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잔디식별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16초

재배양식(栽培樣式)에 따른 수종(數種) 제초제(除草劑)에 대한 벼와 피의 해부형태적(解剖形態的) 반응차이(反應差異) - I. Pyrazolate에 대한 반응차이(反應差異) (Morphological and Anatomical Response of Rice and Barnyardgrass to Herbicides under Various Cropping Patterns - I. Response to Pyrazolate)

  • 천상욱;구자옥;국룡인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30-38
    • /
    • 1995
  • 재배양식별(栽培樣式別)로 발생전토양표면처리(發生前土壤表面處理)된 pyrazolate는 처리후(處理後) 10일째 피에서는 건답조건(乾畓條件)의 경우 twist현상(現像)이, 담수조건(湛水條件)에서는 백화현상(白化現像)이 현저하게 나타났다. 처리후(處理後) 20일째 표면직파(表面直播) 벼의 초장(草長) 및 근장(根長)은 무처리(無處理)와 유사하였으나, 토중(土中) 직파(直播)벼는 근장(根長)보다 초장(草長)이 더 억제(抑制)되었으며 피는 벼보다 심하게 억제(抑制)되었다. 담수조건(湛水條件)에서는 건답조건(乾畓條件)보다 더 심한 억제경향(抑制傾向)을 보였으나 벼와 피간의 뚜렷한 차이(差異)는 인정(認定)되지 않았다. 한편 이앙(移秧)벼의 초장(草長)과 근장(根長)은 무처리(無處理)에 비해 증가(增加)되는 생장(生長)을 보였다. 표면직파(表面直播)벼의 지상부(地上部) 및 지하부(地下部) 생체중(生體重)은 무처리(無處理)에 비해 오히려 증가(增加)되었고, 토중직파(土中直播)벼는 무처리(無處理)와 유사한 생장(生長)을 보였으나 피는 무처리(無處理)에 비해 각각 42% 및 41% 억제(抑制)되었다. 그러나 담수조건(湛水條件)의 표면직파(表面直播)벼에서는 지하부생장(地下部生長)이 치명적으로 억제(抑制)되었고 피는 완전히 생장(生長)이 억제(抑制)되었다. 이앙(移秧)벼는 무처리(無處理)와 유사한 생장(生長)을 보였다. 해부학적(解剖學的) 반응(反應)에 있어서 건답직파조건(乾畓直播條件)의 피에서만 엽록소(葉綠素) 파괴(破壞)에 의한 엽육조직(葉肉組織)의 위축(萎縮)과 엽초 및 엽시원체(葉始原體)의 위축(萎縮)으로 인한 두께감소가 관찰되었으나, 담수(湛水) 및 이앙조건(移秧條件)에서 벼와 피는 뚜렷한 해부학적(解剖學的) 변화(變化)는 관찰되지 않았다.

  • PDF

수도(水稻) 재배유형별(栽培類型別) 잡초발생(雜草發生) 양상(樣相)과 경합특성(競合特性) - 제(第)5보(報), 잡초경합(雜草競合) 한계기간(限界期間) (Weed Occurrence and Competitive Characteristic under Different Cultivation Types of Rice(Oryza sativa L.) - 5. Competition Period of Rice and Weed)

  • 임일빈;구자옥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05-114
    • /
    • 1995
  • 다섯 가지의 벼 재배유형(栽培類型)[관행(慣行) 손이앙(移秧), 중묘(中苗)(30일묘(日苗))의 기계이앙(機械移秧), 어린모(10일묘(日苗))의 기계이앙(機械移秧), 최아종자(催芽種子)의 담수직파(湛水直播) 및 건종자(乾種子)의 건담직파(乾畓直播)]에 따라 잡초발생(雜草發生) 양상(樣相)과 경합특성(競合特性)을 조사(調査)하여 벼 생육(生育)과 수량변화(收量變化)를 근거(根據)로 한 각(各) 재배류형별(栽培類型別) 벼와 잡초(雜草)와의 경합(競合) 한계기간(限界期間)의 모형(模型)으로 잡초(雜草) 방제기간(防除期間)을 설정(設定)하였다. 무잡초상태(無雜草狀態)를 연장(延長)시킴에 따라 30일묘(日苗)와 10일묘(日苗) 기계이앙(機械移秧) 및 직파재배(直播栽培)는 벼의 출수(出穗)가 무잡초구(無雜草區)에 비하여 1~2일정도(日程度) 지연(遲延)되었다. 잡초발생(雜草發生) 허용기간(許容期間)을 연장(延長)시킨 경우에는 관행이앙(慣行移秧), 30일묘(日苗) 및 10일묘(日苗) 기계이앙(機械移秧)에서는 출수기(出穗期)에서 차이(差異)가 없었으나, 직파재배(直播栽培)에서는 파종후(播種後) 7~10주(週)까지의 경합연장(競合延長)으로 출수(出穗)가 4~7일정도(日程度) 지연(遲延)되었다가 더욱 경합(競合)이 길어짐에 따라 5~6일정도(日程度) 앞당겨지는 현상(現狀)을 보였다. 재배양식별(栽培樣式別) 이앙후(移秧後) 및 파종후(播種後) 무잡초(無雜草) 유지(維持) 한계기간(限界期間)이 수량구성요소(收量構成要素)에 미치는 영향(影響)은 관행이앙(慣行移秧)에서는 이앙후(移秧後) 4주이내(週以內)에 발생(發生)된 잡초(雜草)에 의하여 등숙비율(登熟比率)과 천립중(千粒重)의 감소(減少)가 나타났으며, 10일묘(日苗) 기계이앙(機械移秧)에서는 조사(調査)된 모든 수량구성요소(水量構成要素)의 감소(減少)가 있었다. 직파재배(直播栽培)에서는 단위(單位) 면적당(面積當) 수수(穗數)는 파종후(播種後) 8~9주간(週間), 수당입수(穗當粒數)는 4~5주간(週間), 등숙비율(登熟比率)은 3~4주간(週間), 천립중(千粒重)은 8~10주간(週間)의 무제초(無除草)로 인(因)하여 감소(減少)되었다. 관행이앙재배(慣行移秧栽培)는 잡초방제(雜草防除) 요구기간(要求期間)으로서 이앙직후(移秧直後) 4주간(週間)에 걸쳐 무잡초(無雜草) 상태(狀態)를 유지(維持)해 주거나 이앙(移秧) 8주후(週後)부터 무잡초(無雜草) 상태(狀態)를 유지(維持)해주는 이중(二重) 대체기간(對替期間)이 설정(設定)되었다. 30일묘(日苗) 기계이앙재배(機械移秧栽培)는 관행이앙재배(慣行移秧載培)와 같이 이앙후(移秧後) 5주간(週間)에 걸친 무잡초(無雜草) 상태(狀態) 유지(維持) 또는 이앙후(移秧後) 8주(週)부터 유지(維持)되는 무잡초(無雜草) 상태(狀態)의 이중(二重) 대체기간(對替期間)이 설정(設定)되었다. 10일묘(日苗) 기계이앙재배(機械移秧栽培)는 잡초방제(雜草防除) 요구기간(要求期間)은 이앙후(移秧後) 5주간(週間) 또는 이앙(移秧) 7주후(週後)부터 무잡초(無雜草) 상태(狀態)를 유지(維持)해주는 이중(二重) 대체기간(對替期間)으로 설정(設定)되었다. 담수직파재배(湛水直播載培)는 파종후(播種後) 5주(週)부터 7주(週)까지의 단일기간중(單一期間中)에 잡초방제(雜草防除)가 요구(要求)되어 진다. 건답직파재배(乾畓直播栽培)는 잡초방제(雜草防除) 요구기간(要求期間)은 파종후(播種後) 6주(週)부터 9주(週)까지의 단일기간(單一期間)으로 설정(設定)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