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자원이주

Search Result 298,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A Study on the Selectivity of the Trawl Net for the Demersal Fishes in the East China Sea - 1 (동지나해 저서 어자원에 대한 트롤어구의 어획선택성에 관한 연구 - 1)

  • Lee, Ju-Hui;Kim, Sam-Gon;Kim, Jin-Ge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and Ocean Technology
    • /
    • v.28 no.4
    • /
    • pp.360-370
    • /
    • 1992
  • In order to analyse the mesh selectivity for the trawl net, the fishing experiment was carried out by the training ship Saebada belonging to the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in the Southern Korea Sea and the East China Sea from June 1991 to August 1992. The trawl net used in the experiment has the trouser type of cod-end with cover net and the mesh selectivity in the cod-end part. In this report, the species of fishes caught and the catch rate for them in accordance with different mesh sizes were analysed, and the result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145 species of aquatic animals were caught in totally 138 times of trawl operations. 2) The number of species mostly not to escape are 28, 22, 19, 16 and 11 respectively, in each opening mesh size, 51.2mm, 70.2mm, 77.6mm, 88.0mm and 111.3mm of cod-end. 3) In view that the use of the opening mesh size above 54mm in cod-end of trawl net in Korea, it is necessary to device a counterplan against the overfishing, for the 22 species of aquatic animals mostly not to escape in the cod-end of the large mesh sizes more than 70.2mm.

  • PDF

Disposal, recycle and treatments of sewage sludge : a review (하수슬러지 처리 방법에 대한 고찰)

  • Shon, Byung-Hyun;Kwon, Young-Hyun;Jung, Moon-Hun;Lee, Ju-Ho;Kim, Min-Choul;Lee, Gang-Woo;Jung, Jong-Hyeon;Choi, Soo-Kyung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9.05a
    • /
    • pp.910-913
    • /
    • 2009
  • 경제성장과 산업도시의 발달로 인해 물의 사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하수처리장의 수와 규모가 커지고 있어 하수처리장에서 발생하는 하수슬러지의 양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런던협약 '96의정서 발효에 따라, 하수슬러지의 해양배출기준이 대폭 강화 되었으며 또한 2012년부터는 하수슬러지의 해양 투기가 전면 금지될 것이므로, 해양투기 등으로 처리되고 있는 하수슬러지를 에너지자원으로 활용하여 고유가 및 기후변화에 적극 대응하고, 런던협약 등에 따른 해양투기 금지('2012)에 대처하기 위해 하수슬러지의 처리 및 재이용 방법에 대한 최근의 연구동향을 고찰해 보았다.

  • PDF

Studies on the Gonadal Development and Gametogenesis of the Granulated Ark, Tegillarca granosa (Linnee) (꼬막, Tegillarca granosa ( Linne ) 의 생식소발달 및 생식세포형성에 관한 연구)

  • 이주하
    •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 /
    • v.13 no.1
    • /
    • pp.55-64
    • /
    • 1997
  • 꼬막, Tegillarca granosa은 우리나라 남해 및 서해안 일대에서 서식하는 중요한 수산자원 중의 하나이지만, 이에 대한 생물학적 기초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1995년 2월부터 1996년 1월까지 전남 벌교연안에서 채집한 꼬막의 생식소발달, 생식세포형성과정 및 생식주기를 조사하였다. 1. 꼬막은 자웅이체이면서 난생이고, 생식소는 내장낭의 간중장선을 싸고 있는 결합조직으로부터 족부의 근육층까지 분포한다.2. 미분화간층직과 호산성 과립세포들이 초기 활성기의 소낭에 풍부하게 나타나기 시작하여 완숙기에는 거의 없어지는 것으로 보아, 이들은 생식소 및 생식세포형성과 발달에 영향을 공급하는 영향세포로 생각된다.3. 생식소발달, 생식세포형성과정, 조직분화과정 및 세포학적 특성에 따라, 이들의 생식주기를 초기 활성기, 완숙기, 부분 방출기, 방출 및 비활성기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4. 방란 및 방정은 수온 2$0^{\circ}C$정도되는 6월하순부터 시작되고, 주산란시기는 수온이 23-24$^{\circ}C$정도 되는 7-8월이며, 완숙란의 크기는 50-60$\mu\textrm{m}$이다.5. 비활성기는 9월에서 이듬해 4월까지 지속되는 비교적 긴 기간이며, 초기 활성기도 비교적 길어 1월에서 5월까지 지속되는 반면, 후기활성, 완숙 및 방출기는 비교적 짧아, 5월에서 8월까지 모두 완료된다.6. 비만도의 월별 변화는 생식소의 발달, 생식주기 및 수온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7. 사용된 재료 433개체 중 1개체가 자웅동체현상을 나타내었다.

  • PDF

Contents Sharing Model in Distributed Collaboration Environment (분산 협업 환경에서의 콘텐츠 공유 모델)

  • Hur, Hye-Jung;Lee, Ju-Young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9 no.5
    • /
    • pp.79-87
    • /
    • 2014
  • In this paper, we propose contents sharing model for consolidating distributed collaboration environments. We provide the combined model by integrating different features-scalable resolution display walls resource, sharing contents on local and remote, multi-user interaction, and access control. There is a benefit that every user can interact within an environment, but overlaps would occur because of multi-user interaction. To manage overlap issue, the model includes access control. Access control would interfere flow of work process. Therefore, we conduct user study to evaluate these two factors of the model. The result shows that the proposed contents sharing model makes it possible to concentrate in a work.

A Technique for Generating Semantic Trajectories by Using GPS Moving Trajectories and POI information (GPS 이동 궤적과 관심지점 정보를 이용한 시맨틱 궤적 쟁성 기법)

  • Jang, Yuhee;Lee, Juwon;Lim, Hyo-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5.04a
    • /
    • pp.722-725
    • /
    • 2015
  • 모바일 환경에서 사용자의 GPS 궤적은 위치기반서비스(Location Based Service)에서 새로운 자원으로써 활용되고 있다. 위치기반서비스의 확장을 위해 단순히 사용자의 위치를 지도에 표시하는 것뿐만 아니라 사용자들이 위치했던 장소들이 내포하고 있는 의미를 발견해 내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최근 사용자의 위치정보에 관심지점(POI: Point of Interest)의 정보를 결합하여 시맨틱 궤적(Semantic Trajectory)을 생성하고 분석하는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기존연구의 경우 시맨틱 궤적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자의 GPS 궤적과 POI의 면적 정보(polygon)가 겹칠 경우를 찾아내서 이를 시맨틱 궤적으로 생성하였다. 하지만 대부분 공개된 POI 정보는 실제 장소들의 면적 정보를 제공하지 않고 좌표(point) 값 만을 제공하기 때문에 기존의 방법으로는 시맨틱 궤적을 생성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GPS 궤적과 POI의 좌표 값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실제 방문했을 것으로 예상되는 POI 를 추정하고 이를 시맨틱 궤적으로 생성해 내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GPS 궤적의 속력 정보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정지했었던 구간을 판별하고, 정지 구간 주변의 POI 밀도에 따라 정지 구간을 영역으로 확장한다. 그리고 영역에 포함된 POI 중 정지 구간과의 거리가 가장 가깝고, 가장 오랜 시간 포함되었던 POI를 사용자가 방문했던 POI로 판단한다. 이 방법은 POI의 면적정보가 없는 제한적인 상황에서도 시맨틱 궤적을 생성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Implementation of ECG Measurement Application Based on Android (안드로이드 기반의 심전도 측정 어플리케이션 구현)

  • Park, Byeong-Ho;Jang, Seong-Won;Heo, Beom;Park, Sang-Ju;Seong, Hyeon-K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1.06a
    • /
    • pp.67-70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고성능 컴퓨팅 시스템의 성능 향상을 위한 효율적인 동적 작업부하 균등화 정책을 제안한다. 이 정책은 시스템 자원인 CPU와 메모리를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고성능 컴퓨팅 시스템의 처리량을 최대화하고, 각 작업의 수행시간을 최소화한다. 또한 이 정책은 수행중인 작업의 메모리 요구량과 각 노드의 부하 상태를 파악하여 작업을 동적으로 할당한다. 이때 작업을 할당 받은 노드가 과부하 상태가 되면 다른 노드로 작업을 이주시켜 각 노드의 작업부하를 균등하게 유지함으로써 작업의 대기시간을 줄이고, 각 작업의 수행시간을 단축한다. 본 논문에서는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제안하는 동적 작업부하 균등화 정책이 기존의 메모리 기반의 작업부하 균등화 정책에 비해 고성능 컴퓨팅 시스템의 성능 향상 면에서 우수함을 보인다.

  • PDF

A Systematic Review on the Correlation between Forest Landscape and Therapeutic Effects (산림경관과 치유 효과에 관한 국내문헌 고찰)

  • Jeong, Philyoung;Lee, Juyoung
    •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 /
    • v.30 no.7
    • /
    • pp.529-536
    • /
    • 2021
  • The forest landscape has been considered to be one of the most beneficial factors, in regard to facilitating the therapeutic effects of the forest environmen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preceding literary works on the correlation between forest landscape and its therapeutic effects and to ponder on key factors of forest landscape that promotes therapeutic results on people's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responses. Literature found in domestic research databases was analyzed and examined in accordance with the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PRISMA)' process. Six papers out of 1,890 were selected as key literature to support the connection. The quality of forest landscape was found to be an integral environmental factor in determining the healing effects of forests. In particular, several factors, including forest types, aquatic elements within the forest landscape, forest-use density and aesthetic elements of forest landscape were found to be crucial for enhancing the therapeutic effects on people's wellbeing. Despite the limited sample groups in the analyzed literature, the results offered a significant insight in supporting the healing effects of forests. Further studies on this subject are required to provide more scientific data for verifying the quality of the therapeutic effects of forests.

Korean Polysemy Word-Sense-Disambiguation using MoDu-Corpus (모두의 말뭉치를 이용한 한국어 다의어 분별)

  • Shin, Joon-Choul;Lee, Ju-Sang;Ock, Cheol-You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0.10a
    • /
    • pp.205-210
    • /
    • 2020
  • 한국어 자연어처리 분야가 발달하면서 동형이의어 분별을 한 단계 넘어선 다의어 분별의 중요성이 점점 상승하고 있다. 최근에 다의어가 태깅된 "모두의 말뭉치"가 발표되었고, 이 말뭉치는 다의어가 태깅된 최초의 공개 말뭉치로써 다의어 연구가 본격적으로 진행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 말뭉치를 학습하여 작동하는 다의어 분별의 초기 모델을 제시하며, 이 모델의 실험 결과는 차후 연구를 위한 비교 기준점이 될 수 있다. 이 모델은 딥러닝을 사용하지 않은 통계형으로 개발되었고, 형태소분석과 동형이의어 분별은 기존의 UTagger로 해결하고 말뭉치 자원 외에도 UWordMap을 사용하여 다의어 분별을 보조하였다. 이 모델의 정확률은 약 87%이며, 다의어 분별 전에 형태소분석 또는 동형이의어 분별 단계에서 오류가 난 것을 포함한다. 현재까지 공개된 이 말뭉치는 오직 명사만 다의어 주석이 있기 때문에 명사만 정확률 측정 대상이 되었다. 이 연구를 통하여 다의어 분별의 어려움과, 다의어 분별에는 동형이의어 분별과는 다른 방법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Comparative study of downstream flood wav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dam breach parameter estimation methods (댐붕괴 매개변수 산정이론에 따른 댐하류 홍수파의 비교연구)

  • Hong, Seok-Jae;Kim, Jong-Suk;Lee, Joo-H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319-319
    • /
    • 2022
  • 우리 삶에 있어 물은 필수적인 자원 요소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대부분의 강수량이 여름철에 집중되어 있어 원활한 용수공급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댐 건설이 필요하다. 하지만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로 인해 국지성 호우 등 이상기후의 발생이 증가함에 따라 예상치 못한 자연현상으로 인해 댐이 붕괴될 가능성이 있으며, 붕괴시 댐에 저수되어있던 물은 하류 지역에 홍수를 일으키고 엄청난 피해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김천부항댐을 대상으로 가상의 홍수발생에 의한 댐 붕괴 상황을 가정하였으며, 댐붕괴를 모의하기 위해서 요구되는 댐붕괴 매개변수 산정을 위한 경험공식인 Froehlich, Macdonal-Langridege-Monopolis 등 다양한 경험식을 적용하여 산정되는 댐붕괴에 따른 첨듀유출량의 변화 및 홍수파의 시공간적 변화과정을 분석하고자 한다. 댐붕괴 모의를 위한 기본모형은 HEC-HMS 모형을 적용하였으며, 댐붕괴에 따른 하류부 홍수범람 모의는 HEC-RAS 및 Geo-RAS의 범람도 작성기능을 활용하였다. 추가적으로 HEC-RAS에서 제공되는 2D 모델링을 통해 댐 붕괴로 인한 침수 지도를 생성한다면, 홍수 위험 위험 수준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하고 비상 조치 계획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Conceptual model architecture design for power grid stabilization service using distributed resources (분산 자원을 활용한 전력망 안정화 서비스 개념적 모델 아키텍처 설계)

  • Jin Oh Kim;Young Min Kim;Joo Yeoun Le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ystems Engineering
    • /
    • v.20 no.spc1
    • /
    • pp.97-107
    • /
    • 2024
  • Efforts to respond to climate change are being made in various ways around the world, and in the energy field, continuous research and pilot projects are underway through new and renewable energy, efficient power grid management, and power grid services. Systems are in place to realize these efforts, and the systems created allow for better effectiveness. When implementing a system, systems engineering methodology helps design a more systematic system and can provide verification accuracy and uniformity through intuitive connectivity. In this paper, the original requirements of the power grid stabilization system and the architecture of the system's essential constraints are constructed as a conceptual model and the boundaries and flows between components are defined. By utilizing distributed resources such as EV(Electric Vehicle) and ESS(Energy Storage System) in the power service platform system, we plan to design and build a next-generation power service system that can participate in the power stabilization market and implement a system necessary to respond to climate change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