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작업 자세

Search Result 368,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Analysis of Working Posture Using OWAS in Forest Work (산림작업(山林作業)에서 OWAS기법(技法)을 이용(利用)한 작업자세(作業姿勢) 분석(分析))

  • Lee, Joon Woo;Park, Bum-Ji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90 no.3
    • /
    • pp.388-397
    • /
    • 2001
  • In forestry, where improvement of labor environment is quite impossible, improved posture would result in direct effects by preventing waste of physical strength, prevention of accidental injury caused by fatigue accumulated on certain body parts, and prevention of human error by inattentiveness due to weakened body. Therefore, this research carried on analysis of working posture in manual forest work(thinning using chain-saw, salvage cutting using chain-saw, clearing using hand saw, clearance of twiner using sickle, pruning using saw with a long handle, and tending of young growth using sickle) using OWAS analysis system. According to the OWAS method, percentage of OWAS action categories III and IV in the tasks using chain-saw and sickle was higher than another tasks. For the compared middle skillful worker group and low skillful worker group at felling work using chain-saw, percentage of OWAS action categories IV in middle skillful worker group was 5.1%, and low skillful worker group was 14.1%.

  • PDF

A development of evaluation system of lifting and lowering tasks for energy expenditure at farm work (중량물 들고 내리기 농작업 자세의 에너지 소모량 평가 시스템 개발)

  • Sim, Taeyong;Kim, Bori;Youn, Su Hyun;Mun, Joung 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17.04a
    • /
    • pp.145-145
    • /
    • 2017
  • 농작업 자세 중에서 중량물을 반복적으로 들고 내리는 자세는 요통과 같은 근골격계 질환의 유발행위로 분류된다. 이는 인간공학적 유해요인 평가도구에 의해 위험도 별로 정량화 할 수 있다. 이러한 평가방법은 농작업 자세를 개선하여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기존의 작업자세 부하 평가방법들은 동적 자세를 평가하는데 있어 어려움이 있을 뿐 만 아니라 평가 과정에서 관찰자의 주관성이 개입 될 수 있다는 한계점을 갖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량물을 들고 내리는 동적 자세에서 발생하는 부하를 Energy expenditure를 이용하여 평가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다. Energy expenditure는 체중, 성별 등과 같은 작업자 관련 변수와 중량물의 무게, 들어 올리는 높이, 빈도수 등과 같은 작업환경 관련 변수를 이용하여 최대 산소소비량을 예측하는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작업자 및 작업환경 관련 변수를 자동 측정하는 시스템은 초음파 거리측정 센서와 깔창 형태의 센서를 이용하여 구성하였다. 이를 통해 남성(6명), 여성(6명)을 대상으로 20kg의 중량물을 들고 내리는 동작에서 발생하는 Energy expenditure 값을 산출하였고, 산소소비량 측정 장비를 통해 획득된 최대 산소소비량($VO_2$)과 비교하여 검증하였다. 여성을 대상으로 한 Energy expenditure 값과 최대 산소소비량 간 상관관계는 0.984로 나타났으며, 남성의 경우에는 0.998로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와 같은 에너지 대사율 평가시스템은 연속적이고 반복적인 실제 농작업 자세 부하를 동적인 상태에서 평가할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산소소비량 측정기와 같은 추가적인 장비가 필요하지 않아 현장 적용성이 뛰어 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The Effect of Head Posture on Muscle Activity of Upper Trapezius During Computer Work (컴퓨터 작업시 머리자세가 상부 승모근의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 Jung, Do-Young;Koh, Eun-Kyung;Kim, Young;Kwon, Oh-Yun;Lee, Jun;Lee, Kyoung-Joung
    • Physical Therapy Korea
    • /
    • v.9 no.4
    • /
    • pp.53-59
    • /
    • 2002
  • 본 연구는 컴퓨터 작업시 머리자세가 상부 승모근의 근전도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대상자는 상지에 근골계질환이 없는 대학생 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표면근전도(MP100WS)를 이용하여 근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실험은 10분 동안 머리를 중립자세로 모니터를 보고 컴퓨터 작업을 수행하는 것과 문서걸이(copy holder)를 보기 위해 머리를 $45^{\circ}$ 회전하고 컴퓨터 작업을 하는 두 가지 조건을 $%RVC_{RMS}$를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머리를 중립자세로 했을 때 평균 $%RVC_{RMS}$ 값이 높았으나 머리를 $45^{\circ}$ 회전하여 작업시에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RVC_{RMS}$가 지속적으로 증가함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컴퓨터 작업시 문서는 모니터로부터 가까이 하여 머리회전을 최소화시키는 것이 근육의 피로나 부작용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 PDF

Convergence Relationship between Scaling Work Posture and Symptoms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in Dental Hygienists (치과위생사의 치석제거 작업자세와 근골격계질환 자각증상의 융복합적 관련성)

  • Shim, Hyun-Ju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9 no.11
    • /
    • pp.117-126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orking posture and symptoms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of dental hygienists during scaling.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64 selected dental hygienists. A convergence study was implemented using questionnaire that was prepared to cover general characteristics, health care, the work of scaling, working posture and subjective musculoskeletal symptoms. As for data analysis, R 2.15.1 was employ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the rate of good working posture during scaling stood at 29.9 percent; roughly good posture, at 37.5 percent; incorrect posture, at 32.6 percent. Regarding the area of the body in which they complained of musculoskeletal symptoms, the shoulders were 3.32-fold more mentioned than any other area(OR,3.32;95%CI, 1.58~6.98); the foot, 2.97-fold more(OR,2.97;95%CI, 1.18~7.48); the hands, 2.84-fold more(OR,2.84:95%CI, 1.35~5.98); the neck, 2.82-fold more(OR, 2.82;95%CI, 1.35~5.91); the back, 2.41-fold more(OR,2.41;95%CI, 1.02~5.68). The findings of the study that demonstrate the importance of good working posture are expected to make a contribution to the improvement of work environments, the development of efficient preventive programs and the preparation of sustained educational plans, and it's necessary in the future to make a research study by including psychosocial factors.

Posture Analysis of Workers in an Excavator Factory Using 3D Human Simulation (3D 작업자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굴삭기 생산공정 작업자 자세분석)

  • Moon, Dug-Hee;Baek, Seung-Geun;Zhang, Bing-Lin;Lee, Jun-Seok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 /
    • v.15 no.3
    • /
    • pp.93-101
    • /
    • 2006
  • Recently,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WMSDs) become a hot issue in the industrial fields. To prevent the potential risk of workers, various approaches have been adopted. One of the approaches is to improve the design of product, that of jig (or fixture) and that of workstation in the early stage of the development. 3D simulation technology is known as the powerful method for detecting such problems before constructing the workstation, because it is possible to evaluate the posture of worker using 3D models in a cyber space. It enables to find the unexpected problems and save the time and cost for redesign and rework. This paper introduces a 3D simulation case study of workers in an excavator factory. 3D models of products, jigs were developed with CATIA. The assembly processes were animated in IGRIP and DPM. Finally the various postures of worker were simulated using Human. As a result, some postures were analysed as the risky jobs and the result of simulation was used to improve the system.

  • PDF

한국군 전차 및 승무원의 CAD 모델링을 통한 작업공간 평가

  • 최동찬;노근래;안경수
    • Proceedings of the ESK Conference
    • /
    • 1995.04a
    • /
    • pp.51-51
    • /
    • 1995
  • 인체 CAD 모델링 시스템은 장비와 인체를 모델링하여설계 초기단계에서 부터 별도의 Mock-up 없이 전 벙위의 운용자에 대한 작업자세의 안락도(Comfort), 동작한계(Reach), 적 합성(Fit), 시계(Vision)등 제반 작업공간 설계 및 평가에 수반되는 고려요소들을 보다 과학적 이고 합리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도구로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는 크게 한국군 전차병의 인체 CAD 모델의 설계와 설계된 인체 모델을 활용한 한국형 전차 작업공간 평가로 구성되었다. 한국 군 전차병의 인체 CAD 모델링에서는 전차병의 인체 측정자료를 이용하여 5%, 50%, 95%치 전차병 에 대한 선 자세와 앉은 자세의 인체 모델을 설계하였으며, 보다 정확한 인체 모델의 구현을 위 해인체의 기능적 치수에 대한 실측치와 CAD 설계치와의 차이를 비교, 보정하여 줌으로써 작업공 간 평가시 보다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였다. 한국형 전차 작업공간 평가에서는 설계 된 인체 모델과 한국형 전차 주요 구성품의 CAD 모델을 활용하여 각 승무원의 작업역을 분석하였고, 승무원 해치, 주요 조종장치의 운용 적합성, 판넬류 등의 위치 적합성에 대해 분석, 평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무기체계를 대상으로 하여 CAD 프로그램을 이용한 Man-Machine Interface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 졌으며, 기존의 도면이나, Mock-up, Prototype에 의존하던 작업공간 타당성 검토가 CAD를 이용하여 3차원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PDF

Anlaysis on the Influence of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in Explosive Blasting Performance (화약류발파작업이 근골격계에 영향을 미치는 자세평가분석)

  • Lee Jung-Hoon;Ahn Myung-Seog
    • Explosives and Blasting
    • /
    • v.23 no.1
    • /
    • pp.1-8
    • /
    • 2005
  • Explosive blasting performance is composed of charging, tamping and connecting performance, which need lots of power and time. Thus, operator's inconvenience and muscle load are increased by their pose. Then it's unavoidable for one to make a human error. As a result, blasting accidents and disasters of explosives may happen. So we need to have systematic study. According to their pose's changing we have OWAS, RULA, REBA, OSHA, ISI, NLE, TVAV, BLUE-X. In this article, OWAS, RULA, REBA have been evaluated.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it is shown that work-related musciloskeletal disorders are related to the second accident's happening.

Assessment of Working Posture Using RULA and REBA in Small Plants with Agricultural Products (소규모 작업장 작업자들의 인간공학적 평가 및 정량적 부하 평가 -한과작업장을 중심으로-)

  • Koo, Hye Ran;Kim, Hyo Cher;Shin, Yong Seok;Lee, Kyung Suk
    •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 /
    • v.19 no.4
    • /
    • pp.1021-1039
    • /
    • 2012
  • Based on the ergonomic evaluation of workers in the domestic traditional Korean sweet manufacturer, one of the small scale agricultural product manufactur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on estimating the specific works and muscles that have possibility of musculoskeletal disorder through an EMG experiment for quantitative evaluation. The method followed in an order: works that have musculoskeletal disorder risk were extracted through ergonomic assessment tools, RULA and REBA, and then EMG experiment on the postures was carried out with six healthy adult male patients. As an ergonomic evaluation result, work posture during the drying process had the greatest musculoskeletal disorder risk, and EMG activity in the cleansing work posture scored the highest among the drying, cleansing, and coating work postures. In particular in the drying work, relatively high EMG activities were shown in the two muscles in the lower body: biceps femoris muscle, and gastrocnemius, than any other muscles. Therefore, during the traditional Korean sweet workplace design in future, the workplace requires a posture that deeply bow wrist for a long time should be avoided.

Development of Marking Robot by using Arc Welding for Shipbuilding (조선 적용을 위한 문자마킹 자동용접장치 개발)

  • Park, Chul-Sung;Park, Jin-Whi;Ryu, Young-Soo;Lee, Jeong-Soo
    • Proceedings of the KWS Conference
    • /
    • 2009.11a
    • /
    • pp.3-3
    • /
    • 2009
  • 선박의 건조과정에서 필수적으로 선체 외판에는 선박의 안전과 운항 및 정비 등에 필요한 정보를 나타내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마크 및 문자가 마킹되어진다. 하지만, 단순한 도장 작업만으로는 해상과 같은 부식 환경에서 마크 및 문자가 쉽게 지워지거나 손상되기 때문에 마크 및 문자를 용접 비드(welding bead)로 표시하거나 미리 절단된 강판(steel plate)을 수동으로 용접한 뒤 도장을 함으로써 마크 및 문자의 손상을 방지하고 있다. 이러한 문자마킹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기준선과 마크 및 문자의 위치를 먹줄 등을 이용하여 마킹을 하고, 해당 마크 및 문자의 템플렛(template)을 이용하여 펀칭을 실시한 후 수동으로 용접을 실시한다. 하지만, 수작업을 통한 선체외판 문자마킹 작업은 작업자의 기량에 따라 품질이 상이하여 품질 저하의 원인이 된다. 또한 대조립 및 탑재 단계에서 문자 마킹 작업시 수직자세의 용접을 요구함으로써 작업자가 안전사고에 노출되어 있으며, 선박의 각 단계별 주요 공정보다 작업시간이 길어져 전체 선박 건조공정을 지연시키는 문제점 등을 야기시킬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조선업계에서는 선체 외판의 마크 및 문자를 자동으로 용접할 수 있는 장치를 개발하기 위해 노력해왔으며, 몇몇 개발 사례가 보고되고 있다. 하지만, 그 실효성 부분에서는 아직까지 해결하지 못한 문제점들로 인해 현장 적용에는 어려움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박외판 문자 자동용접장치의 기능성뿐만 아니라 현업 적용성을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하여 문자마킹장치(Marking Robot for Shipbuilding) 개발을 진행하였다. 우선, 적절한 용접 재료를 선정하기 위해서 솔리드 와이어(Solid Wire)와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Flux Cored Wire)에 대한 비드온 용접(Bead-On Welding)을 아래보기자세와 수직자세에 대해서 실시하여 적절한 용접 조건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문자마킹 자동용접장치는 3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축들을 분리할 수 있도록 개발하여 이동성을 향상시켰으며, 작업면과 용접토치간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용접전류 센서(Welding Current Sensor)를 이용하여 토치 높이(Wire Extension)를 제어함으로써 균일한 품질의 용접비드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문자마킹 자동용접장치는 본체 구동부와 제어부(Touch Screen)가 쉽게 분리되고 장착이 가능한 구조로 개발되었으며, 용접시 각 용접자세별로 용접전압, 전류 그리고 용접속도 설정이 가능하여 아래보기 자세뿐만 아니라 어떠한 자세에서도 같은 모양의 비드형상을 가지는 문자마킹용접이 가능하도록 개발하였으며, 이는 실험과 현장적용을 통해 검증하였다.

  • PDF

Comparison of Deep Learning Based Pose Detection Models to Detect Fall of Workers in Underground Utility Tunnels (딥러닝 자세 추정 모델을 이용한 지하공동구 다중 작업자 낙상 검출 모델 비교)

  • Jeongsoo Kim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20 no.2
    • /
    • pp.302-314
    • /
    • 2024
  • Purpose: This study proposes a fall detection model based on a top-down deep learning pose estimation model to automatically determine falls of multiple workers in an underground utility tunnel, and evaluates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odel. Method: A model is presented that combines fall discrimination rules with the results inferred from YOLOv8-pose, one of the top-down pose estimation models, and metrics of the model are evaluated for images of standing and falling two or fewer workers in the tunnel. The same process is also conducted for a bottom-up type of pose estimation model (OpenPose). In addition, due to dependency of the falling interference of the models on worker detection by YOLOv8-pose and OpenPose, metrics of the models for fall was not only investigated, but also for person. Result: For worker detection, both YOLOv8-pose and OpenPose models have F1-score of 0.88 and 0.71, respectively. However, for fall detection, the metrics were deteriorated to 0.71 and 0.23. The results of the OpenPose based model were due to partially detected worker body, and detected workers but fail to part them correctly. Conclusion: Use of top-down type of pose estimation models would be more effective way to detect fall of workers in the underground utility tunnel, with respect to joint recognition and partition between work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