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자원정책

Search Result 2,985,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A Study on the Continuous Utilization of Japan's Cultural Heritage Through the Cases of Silk Heritage, World Heritage, and the Japan Heritage Project in Gunma Prefecture (일본 문화유산의 연속적 활용에 관한 연구 - '군마 실크유산'과 세계유산, 일본유산 사업을 중심으로 -)

  • Lee, Chungsun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52 no.1
    • /
    • pp.190-211
    • /
    • 2019
  • In March 2015, The Agency for Cultural Affairs of Japan implemented a project called "Japan Heritage," which aims to promote the unique narratives of cultural properties of the region by branding the locality for revitalization in preparation for the 2020 Tokyo Olympics and Paralympics. This bottom-up approach of cultural policy has been called a "Cool Japan Strategy of Cultural Heritage" in the 21st century, which effectively incorporates local cultural heritage and tourism. However, although a total of 67 Japan Heritage projects have been designated as of December 2018, almost none has been introduced in the academic forum in Korea. On the basis of this background and a lack of academic awareness in Korea on Japan's recent cultural policies, this research aims to focus on the three cases of Gunma Prefecture implemented in local, global, and glocal aspects. To specify, the cases are the "Gunma Silk Heritage" project, implemented in 2011, the "Tomioka Silk Mill and Related Sites" project that was included on the UNESCO World Heritage List in 2014, and "The Best Wife in the World - Silk Story of Gunma," case certified as the first project of "Japan Heritage" launched in 2015. Based on the questionnaire method conducted with the World Heritage Registration Promotion Division in Gunma Prefectural Government, as well as a literature view, the research revealed that the consecutive implementation of a series of cultural heritage projects in Gunma is not coincidental, but rather a strategy aiming to create a synergism where each project complements the others. Moreover, this paper demonstrates that Gunma Prefecture has been utilizing the local silk industry as a tangible and intangible cultural resource in multi-layered heritage projects, resulting in a "spiral synergy effect" and a "chain of the recognition process." In conclusion, it illustrates the recent trend of utilizing cultural heritage in the context of the Cool Japan strategy, which seeks to move away from the administration of maintaining the status quo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to a proactive one with greater potential growth. This research may thus provide meaningful insight into the utilization of domestic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as well as related policy-making, in that it will ultimately promote the chain effect of linking the multiple heritage policies and projects at the local, global, and glocal levels.

A Study on the Protection and Management System of the Southwestern Coast Tidal Flat for Inscription in the World Heritage List (서남해안 갯벌의 세계유산 등재를 위한 보호 및 관리체계 연구)

  • Moon, Kyong-O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48 no.3
    • /
    • pp.80-95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n effective protection and management system for World Heritage (WH) nomination of Southwestern Coast Tidal Flat (SCTF) by proposing a model of protection and management. SCTF has a potential to become a representative best practice to achieve a sustainable development for human society. SCTF has a potential Outstanding Universal Values (OUVs) for WH nomination, thus a harmony between human and nature for wise use of natural resources needs to be pursued. It is required to present the system of SCTF's protection and management and to analyze present status of the regions in the Tentative List by comparing the case which were already inscribed as WH. For better protection of nominated areas, SCTF should expand an area for protection with additional designation. For the management system, two separate management systems such as the Department of Culture & Tourism and the Department of Oceans & Fisheries need to be reconciled. Because of this overlapping management structure, the management of the nominated sites has been inefficient and long-term management plan is lack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tegrate conflicting management system of each local government and make a long-term, integrated management plan. To make an efficient and sustainable protection and management, it is essential to set up a collaboration system by integrating various stakeholders such as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cademic organizations, local residents, and NGOs. As in the case of Wadden Sea, the combined community system of the stakeholders mentioned above should be established. Because it is essential for local residents to understand a basic concepts for protection and managemen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capacity-building of local people. The protection and management structure should be set up by bottom-up processes, that is the proper structure shoud be based on thorough research on local society as well as thorough communication with local residents to make relevant laws and policies. This study also propose the proper plan for better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SCTF.

Health Promotion Through Healthy People 2010 ("2010년대 건강한 시민" 정책을 통한 미국의 건강증진 방향)

  • Cho, Jung H.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Promotion Conference
    • /
    • 2004.10a
    • /
    • pp.17-58
    • /
    • 2004
  • 뉴저지주 보건교육/건강 증진정책을 논하기전에 건강증진과 보건 교육사의 뜻을 먼저 기술하기로 한다. 건강증진이란 일상 사회생활과 행동과학의 응용에서 시작하며 교육의 효율적 작전 및 기술, 질병 역학 조사, 개인 및 가족단위 건강 위해 행위 절감, 사회연관 구축망 조성, 그리고 적게는 이웃, 더 나아가 조직체계 및 지역 사회의 네트웍 실시등을 실시한다. 보건교육 및 건강증진 전문가란 ' 전국 보건교육 인증 위원회(NCHEC) ' 에서 채택된 다음 7개 활동 영역에서 개인적, 그룹, 각주단위, 그리고 범 국가적 조직에서 종사하는자로 한다. 개인 및 지역사회 보건 교육 필요성 분석- 계회, 실행, 효율성 평가, 사업 진행 조정, 자문, 컴뮤니케이션 등의 활동범위를 들 수 있다. 공인 보건 교육사(CHES)란 대학 및 대학원에서 보건 교육학 소정의 필수 과목을 이수하고 학.석사 소지자로서 ' 전국 보건 교육 인증 위원회 ' 에서 그 자격을 인정 받고 공인 자격 시험에 합격한자로 한다. 합격자는 자기 성명뒤에 CHES란 칭호를 부치며 매 5년마다 75단위이상 인정된 전문 직업 보수 교육을 받아야 한다. 보건 교육사 고용 분야는 연방, 주, 지방 정부의 보건 교육사(10-15%) 및 건강 증진 전문가로 종사하며; 이들은 지역 사회 조직화, 프로그람 기획, 공공사업 마켓팅, 메디아, 컴뮤니케이션 자질을 갓추어야 하며; 상해 예방, 학교 보건, 지역 사회 영양 실태 향상, 그 외 모든 건강 증진과 질병 예방에 일익을 담당 하여; 의사, 간호사, 약사, 영양사,환경 위생사드의 전문분야종사자들괴 한팀이 되어 지역 사회 보건 사업에 기여한다. 쥬저지 보건 교육사들은 주법령 8조 '||'&'||' 보건행정 표준 시행령 ' 에 따라 포괄적 보건교육/건강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총체적으로 조절 관장한다. 특희 ' 미국 학술원 의료 연구원 ' 에서 제정한 ' 10대 필수 공중 보건 사업 ' 에 기준을 두고; 1) 개인 및 지역사회 필수 보건 여건 분석 평가, 2) 보건 교육 이론에 따른 사업 계획 설정, 3) 교육 전략과 보건문제 발굴에 따라 일반 대중 대상 보건 교육 실행 (프로그람 기획, 연수 교육, 미디어 캠페인, 공중보건 향상책 옹호), 4) 사업 진행 과정 정리, 그 결과에 대한 영향력과 결과 평가, 5) 프로그램진행, 인사 및 예산관리 참여, 6) 근무향상을 위한 보수교육 프로그램 개발, 7) 보건 의료 업무 종사자 상호 협조성 향상 훈련, 8) 지역 사회자원 밭굴, 9) 적절한 고객 의뢰 체제 시행, 10) 위기 관리 컴뮤니케이션 체제 개발실시, 11) 일반 대중에게 공중 보건 향상 고취, 12) 각종 협력 지원금 신청서 작성 제출, 13) 문화/인종적으로 적절한 시청각 교재 발굴, 15) 질적 및 양적 보건교육/건겅증진책 연구 실시, 16) 비 보험 가담자, 저 보험자, 빈곤자, 이민자 색출 선도, 17) 관활 구역내 상재하는 각 건강증진 프로그램 밝혀 내서 불필요한 중복 회피등이다. 그 외에도 보건 교육사들은 사회 복지 단체인 미국 암 협회, 미국 심장 협회,미국 폐장 협회 등 각종 사회 복지 비영리단체 와 자선 사업 단체들과 긴밀희 협조하거나 그 단체 임직원으로서 건강 증진 사업에 종사한다. 병원 및 의료기관에선 임직원 보수 교육, 환자의 질병 예방및 건강증진 교육, 그리고 의료 사업장내 건장 증진업무에 종사한다. 건강 유지 의료 기관(HMO)에선 예방주사, 정기검진 촉진등을 통한 입원일수 절감, 응급실 사용도 절감등으로 의료비 감축, 삶의질 향상상에 종사한다. 사업장 보건 교육사는 스트레스 관리, 금연 및 흡연 중단선도, 체중 절감, 종업원 건강증진 생활화참여 유치, 컴뮤니케이션 개발, 마켓팅, 질병 예방등에 그 전문 직업적 노하우를 사업체 건강 증진 프로그램 개발에 접목한다. 뉴저지 2010년대 건강 증진책은 5대 목표 설정하여 현재 시행하고 있다. 특이한점은 2001년 9.11사태 이후 연방정부와 주정부의 상당한 예산 지원을 그랜트 지원금 형식으로 받아 연방, 주정부, 지방 정부, 의료 기관등에서 일사 불란하게 생물/화학/방사성 테러에 대비하는데 보건 교육사들은 시민 인지도 향상과 위기관리 컴뮤니케이션 영역에서 활약한다. 총체적인 보건 교육/건강 증진책은 다음 천년간 뉴저지 건강증진 백서와 미연방 정부 건강증진 2010에 준하여 설립한 뉴저지 건강 증진 2010 에 의한다. 그 모델을 보면; 1) 생활 습관 향상으로 위해 행위 절제; 적절한 영양 섭취 와 과체중화 차단 불필요한 투약 절제와 그 관리 흡연 탐익 절감, 금연, 흡연관련 신체/정신적 피해 관리/치료 습관성 약물 중독 조기발견 예방 낙상 예방 폭력, 의도적/비의도적 상해 예방 2) 심장질환, 암, 뇌졸중, 당뇨, 폐염, 인프루엔자등 주사망원인 질병 조기 발견 예방 책 마련; 독감.폐렴 예방 주사 실시 3) 보건 교육 대상과 표적 설정 특히 보건사업 참여 동반자 발굴하여 그 동참과 책임분담 책려; 주. 지방 정부기관, 의료 종사자, 의료 보험 업자, 대학 등 교육 기관, 연구 기관, 교육자, 지방 보건소, 지역 사회 비 영리단체, 종교 단체 및 교역자 등의 참여 촉구., 지역 사회 비 영리단체, 종교 단체 및 교역자 등의 참여 촉구.

  • PDF

The Economic Impact of the Korean Port Industry on the National Economy : from the Viewpoint of Macroeconomics (한국항만산업이 국가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분석 - 거시경제의 관점에서 -)

  • Moon, S.H.
    • Journal of Korean Port Research
    • /
    • v.6 no.2
    • /
    • pp.65-92
    • /
    • 1992
  • The Korean central government has not appreciate the full extent of the impact of seaports on the national economy. As a consequence port investment has not been given sufficient priority and capacity has failed to keep pace with demand. The principal reason for this failure is the fact that the linkages (or relationships) of the port transport industry with other sectors have not been quantified and fully appreciated. To overcome this dificiency this paper developed a port input-output model to determine the economic impact of the port industry on the national economy. This impact study was conducted by analysing the impact of the Korean port industry upon the national economy from the macroeconomic viewpoint, and identifying the spreading effects of port investments upon the nation's economy. The analysis of the economic impact of the port industry suggests that its contribution to the Korean economy is substantial. What the model shows is, in quantifiable terms, there are the strong economic linkages between the port industry and the other sectors of the national economy. The contribution of the port industry to the Korean economy was summarised in the Conclusion section.

  • PDF

A Study on the Adaptation Process of North Korean Immigrant Youth Discontinuing Formal Education (학업중단 북한이탈 청소년의 적응과정에 관한 질적연구)

  • Yang, Young Eun;Bae, Imho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 /
    • v.41 no.4
    • /
    • pp.189-224
    • /
    • 2010
  • Nowadays Korean society has a fast growing population of North Korean immigrant youth. Especially, North Korean immigrant youth, who are discontinuing formal education, experience difficulties in social exclusion and adaptati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experiences of adaptation and social support of North Korean immigrant youth discontinuing formal education, and to seek affirmative supporting plans and solutions for their adaptation. The methodology utilized for this study was a case study research. On the basis of the results and categorization, 'a network between overall categories and of early adaptation' was derived.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experienced major difficulties during 'economical adaptation', and their economical adaptation was strongly interrelated with their 'educational adaptation'. The discontinuing of their education resulting from their fleeing period caused 'academic differential and age disparity.' Thus they could not enroll in the formal education system, and their insufficient educational background resulted in low wages and overwork due to manual labor jobs. Second, participants recognized 'interpersonal relations' as the most essential factor in adaptation, and 'social support' from the interpersonal relation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adaptation to and comfort in Korean society. 'Interactions with South Koreans' was recognized as a significant resource for gaining informational and appraisal support, but was not activated satisfactorily. On the other hand, interaction with North Korean immigrants was avoided by the reason that 'there's nothing to learn', however emotional support from North Korean immigrants of close relationship played an important role in participants' adaptation, especially in all aspects of psychological adaptation. Third, participants experienced a lot of difficulties and stresses in their 'physical health and psychological adaptation'. Their chronic diseases worsened by remaining untreated, and female perceived symptoms were observed more often than in male. Meanwhile, excessive 'stresses' from the unfamiliar environment of South Korea negatively affected their psychological adaptation. However, they were satisfied with sense of liberty and security from living in a democratic society.

Prediction of Species Distribution Changes for Key Fish Species in Fishing Activity Protected Areas in Korea (국내 어업활동보호구역 주요 어종의 종분포 변화 예측)

  • Hyeong Ju Seok;Chang Hun Lee;Choul-Hee Hwang;Young Ryun Kim;Daesun Kim;Moon Suk Le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9 no.7
    • /
    • pp.802-811
    • /
    • 2023
  • Marine spatial planning (MSP) is a crucial element for rational allocation and sustainable use of marine areas. Particularly, Fishing Activity Protected Areas constitute essential zones accounting for 45.6% designated for sustainable fishing activities. However, the current assessment of these zones does not adequately consider future demands and potential values, necessitating appropriate evaluation methods and predictive tools for long-term planning. In this study, we selected key fish species (Scomber japonicus, Trichiurus lepturus, Engraulis japonicus, and Larimichthys polyactis) within the Fishing Activity Protected Area to predict their distribution and compare it with the current designated zones for evaluating the ability of the prediction tool. Employing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6th Assessment Report scenarios (SSP1-2.6 and SSP5-8.5), we used species distribution models (such as MaxEnt) to assess the movement and distribution changes of these species owing to future variations. The results indicated a 30-50% increase in the distribution area of S. japonicus, T. lepturus, and L. polyactis, whereas the distribution area of E. japonicus decreased by approximately 6-11%. Based on these results, a species richness map for the four key species was created. Within the marine spatial planning boundaries, the overlap between areas rated "high" in species richness and the Fishing Activity Protected Area was approximately 15%, increasing to 21% under the RCP 2.6 scenario and 34% under the RCP 8.5 scenario. These findings can serve as scientific evidence for future evaluations of use zones or changes in reserve areas. The current and predicted distributions of species owing to climate change can address the limitations of current use zone evaluations an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plans for sustainable and beneficial use of marine resources.

Redefinition of the Concept of Fishing Vessel and Legislation Adjustment (낚시어선 개념의 재정립과 법제 정비에 관한 연구)

  • Yeong-Tae S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9 no.6
    • /
    • pp.639-652
    • /
    • 2023
  • The fundamental background behind the introduction of the fishing vessel system is to allow petty small fishers to engage in pure fishery business activities with fishing vessels during normal times and engage in fishing vessel business only during specific periods (closed fishing season, etc.) thereby granting a qualification as an auxiliary tool for the economic activities of petty small fishers. In addition, fishing boats are allowed to engage in excursion ship activities using fishing vessels registered under the Fishing Vessels Act, the form of fishing vessels should also have a general and universal structure that is practically easy to engage in fishing activities in the field in accordance with the relevant regulations. However, most fishing vessel proprietors are currently focusing only on increasing income, and rather than building fishing vessels in a reasonable form suitable for the original purpose of general fishing vessels, they prefer an abnormal hull form equivalent to expediency, that is biased hull structure biased toward the fishing vessel business. As a result, it is causing serious problems in safety management as well as conflict [damaging relative equity in government support measures (tax-free oil supply, etc.), and depletion of livelihood-type fish stocks] with fishing vessel forces who consider the fishing vessel business only to be a part of the side job among all fishery business activities. Meanwhile, the most fundamental cause of this problem is that the current Fishing Management and Promotion Act, limits the concept of fishing vessels to fishing vessels registered under the Fishing Vessels Act, and applies survey standards accordingly. Accordingly, in this study, through analysis of the distribution status of fishing vessels, structural characteristics, operation status of fishing vessels, and the government's fishing promotion policies, etc., the relevant laws (regulations) have been reorganized to suit the current reality of the concept of fishing vessels to separate the current fishing vessel from fishing vessels and operate it as a fishing-only vessel.

Assessment of water supply reliability in the Geum River Basin using univariate climate response functions: a case study for changing instreamflow managements (단변량 기후반응함수를 이용한 금강수계 이수안전도 평가: 하천유지유량 관리 변화를 고려한 사례연구)

  • Kim, Daeha;Choi, Si Jung;Jang, Su Hyung;Kang, Dae Hu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6 no.12
    • /
    • pp.993-1003
    • /
    • 2023
  • Due to the increasing greenhouse gas emissions, the global mean temperature has risen by 1.1℃ compared to pre-industrial levels, and significant changes are expected in functioning of water supply systems. In this study, we assessed impacts of climate change and instreamflow management on water supply reliability in the Geum River basin, Korea. We proposed univariate climate response functions, where mean precipitation and potential evaporation were coupled as an explanatory variable, to assess impacts of climate stress on multiple water supply reliabilities. To this end, natural streamflows were generated in the 19 sub-basins with the conceptual GR6J model. Then, the simulated streamflows were input into the Water Evaluation And Planning (WEAP) model. The dynamic optimization by WEAP allowed us to assess water supply reliability against the 2020 water demand projections. Results showed that when minimizing the water shortage of the entire river basin under the 1991-2020 climate, water supply reliability was lowest in the Bocheongcheon among the sub-basins. In a scenario where the priority of instreamflow maintenance is adjusted to be the same as municipal and industrial water use, water supply reliability in the Bocheongcheon, Chogang, and Nonsancheon sub-basins significantly decreased. The stress tests with 325 sets of climate perturbations showed that water supply reliability in the three sub-basins considerably decreased under all the climate stresses, while the sub-basins connected to large infrastructures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When using the 2021-2050 climate projections with the stress test results, water supply reliability in the Geum River basin was expected to generally improve, but if the priority of instreamflow maintenance is increased, water shortage is expected to worsen in geographically isolated sub-basins. Here, we suggest that the climate response function can be established by a single explanatory variable to assess climate change impacts of many sub-basin's performance simultaneously.

Philosophical Stances for Future Nursing Education (미래를 향한 간호교육이념)

  • Hong Yeo Shin
    • The Korean Nurse
    • /
    • v.20 no.4 s.112
    • /
    • pp.27-38
    • /
    • 1981
  • 오늘 저희에게 주어진 주제, 내일에 타당한 간호사업 및 간호교육의 향방을 어떻게 정하여야 하는가의 논의는 오늘날 간호계 주변에 일어나고 있는 변화의 실상을 이해하는 데서 비롯되어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입장에서 먼저 세계적으로 건강관리사업이 당면한 딜레마가 어떠한 것이며 이러한 문제해결을 위해 어떠한 새로운 제안들이 나오고 있는가를 개관 하므로서 그 교육적 의미를 정의해 보고 장래 간호교육이 지향해야할 바를 생각해 보려 합니다. 오늘의 사회의 하나의 특징은 세계 모든 나라들이 각기 어떻게 전체 국민에게 고루 미칠 수 있는 건강관리체계를 이룩할 수 있느냐에 관심을 모으고 있는 사실이라고 봅니다. 부강한 나라에 있어서나 가장 빈궁한 나라에 있어서나 그 관심은 마찬가지로 나타나고 있읍니다. 보건진료 문제의 제기는 발달된 현대의학의 지식과 기술이 지닌 건강관리의 방대한 가능성과 건강 관리의 요구를 지닌 사람들에게 미치는 실질적인 혜택간에 점점 더 크게 벌어지는 격차에서 발생한다고 봅니다. David Rogers는 1960년대 초반까지 갖고 있던 의료지식의 축적과 민간인의 구매력 향상이 자동적으로 국민 건강의 향상을 초래할 것이라고 믿었던 순진한 꿈은 이루어지지 않았고 오히려 의료사업의 위기는 의료지식과 의료봉사간에 벌어지는 격차와 의료에 대한 막대한 투자와 그에서 얻는 건강의 혜택간의 격차에서 온다고 말하고 있읍니다. 균등 분배의 견지에서 보면 의료지식과 기술의 향상은 그 단위 투자에 대한 생산성을 낮춤으로서 오히려 장애적 요인으로 작용해온 것도 사실이고 의료의 발달에 따른 일반인의 기대 상승과 더불어 의료를 태성의 권리로 규명하는 의료보호사업의 확대로 야기되는 의료수요의 급증은 모두 기존 시설 자원에 압박을 초래하여 전래적 의료공급체제에 도전을 가해 왔으며 의료의 발달에 건 기대와는 달리 인류의 건강 문제 해결은 더욱 요원한 과제로 남게 되었읍니다. 현시점에서 세계인구의 건강문제는 기아, 영양실조, 안전한 식수 공급 및 위생적 생활환경조성의 문제에서부터 가장 정밀한 의료기술발달에 수반되는 의료사회문제에 이르는 다양한 문제를 지니고 있으며 주로 각개 국가의 경제 사회적 여건이 이 문제의 성격을 결정짓고 있다고 볼수 있읍니다. 그러나 건강 관리에 대한 요구는 영구히, 완전히 충족될 수 없는 요구에 속한다는 의미에서 경제 사회적 발달 수준에 상관없이 모든 국가가 공히 요구에 미치지 못하는 제한된 자원문제로 고심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또 하나의 공통된 관점은 각기 문제의 상황은 달라도 오늘날의 건강 문제는 주로 의료권 밖의 유전적 소인, 사회경제적, 정치문화적인 환경여건과 각기 선택하는 삶의 스타일에 깊이 관련되어 있다는 사실입니다. 따라서 오늘과 내일의 건강관리 문제는 의학적 견지에서 뿐 아니라 널리 경제, 사회, 정치, 문화적 관점에서 포괄적인 접근이 시도되어야 한다는 점과 의료의 고급화, 전문화, 일변도의 과정에서 소외되었던 기본건강관리체계 강화에 역점을 둔 다양하고 탄력성 있는 사업전개가 요구되고 있다는 점입니다. 다양한 건강관리요구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기 위한 그간 세계 각처에서 시도된 새로운 건강관리 접근과 그 제안을 살펴보면 대체로 4가지의 뚜렷한 성격들로 집약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 첫째는 건강관리사업계획 및 그 수행에 있어 지역 사회의 적극적 참여를 유도하는 일, 둘째는 지역단위의 일차보건의료에서 부터 도심지 신예 종합병원, 시설 의료에 이르기까지 건강관리사업을 합리적으로 체계화하는 일. 셋째로 의료인력이용의 효율화 및 비의료인의 훈련과 협조 유발을 포함하는 효과적인 인력관리에 대한 제안과 넷째로 의료보험 및 각양 집단 의료유형을 포함하는 대체 의료재정 운영관리에 관련된 제안들을 들 수 있읍니다. 건강관리사업에 있어 지역사회 참여의 의의는 첫째로 사회 경제적인 제약이 모든 사람에게 가능한 최대한의 의료를 모두 고루 공급하기 어렵게 하고 있다는 점에서 제한된 정부재정과 지역사회가용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자조적이고 자율적인 지역사회건강관리체제의 구현에 있다고 볼 수 있으며 둘때로는 개인과 가족 및 지역민의 건강에 영향하는 많은 요인들은 실질적으로 의료권 외적 요인들로서 위생적인 생활양식, 식사습관, 의료시설이용 등 깊이 지역사회특성과 관련되어 국민보건의 실질적 향상을 위하여는 지역 주민의 자발적인 참여가 필수여건이 된다는 점 입니다. 지역 단위별 체계적인 의료사업의 전개는 제한된 의료자원의 보다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이용을 가능하게 하며 요구가 있을때 언제나 가까운 거리에서 경제 사회적 제약을 받지 않고 이용할 수 있는 일차건강관리망을 통하여 건강에 관련된 정보를 얻으며 질병예방, 건강증진 및 기초적인 진료의 도움을 얻을 수 있고 의뢰에 대한 제2차, 제3차 진료에의 길은 건강관리사업의 질과 폭을 동시에 높고 넓게 해 줄 수 있는 길이 된다는 것입니다. 인력 관리에 관련된 두가지 기본 방향으로서는 첫째로 기존보건의료인력의 적정배치 유도이고 둘째는 기존인력의 역할확대, 조정 및 비의료인의 교육훈련과 부분적 업무대체를 들수 있으며 이러한 인력관리의 기본 방향은 부족되는 의료인력의 생산성을 높이고 주민들의 자조적 능력을 강화시킨다는 데에 두고 있음니다. 대체적 의료재정운영안은 대체로 의료공급과 재정관리를 이원화하여 주민의 경제능력이 의료수혜의 장애요소로 작용함을 막고 의료인의 경제적 동기에 의한 과잉치료처치에 의한 낭비를 줄임으로써 의료재정의 투자의 효과를 증대하는 데(cost-effectiveness) 그 기본방향을 두고 있다고 봅니다. 이러한 주변의료 사회적인 동향이 간호교육의 미래상에 끼치는 영향은 지대한 것이라 봅니다. 첫째로 장래 세계인구의 건강문제는 정치, 사회, 경제, 환경적인 의료권 밖의 요인들에 의해 더욱 크게 영향 받는다고 전제한다면 건강문제해결에 있어서도 전통적인 의료사업의 접근에서 더나아가 문제발생의 근원이 되는 생활개선이라는 차원에서 포괄적 접근을 생각하여야 하고 이를 위해선 정치, 경제, 사회전반에 걸친 깊이있는 이해과 주민의 생활환경에 직접 영향하는 교통수단, 통신망 mass media, 전력문제, 농업경영방법 및 조직적 사회활동 등 폭넓은 이해가 요구된다고 봅니다. 둘째로, 지역사회참여의 의의를 인정한다면 지역민의 자발적 참여를 효과적으로 유발시킬수 있고 의료집단과 각종 주민조직과 일반주민들 사이에서 협조적으로 일할수 있는 역량을 기르기위한 교육적 준비가 요구된다고 봅니다. 셋째로, 지역주민의 건강관리 자조능력 강화를 하나의 목표로 삼는다면 치료자에서 교육자로, 지도자에서 촉진자로, 제공자에서 지원자료의 역할의 변화 내지 다양화를 요구하게 될 것이므로 그에 대처할 수 있는 준비가 필요하다고 봅니다. 넷째로, 생각되어야 할 점은 지역중심건강관리사업을 지향하는 보건의료의 이념적 방향과 그에 상응하는 구체적 접근방법을 효율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종횡으로 연결되는 의사소통체계의 정립과 민활한 정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는 점에서 의사소통의 구심체로서 역할할 수 있는 역량을 함양해야 할 교육적 과제가 있다고 봅니다. 마지막으로 생각되어야 할 점은 지역중심으로 전개될 건강관리사업은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적 측면과 질병진료 및 회복과 재활에 이르는 종합적이고 포괄적인 사업이어야 한다는 점에서 종래 공공 의료부문과 사설의료기관 사이에 나누어져 있던 예방의학과 치료의학의 통합 뿐 아니라 정부주축으로 이루어 지고 있는 지역사회개발사업 및 농촌지도사업과 종교 및 각종 민간인 집단이 벌이고있는 사업들과의 전체적인 통합적 접근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입장에서 종래 간호교육이 강조하지 않던 진료의 의무와 대외적 조직활동에 대한 보완적인 교육조치가 요구된다고 봅니다. 간호의 학문체계로서의 입장은 오랜 역사를 두고 논의의 대상이 되어왔으나 아직까지 뚜렷이 어떤 것이 간호 특유의 지식체계이며 건강문제에 관련하여 무엇이 간호특유의 결정영역이며 이 결정과 그 결과를 어떠한 방법으로 치료적 행위로 옮길 수 있는가에 대한 확실한 답을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봅니다. 다만 근래에 제시된 여러 간호이론들 속에서 공통적으로 이야기되어지고 있는 개념들로선 우선 간호학문을 건강과 질병에 관련된 인간의 전인적이고 전체적인 상황을 다루는 학제적 과학으로서보는 입장이 있고 따라서 생물신체적인 면 외에 정신심리적, 사회경제적, 정치문화적 환경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인간의 건강과 질병문제를 생각한다는 지향을 갖고 있다고 말할 수 있겠읍니다. 간호교육은 간호계 내적인 학문적, 이론적 체계화의 요구에 못지않게 대민봉사하는 전문직으로서의 사회적 책임을 감당해야하는 중요과제를 안고있어 변화하는 사회요구에 효과적으로 대처해 나가야 할 당면문제를 안고 있읍니다. 간효역할 확대, 보건진료원훈련 등 이러한 사회적 요구에 대응하려는 조치가 되겠읍니다. 이러한 시점에서 간호계가 분명히 짚고 넘어가야 할 사실은 이러한 움직임들이 종래의 의사들의 외업무공급을 연장 확대하는 입장에 서서 간호의 특수전문직 명목을 흐리게 할수있는 위험을 감수할 것인지 아니면 가능한 대체방안을 갖고 간호전문직의 독자적인 진로를 개척하면서 다각적인 도전을 받아들일 준비를 갖추든지 그 방향을 뚜렷이 해야할 일이라 생각합니다. 저로서는 이미 잘 훈련된 간호원들과 조산원들의 교육적, 경험적 배경을 기반으로 지역사회 최일선 건강관리요원으로 사회적 효능을 다 할수 있는 일차건강관리간호조직의 구현을 대체방안으로 제시하고 싶습니다. 간호원과 조산원들의 훈련된 역량과 건강관리체제의 구조적 변화를 효과적으로 조화시킨다면 대부분의 세계인구의 건강문제는 해결가능하다고 보는 입장입니다. 물론 정책과 의료와 행정적지원이 활성화되어지는 환경속에서만 그 기대하는 결과가 확대되리라는 점 부언하는 바입니다. 마지막으로 언급하고 싶은 점은 바로 오늘의 주제 ''교육의 동역자-선생과 학생''이라는 개념입니다. 특히 상회정의적 입장에서 보는 의료사업전개에 지역민 내지 의료소비자의 참여를 강조하는 현시점에 있어 교육자와 학생이 교육의 현장에서 서로 동역자로서 학습의 책임을 나누는 경험은 아주 시기적으로 적합하여 교육적으로 지대한 의미를 갖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에 수반되어져야 할 역할의 변화에 수용적인 자세를 갖고 적극 실제적용하려 노력하는 선생앞에서 자주적 결정을 행사해본 학생이야말로 건강관리대상자로 하여금 같은 결정권을 행사할수 있도록 촉구하여 주민의 자조적 역량을 기르고 의료사업의 민주화, 인간화를 이룩할 수 있는 길잡이가 될 수 있으리라 믿는 바입니다.

  • PDF

An Exploratory study on the demand for training programs to improve Real Estate Agents job performance -Focused on Cheonan, Chungnam- (부동산중개인의 직무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욕구에 관한 탐색적 연구 -충청남도 천안지역을 중심으로-)

  • Lee, Jae-Beom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2 no.9
    • /
    • pp.3856-3868
    • /
    • 2011
  • Until recently, research trend in real estate has been focused on real estate market and the market analysis. But the studies on real estate training program development for real estate agents to improve their job performance are relatively short in numbers. Thus, this study shows empirical analysis of the needs for the training programs for real estate agents in Cheonan to improve their job performanc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survey of asking what educational contents they need in order to improve real estate agents' job performance, most of the respondents show their needs for the analysis of house's value, legal knowledge, real estate management, accounting, real estate marketing, and understanding of the real estate policy. This is because they are well aware that the best way of responding to the changing clients' needs comes from training programs. Secondly, asked about real estate marketing strategies, most of respondents showed their awareness of new strategies to meet the needs of clients. This is because new forms of marketing strategies including internet ads are needed in the field as the paradigm including Information Technology changes. Thirdly, asked about the need for real estate-related training programs, 92%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ey need real estate education programs run by the continuing education centers of the universities. In addition, the survey showed their needs for retraining programs that utilize the resources in the local universities. Other than this, to have effective and efficient training programs, they demanded running a training system by utilizing the human resources of the universities under the name of the department of 'Real Estate Contract' for real estate agents' job performance. Fourthly, the survey revealed real estate management(44.2%) and real estate marketing(42.3%) is the most chosen contents they want to take in the regular course for improving real estate agents' job performance. This shows their will to understand clients' needs through the mind of real estate management and real estate marketing. The survey showed they prefer the training programs as an irregular course to those in the regular one. Despite the above results, this study chose subjects only in Cheanan and thus it needs to research more diverse areas. The needs of programs to improve real estate agents job performance should be analyzed empirically targeting the real estate agents not just in Cheonan but also cities like Pyeongchon, Ilsan and Bundang in which real estate business is booming, as well as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whose major is real estate studies. These studies will be able to provide information to help develop the customized training programs by evaluating elements that real estate agents need in order to meet clients satisfaction and improve their job performance. Many variables of the program development learned through these studies can be incorporated in the curriculum of the real estate studies and used very practically as information for the development of the real estate studies in this fast changing er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