENSIM에서 예측된 주택수요에 따라 택지 잠재량을 계산하였으며 계산된 택지 잠재량 중 구역전기사업을 수행했을 때 사업자입장에서 사업성 판단 기준에 따라 구역전기사업의 잠재량을 예측하였다.

  • PDF

Estimation of Theoretical and Technical Potentials of Geothermal Power Generation using Enhanced Geothermal System (우리나라 EGS 지열발전의 이론적 및 기술적 잠재량 평가)

  • Song, Yoon-Ho;Baek, Seung-Gyun;Kim, Hyoung-Chan;Lee, Tae-Jong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44 no.6
    • /
    • pp.513-523
    • /
    • 2011
  • We estimated geothermal power generation potential in Korea through Enhanced Geothermal System (EGS) technology following the recently proposed protocol which was endorsed by international organizations. Input thermal and physical data for estimation are density, specific heat and thermal conductivity measurements from 1,516 outcrop samples, 180 heat production, 352 heat flow, and 52 mean surface temperature data. Inland area was digitized into 34,742 grids of $1'{\times}1'$ size and temperature distribution and available heat were calculated for 1 km depth interval from 3 km down to 10 km. Thus estimated theoretical potential reached 6,975 GW which is 92 times total generation capacity of Korea in 2010. Technical potential down to 6.5 km and considering land accessibility, thermal recovery ratio of 0.14 and temperature drawdown factor of $10^{\circ}C$ was 19.6 GW. If we disregard temperature drawdown factor, which can be considered in estimating economic potential, the technical potential increases up to 56 GW.

Greenhouse Gas Emission and Abatement Potential Analysis for the Korean Horticulture Energy Sector Using Bottom-Up Approach (상향식 접근법에 의한 국내 시설재배 에너지부분의 온실가스 배출량 및 감축 잠재량 분석)

  • Paik, Chunhyun;Chung, Yongjoo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24 no.4
    • /
    • pp.146-158
    • /
    • 2015
  • A bottom-up approach has been conducted to estimate greenhouse gas (GHG) emission and to analyze the marginal abatement cost for the Korean horticulture energy sector. With the systematically derived activity and energy balance data, the BAUs have been estimated, along with the marginal abatement cost over the period 2010 through 2030. The result from the marginal abatement cost analysis may provide general guidelines and procedures for the establishment of GHG abatement polices.

Estimation of Water Current Energy Potential for Multipurpose Dam Outlet (다목적댐 방수로의 수류에너지 잠재량 산정)

  • Park, Wansoon;Lee, Chulhyung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5a
    • /
    • pp.208.2-208.2
    • /
    • 2011
  • 기존의 수력발전방식은 물의 위치에너지를 이용하므로 적합한 입지가 제한된다. 그러나 수류에너지를 이용한 발전방식은 기존의 수력발전과는 달리 물의 운동에너지를 이용하기 때문에 입지에 제한이 적으며, 물은 밀도가 크기 때문에 작은 유속으로도 많은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고,댐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하천생태계 및 환경에 영향을 주지 않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하천 뿐 아니라 기존 물관련시설의 미활용 방류수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수력잠재량이 매우 크다. 본 연구에서는 다목적댐 방수로의 수류에너지 잠재량 산정을 위하여 유역면적이 $2,285km^2$ 이고 연평균 방류량이 약 $29,389m^3/s$ 인 남강댐을 선정하였다. 분석결과 남강 다목적댐의 방수로를 이용한 수류에너지 잠재량은 연간 약 639,685.35kWh로 산정되었다. 향후 하천생태계와 환경에 영향을 주지않는 재생에너지원으로서의 수류에너지 이용은 미활용에너지의 적극 활용 측면과 미래전력 수요에 대한 중요한 원천으로써 재고되어야 할 것이다.

  • PDF

Analysis of Biomass Energy Potential around Major Cities in South Korea (국내 주요도시 주변의 바이오매스 에너지 잠재량 분석)

  • Kook, Jin Woo;Lee, See Hoon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 /
    • v.26 no.2
    • /
    • pp.178-183
    • /
    • 2015
  • Biomass is recognized as one of important renewable energy sources because it can be converted and used as solid, gaseous and liquid forms. Also, biomass is one of promising ways to solve the depletion of fossil fuels and global warming problems. The information about local biomass energy potentials and space energy densities can be powerfully utilized to determine the scale of biomass energy conversion plant and to analyze economic effects. The latest data on domestic biomass resources, such as agricultural, forestry, livestock and urban wastes, were collected from various government organizations and institutes and were analyzed to calculate biomass energy potential and space energy density. As local areas in South Korea to collect biomass resources increased, energy potentials increased, but space energy densities of total biomass decreased.

Assessment of Geothermal Power Generation Potential According to EGS Potential Protocol (EGS Potential Protocol에 따른 우리나라 지열발전 잠재량 산정)

  • Song, Yoonho;Baek, Seung-Gyun;Kim, Hyoung Chan;Lee, Tae Jong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11a
    • /
    • pp.144-144
    • /
    • 2011
  • We have estimated power generation potential in Korea following the recently announced EGS protocol. According to the protocol, we calculated the theoretical potential first, which assumes 30 year operation, minimum temperature being surface temperature+$80^{\circ}C$, depth range being from 3 km to 10 km. In this new assessment the in-land area was digitized by 1' by 1' blocks, which is much finer than suggestion of the protocol (5'by 5'). Thus estimated theoretical potential reaches 6,975 GWe which is 92 times of the total power generation capacity in 2010. In the estimation of technical potential, we limited the depth range down to 6.5 km, assumed recovery factor as 0.14 and also counted for temperature drawdown factor of $10^{\circ}C$ following the protocol. Accessible in-land area excluding steep mountains, residence and industrial region, wet area and others covers 40.7% of total area. Finally, we could come up with 19.6 GWe for technical potential, which would be 56 GWe if we do not account for the temperature drawdown factor. These are important results in that we made the first potential assessment for geothermal power generation.

  • PDF

Analysis of Greenhouse Gas Reduction Potentials in a University using Bottom-up Model (상향식 모형을 이용한 대학의 온실가스 감축 잠재량 평가)

  • Yoo, Jung-Hwa;Park, Nyun-Bae;Jo, Mi-hyun;Jeon, Eui-Chan
    • Journal of Climate Change Research
    • /
    • v.3 no.3
    • /
    • pp.183-193
    • /
    • 2012
  • In this study, the S University's energy usage, greenhouse gas emissions situation and potential reduction amount were analyzed using a long-term energy analysis model, LEAP. In accordance with the VISION 2020 and university's own improvement plans, S University plans to complete a second campus through expansion constructions by 2020 and by allocating the needed land. Accordingly, increases in energy usage and greenhouse gas emissions seem inevitable. Hence, in this study, the calculations of potential reduction amount by 2020 were attempted through the use of LEAP model by categorizing the energy used based on usage types and by proposing usage typebased reduction methods. There were a total of 4 scenarios: a standard scenario that predicted the energy usage without any additional energy reduction activity; energy reduction scenario using LED light replacement; energy reduction scenario using high efficiency building equipment; and a scenario that combines these two energy reduction scenarios. As scenario-based results, it was ascertained that, through the scenario that had two other energy reduction scenarios combined, the 2020 greenhouse gas emissions amount would be 14,916 tons of $CO_2eq$, an increase of 43.7% compared to the 2010 greenhouse gas emissions amount. Put differently, it was possible to derive a result of about 23.7% reduction of the greenhouse gas emissions amount for S University's greenhouse gas emissions amount through energy reduction activities. In terms of energy reduction methods, changing into ultra-high efficiency building equipment would deliver the most amount of reduction.

Hydrologic Design Parameters of Small Hydro Power Sites for River Systems (소수력발전입지의 수계별 수문학적 설계변수 특성)

  • Lee, Chul-Hyung;Park, Wan-S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224-224
    • /
    • 2011
  • 5대 주요 수계의 소수력자원에 대하여 연구를 수행하였고, 하천의 유량지속특성을 예측할 수 있는 모델이 개발되었으며, 이를 이용하면 강우사상으로 야기되는 유입량의 변화에 대한 분석이 가능하다. 또한 소수력발전소의 성능을 예측할 수 있는 모델도 개발되었다. 안동댐에서 측정된 월유입량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모델을 이용하여 예측한 결과는 안동댐에서 오랜기간 동안 측정된 결과와 거의 일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개발된 모델들이 소수력발전입지의 이용가능한 잠재량과 기술적 잠재량을 예측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본 모델들을 이용하여 수계별로 소수력발전입지에 대한 수문학적 성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소수력발전 입지의 수문학적 성능특성은 수계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북한강과 낙동강수계에 위치한 소수력발전입지의 비설계유량과 비출력량은 다른 수계들 보다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1은 수계별 비설계유량에 따른 비출력량의 변화를 나타낸다.

  • PDF

Estimation of Water Current Energy Potential for Multiple Purpose Dam (다목적댐을 이용한 수류에너지 잠재량 산정)

  • Park, Wan-Soon;Lee, Chul-H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621-621
    • /
    • 2012
  • 기존의 수력발전방식은 물의 위치에너지를 이용하므로 적합한 입지가 제한된다. 그러나 수류에너지를 이용한 발전방식은 기존의 수력발전과는 달리 물의 운동에너지를 이용하기 때문에 입지에 제한이 적으며, 물은 밀도가 크기 때문에 작은 유속으로도 많은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고,댐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하천생태계 및 환경에 영향을 주지 않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하천 뿐 아니라 기존 물관련시설의 미활용 방류수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수력잠재량이 매우 크다. 본 연구에서는 다목적댐 방수로의 수류에너지잠재량 산정을 위하여 유역면적이 $6,648km^2$이고 연평균 방류량이 약 $66.770m^3/s$인 충주댐을 선정하였다. 분석결과 충주 다목적댐의 방수로를 이용한 수류에너지 잠재량은 연간 약 373,687kWh로 산정되었다. 향후 하천생태계와 환경에 영향을 주지않는 재생에너지원으로서의 수류에너지 이용은 미활용 에너지의 적극 활용 측면과 미래전력 수요에 대한 중요한 원천으로써 재고되어야 할 것이다.

  • PDF

Urbanization Effects on Reference Evapotranspiration (도시화에 따른 수문기상변화 II (도시화가 기준 잠재증발산량에 미치는 영향))

  • Rim, Cha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939-1942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도시화와 지형 및 지리조건에 따른 기상변화가 FAO Penman-Monteith 기준 잠재증발산량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기상변화가 FAO Penman-Monteith 기준 잠재증발산량공식의 에너지항 및 공기동력항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적용된 연구지역은 서울을 비롯한 56개 수문기상 관측지점으로써 도시화과정을 분석하기 위하여 반경 10 km를 중심으로 $314\;km^2$에 해당하는 면적을 연구지역으로 설정하였다. 연구 지역의 도시화정도를 판단하기 위하여 토지이용현황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대부분의 연구지역에서 잠재증발산의 변화정도는 도시화율의 정도에 따라서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잠재증발산량의 변화정도는 도시화율이 클수록 큰 변화를 보이고 있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잠재증발산량의 변화는 도시화가 진행됨에 따라서 도시지역 내 열섬현상에 따른 기온상승과 도시지역의 주거지면적 증가에 따른 습도의 감소영향 그리고 풍속의 감소에 따른 것으로 보이며, 특히 습도의 감소가 잠재증발산량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 또한 도시지역 내의 일사량 감소에 따른 순단파복사량의 감소나 기온상승에 따른 순장파복사량의 증가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연구지역의 지리 및 지형조건이 잠재증발산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56개 연구지역의 잠재증발산량에 미치는 요인은 주로 도시화에 따른 기상변화와 해안 근접성인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