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자외선 차단특성

검색결과 93건 처리시간 0.024초

이온빔을 이용한 폴리카보네이트 필름의 자외선 차단 특성 (Characteristics of Polycarbonate Film by Ion Beam for UV Block)

  • 최병훈;김영준
    • 폴리머
    • /
    • 제29권6호
    • /
    • pp.588-592
    • /
    • 2005
  • 자외선을 차단할 목적으로, 단일 모재를 사용함으로써 기존 방법이 갖고 있는 차단제의 적층에 따른 두께 증가와 접착제의 반응 온도에 따른 변형 등의 단점을 개선하고자 하였다. 화장품 용기 및 옥외용으로 사용 가능한 고분자 필름(폴리카보네이트) 표면에 이온 조사를 통하여 고분자 표면을 개질하였다. 표면 개질된 필름의 280$\∼$400 nm 사이 자외선 차단 특성, 표면의 화학 및 형태 변화 특성, 자외선에 대한 저항성을 W분광기, FTIR(ATR)과AFM, UV 촉진 내광성 시험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개질된 고분자 필름은 자외선 전 영역을 차단할 수 있었고 이온의 주입량에 따라 차단율을 자유롭게 변화시킬 수 있었다. 이는 이온들의 주입으로 인한 고분자의 표면 화학 변화에 기인한다. 개질된 고분자 표면은 nm수준으로, 별도의 차단제가 필요없는 하나의 모재로, 자외선 차단을 위해 활용 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또한 자외선 조사에 따른 고분자의 색 변화 및 자외선 투과 특성 변화가 없음을 확인하여 일상 생활환경에서 지속적인 자외선 차단 방법으로 사용 가능하리라 기대할 수 있었다.

키틴 및 키토산 미립자의 제조 및 자외선 차단 특성 (Preparation and UV-Protective Properties of Chitin and Chitosan Particles)

  • 조석형;김영준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2부
    • /
    • pp.1005-1009
    • /
    • 2010
  • 자외선을 막아주고 피부에 안정한 자외선 차단성을 갖는 고분자 미립자를 키틴 및 키토산 미립자에 p-amino benzoic acid(PABA), parsol MCX, parsol 1789를 공유결합시키거나 캡슐화시켜 제조하였다. 자외선 차단성을 갖는 고분자 미립자의 자외선 차단성은 우수하였다. 그리고 피부에 대한 안정성과 독성을 in vivo로 평가한 결과 기존의 화학 자외선 흡수제 보다 안정하였다.

  • PDF

자외선차단 화장품의 관능적 특성평가와 제품개발에 대한 응용 (Sensory Evaluation of Sunscreen and Application for Product Development)

  • 정수정;심소연;선보경;문성준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45-250
    • /
    • 2001
  • 화장품 사용 시 소비자가 가장 중요하게 느끼는 요인은 효과와 촉감이라고 볼 수 있다. 특히 반복적인 사용을 위해서 쾌적한 촉감은 필수 조건이다. 그런데, 촉감은 사용하는 사람 자신의 감각에 의존하는 것이므로, 이러한 화장품의 촉감을 포함하는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서 사람에 의한 최종평가는 필수적인 단계이다. 따라서, 여러 특성의 강도를 측정하는 분석형 관능평가와 소비자의 선호도를 조사하는 기호형 관능평가의 필요성이 요구되며, 두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우리는 훈련된 전문패널에 의해 다양한 자외선차단 크림과 로션들에 대한 분석형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자외선차단 제품의 관능속성 평가의 주요인은 잔여감 요인과 발림성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이 결과에 따라 제품들을 2차원 공간 상에 위치하였다. 이 중 몇 제품을 선택하여 20대 후반 여성소비자를 대상으로 기호형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평상시 실제 화장단계에서 인지되는 자외선차단제품에 대한 용어들은 촉촉함 및 도포균일성 요인/흡수속도 요인의 두가지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이상적인 자외선차단제품의 사용감은 너무 촉촉하지도 매트하지도 않으면서, 흡수속도는 빠르고 화장밀림이나 번들거림이 적은 사용감을 나타내는 특성쪽으로 나타났다.

  • PDF

신규 자외선차단제인 Methoxycinnamidopropyl Polysilsesquioxane의 광안정성 평가 (Photostability Evaluation of a New Sunscreen Agent, Methoxycinnamidopropyl Polysilsesquioxane)

  • 정택규;김영백;윤경섭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27-236
    • /
    • 2011
  • 신규 자외선차단제로 개발된 methoxycinnamidopropyl polysilsesquioxane은 유기-무기 혼성 구조의 고분자 입자로, 본 연구진은 이미 신규 자외선차단제에 대한 제조방법, 물리적 특성 및 자외선차단 효과에 대해 보고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대표적인 유기 자외선차단제인 ethylhexyl methoxycinnamate (EHMC)와 동일한 기능기를 갖는 methoxycinnamidopropyl polysilsesquioxane의 광화학적 특성과 자외선에 대한 광안정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자외선 흡광도와 형광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광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광안정화제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Methoxycinnamidopropyl polysilsesquioxane은 광화학적으로 EHMC와 유사한 특성을 보였으며, octocrylene, ethylhexyl methoxycrylene 및 bis-ethylhexyloxyphenol methoxyphenyl triazine이 우수한 광안정화제로 확인되었다.

내수성 자외선 차단제의 자외선 차단지수 평가방법 연구 (Study on the Sun Protection Factor(SPF) Test Method for Sun Product Water Resistance)

  • 문경진;김소운;문주희;김수진;김아영;문태기;김남수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63-66
    • /
    • 2008
  • 자외선 차단제는 해변 및 실외수영장에서 물놀이 시 사용되는 경우가 많으나, 기존의 자외선 차단효과 측정방법 및 기준은 내수성 시험방법을 포함하고 있지 않아, 그 확립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내수성 자외선 차단제의 자외선 차단지수 평가방법에 관하여 한국인의 특성에 맞는 시험방법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내수성 자외선 차단제의 자외선 차단지수 평가방법을 표준화하기 위하여, 외국과 우리나라의 자외선 차단지수 측정방법을 비교하였고, 우리나라의 자외선 차단지수 측정방법을 내수성 자외선 차단지수 측정방법에 적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내수성 자외선 차단제 선별 시험을 통해 제품의 적합성을 검증하였고 내수성 자외선 차단지수 측정방법의 변수를 설정, 확인 시험을 하였다. 물 온도 $23{\sim}32^{\circ}C$에서 내수성 자외선 차단지수 비교 시험을 한 결과, 이 범위 안에서 온도는 내수성 자외선 차단지수에 통계학적으로 의의 있는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알 수 있었으며, 물의 흐름 변화에 따른 내수성 자외선 차단지수는 $43.61{\pm}1.96,\;43.92{\pm}1.62$ 그리고 $42.65{\pm}2.41$로 결과의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그러므로 피험자의 적절한 활동을 대신하기 위한 대안으로 지속적인 20 min 물 순환이 적절하다고 사료된다.

유무기 하이브리드화 자외선 차단제의 합성 및 특성 (Synthesis and Characteristics of Organic-Inorganic UV-Protective Agents)

  • 조석형;김영준;이병우;조재철;모상현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논문집 1부
    • /
    • pp.232-234
    • /
    • 2012
  • 높은 투명성과 우수한 자외선 차단성을 갖는 금속산화물 나노입자와 유기계 자외선 차단제 및 폴리머와의 하이브리드화를 통한 고기능 입자를 합성하기 위하여 산화티탄(TiO2)에 유기 자외선차단제를 도입 하였다. 그 결과 UVB영역과 UVA영역을 동시에 차단할 수 있는 유무기 하이브리드화 자외선차단제를 제조하였다.

  • PDF

Nano-TiO2를 이용한 자외선차단 마이카 복합체 제조 (Preparation of blocking ultraviolet mica composites using Nano-TiO2)

  • 윤기훈;이재복;문영진;고희경;이이;이동규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1197-1205
    • /
    • 2018
  • 자외선차단 화장품은 기능성 화장품 중의 하나로서, 유 무기 자외선차단물질이 함유되어 있다. 무기계 자외선차단제는 주로 산화아연, 이산화티탄 등이 있다. 무기계 자외선차단제는 입자의 지름이 60 ~ 100 nm로 자외선 A, B의 차단능이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자외선을 포함한 태양광선에 대해 비활성이 크고 안전성이 우수하다. 그리고 유기계 자외선차단제처럼 피부에 흡수 또는 축적되지 않으므로 피부자극이나 알레르기를 유발하지 않는다. 본 연구에서는 판상 무기안료인 마이카, 자외선차단 효과를 갖는 이산화티탄 나노입자, 소수성 실리카를 각각 계면활성제로 표면처리 하였고, 각 물질의 전하 차이에 따른 비화학적인 상호 인력 작용에 의해 마이카에 이산화티탄 나노입자, 실리카를 물리적으로 흡착시켰다. 이후, 소수성 표면처리제인 실란을 표면처리 하여 소수성을 갖는 자외선 차단 판상 마이카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자외선 차단 판상 마이카 복합체는 일반적인 나노입자 이산화티탄의 응집성을 개선하고 균일한 분산에 따른 자외선차단 효과가 증대되었으며, 소수성으로 표면처리를 하여 화장품 제형에서의 분산안정성을 크게 개선할 수 있었다. 안료의 표면전하는 제타전위로 평가하였으며, 제조된 자외선차단 마이카 복합체의 특성 평가는 FE-SEM, XRD, FT-IR, UV-VIS 등으로 확인하였다.

골퍼의 자외선 차단의복의 수용 의도: Rogers의 혁신확산이론을 중심으로 (Golfers' Intention to Adopt UV Specialized Clothing as Innovation: Based on Rogers Theory)

  • 성희원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8권12호
    • /
    • pp.1554-1561
    • /
    • 2004
  • 골퍼들은 레저활동의 특성상 장시간 자외선에 노출이 되므로 피부 보호를 위한 햇빛 노출 예방에 대한 관심이 미국에서 고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자외선 차단의복을 예방혁신제품으로 하여, 제품의 인지된 속성이 잠재적 소비자의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Rogers의 혁신확산이론에 비추어 연구하였다. 또한 혁신제품이 건강관련 제품이므로, 수용의도에 미치는 골퍼들의 현재 자외선 차단행동의 영향을 고찰하였다. 임의 표집 방법을 이용, 미국내 골퍼들을 표본으로 하여 설문지 조사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최종 158 명의 응답자 중 $91\%$가 남성골퍼 였으며, 평균나이는 30세 였다. 응답자의 $25\%$정도만이 피부노출 방지를 위한 차단행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부분의 응답자들은(약$70\%$) 자외선 차단의복 특성에 대해 부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현재의 자외선 차단 행동 및 인지된 다섯개의 혁신속성을 회귀분석법으로 측정한 결과, 시용의 용이성, 자외선 차단 행동, 일치성, 상대적 우월성 순으로 자외선 차단 의복 수용의도를 예측하는데 중요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피부보호와 관련된 예방혁신제품의 수용정도는 현재의 자외선차단 행동이 영향을 주며, 또한 제품의 외관적, 성능적 속성들도 일반 의류제품과 마찬가지로 소비자의 제품 수용시 고려되는 중요한 변인임을 알수 있다.

안경렌즈의 자외선 차단 평가 (Evaluation of Ultraviolet Blocking of Ophthalmic Lenses)

  • 유동식;유종숙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7-12
    • /
    • 2008
  • 목적: 투명과 착색 안경렌즈의 자외선 차단 특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안경렌즈의 투과 스펙트럼은 ANSI Z80.1에 제시된 방법으로 측정하였고, UV(200~380 nm; UVA, UVB, UVC) 및 청색광 영역(380~400 nm)에 대하여 각 렌즈의 투과율을 계산하였다. 결과: 중굴절률, 고굴절률의 투명 플라스틱 렌즈 및 착색 플라스틱 렌즈는 UV에서 우수한 자외선 차단 특성을 보였으나, 자외선 차단제를 처리하지 않은 크라운 유리나 CR39는 그렇지 않았다. 고굴절률 렌즈와 눈부심 방지 야간용 렌즈를 제외한 모든 렌즈는 청색광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지 않았다. 결론: 크라운 유리와 CR39 렌즈는 UV로부터 눈을 보호하기 위해서 자외선 차단제가 필요하다. 또한 고굴절률 렌즈와 눈부심 방지 야간용 렌즈를 제외한 모든 렌즈는 청색광으로부터 눈을 보호하기 위해서 청색광 차단제가 필요하다.

  • PDF

TiO2-x 산화물 박막공정을 이용한 유해자외선차단 투명유연소재개발 (Development of harmful ultraviolet blocking transparent flexible device using TiO2-x thin film process)

  • 김극태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23-131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TiO_{2-x}$ 산화물 박막공정을 이용한 유해 자외선차단 투명 유연 소재를 개발하고자한다. 자외선 차단 특성: 자외선 파장대의 315 nm 차단율이 95 % 이상이면서, 자외선차단특성을 갖으면서 투명성을 높인 가시광선 투과율 78 % 이상(550 nm에서 전광투과율)의 시료를 만드는 공정기술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결과로 고성능 자외선차단 박막의 유연 소자 공정조건을 확립하고, 이질성 특성의 투명 유연 소자의 혼합형 설계와 시장 요구에 다양하게 대응이 가능한 복합 증착 기술 정립, 롤투롤(roll-to-roll) 연속 공정의 실현 및 장비, 공정 국산화 기술 확립으로써 관련 산업으로의 기술 파급 효과가 클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