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자연살해세포 활성도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22초

수태중인 생쥐에 있어서 림프구아형 및 자연살해세포 활성도의 변화 (The Alterations of the Lymphocyte Subsets and the Natural Killer Cell Activity in the Pregnant Mouse)

  • 신주옥;고기석;최임순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211-222
    • /
    • 1996
  • 수태기간중 태아가 모체에 의해 면역학적으로 거부반응을 일으키지 않고 동종이식 상태로 유지되는 기작을 밝히는 연구의 일환으로 C3H/HeJ계의 암컷 생쥐와 DBA/2계의 수컷 생쥐를 교배하여 모체에서 발생되는 체계적인 면역기능 및 국소적 면역기능현상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수태기 간별로 비 장 및 자궁으로 들어가는 림프절에서 T세포 및 B세포의 아형을 측정하였고 자연살해 세포의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수태혈청 및 수태성 호르몬이 자연살해세포의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각 수태기간별로 비장세포에 있어서 T세포와 B세포의 아형을 관찰한 결과, Thy-1.2$^{+}$세포는 수태기간중 중기 이후에 감소하기 시작하여 수태 4기에는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수태말기에는 회복하였다. L3T4$^{+}$세포도 Thy-1.2$^{+}$ 세포와 비교하여 비슷한 경향으로 감소 또는 증가하였다. Ly2$^{+}$세포는 수태중기 이후부터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B세포는 수태중기 이후부터 수태말기까지 계속 증가하였다. 비장에 있어서 자연살해세포의 세포독성은 수태 5일에서 수태 8일 사이에 가장 증가하였으며 그 이후는 대조군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정상혈청 및 수태혈청의 자연살해세포의 세포독성에 대한 영향을 수태시기별로 조사한 결과, 정상혈청과 수태혈청 모두 자연살해세포의 세포독성을 유의하게 억제하였으며, Progesterone은 시험관내실험과 생체내 실험 모두 약리적인 농도이상에서 농도에 의존적으로 자연살해세포의 세포독성을 증가시켰으며, HCG는 5 unit/ml에서 5000 unit/ml까지 처리농도에 비례하여 자연살해세포의 세포독성을 억제하였다. 자궁으로 들어가는 림프절에서 T세포의 아형은 Thy-1.2$^{+}$세포는 수태 2기부터 증가하여 대조군에 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L3T4$^{+}$세포의 유의한 변화없이 Ly2$^{+}$세포가 수태 2기 이후부터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분만 직전에는 조금 감소하였다. 자궁으로 들어가는 림프절에서의 자연살해세포의 세포독성은 착상직후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수태중기와 수태후기에도 대조군에 비하여 세포독성이 증가하였으며, 같은 시기의 비장세포의 자연살해세포의 세포독성보다 높게 나타났다.

  • PDF

신령버섯(Agaricus blazei Murill) 열수 추출물의 면역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garicus blazei Murill Water Extract on Immune Response in BALB/c Mice)

  • 강인순;김랑이;김광섭;김나리;신중엽;김채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11호
    • /
    • pp.1629-1636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신령버섯의 면역기능 개선 효과를 마우스를 이용한 동물 모델에서 면역기관의 무게와 세포증식, 자연살해세포 활성, 사이토카인 분비능을 측정하고 대식세포 증식과 활성을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BALB/c 마우스에 저(4 mg/kg), 중(20 mg/kg), 고(100 mg/kg) 농도의 신령버섯을 21일간 경구로 투여하였다. 마우스를 희생하여 체중 및 면역장기 무게, 비장세포의 증식과 사이토카인 생성, 자연살해세포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신령버섯은 마우스의 체중, 간, 비장, 흉선의 무게에 영향을 주지 않았으며, 비장세포의 증식에 유의한 효과가 없었다. 또한 비장세포의 IL-4과 IL-12 생성을 억제하였으며, 마우스 자연살해세포의 활성을 현저하게 증가시켰다. 정상 마우스에서 분리한 비장세포에 신령버섯을 처리한 in vitro 실험에서는 신령버섯 $5{\sim}100{\mu}g/mL$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비장세포의 증식과 $IFN-{\gamma}$ 생성을 증가시켰다. 신령버섯은 대식세포인 RAW 264.7 세포의 증식을 $100{\mu}g/mL$ 농도까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켰으며, 대식세포에 의한 NO의 생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켰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신령버섯을 마우스에 3주간 투여하면 동물의 체중, 면역장기의 무게와 면역세포의 증식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자연살해세포의 활성을 70% 가량 증가시키며 IL-4와 IL-12의 생성을 억제한다. 정상 마우스에서 분리한 비장세포에 신령버섯을 처리하면 세포증식과 $IFN-{\gamma}$ 분비가 증가되고, 대식세포인 RAW 264.7 세포의 증식과 NO 생성이 증가된다. 따라서 신령버섯은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나 암세포를 죽이는 자연살해세포와 대식세포의 활성을 증가시켜 면역반응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울금 주정 추출물이 자연살해세포와 T 면역세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urcuma longa L. Extracts on Natural Killer Cells and T Cells)

  • 하예진;김옥경;남다은;김용재;김은;전우진;이정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307-313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재배되는 울금의 면역조절 효과에 대해 평가하고자 20% 주정 추출물을 이용하여 자연살해세포와 T 세포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마우스의 비장세포에서 분리한 자연살해세포를 종양세포 YAC-1 세포와 함께 배양시켜 울금 20% 주정 추출물의 처리에 따른 변화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울금 20% 주정 추출물의 처리는 자연 살해세포의 CD69 발현과 IFN-${\gamma}$의 발현을 증가시켰고 결과적으로 활성이 증가되어 YAC-1 세포의 제거를 증가시켰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마우스의 비장세포에서 울금 20% 주정 추출물의 처리에 따른 T 세포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에서는 CD4+ T 세포보다는 CD8+ T 세포를 증가시켰음을 확인하여 감염된 세포나 종양세포 제거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울금 20% 주정 추출물은 내재면역과 적응면역에 영향을 미쳐 면역조절에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음을 확인하였다.

고순도 β-1.3/1.6-Glucan이 대식세포 및 자연살해세포와 T 세포면역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igh Purity β-1.3/1.6-Glucan on Macrophages, Natural Killer Cells, and T Cell-Mediated Factors)

  • 권한올;이민희;박수정;이다솜;김혜숙;이정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11호
    • /
    • pp.1564-1570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고순도 ${\beta}$-1.3/1.6-glucan이 선천면역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대식세포와 자연살해세포의 활성화와 적응면역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T 세포 면역계에 대한 면역조절 효과를 살펴보고자 대식세포의 활성능, 자연살해 세포의 활성능, 그리고 T 세포 면역계에 조절작용을 하는 사이토카인, CD4+/CD8+ T 세포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마우스 복강에서 불리한 대식세포를 이용하여 세포독성을 확인한 결과 고순도 ${\beta}$-1.3/1.6-glucan $10{\sim}200{\mu}g/mL$의 농도에서 독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고순도 ${\beta}$-1.3/1.6-glucan은 대식세포의 활성능, 자연살해세포의 활성능에 도움을 주어 활성능을 증가시켜 외부로부터 침입한 미생물, 감염된 세포나 종양세포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을 것이라 예상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T 세포 면역계에 조절작용을 하는 사이토카인과 CD4+/CD8+를 확인한 결과 고순도 ${\beta}$-1.3/1.6-glucan이 사이토카인들의 분비량 및 CD4+/CD8+를 증가시켜 T 세포 면역계에 조절뿐아니라 B 세포 면역계의 조절에 도움을 줄 것이라 예상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고순도 ${\beta}$-1.3/1.6-glucan은 선천면역뿐 아니라 적응면역에서 영향을 미칠 것이라 생각하며 면역조절에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으므로 추후 면역 조절제로서 기능성 식품의 상업화에 기초 자료가 되어 국내 기능성 소재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기대할 수 있다.

Benzo(a)pyrene이 마우스 자연살해세포 활설에 미치는 영향 (Effects if Benzo(a)pyrene on Natural Killer Cell Activity of Mice)

  • 오동일;김광혁;이충환;정현기;박재선;장명웅
    • 생명과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257-262
    • /
    • 1998
  • 발암물질인 benzo(a)pyrene(B(a)P)이 암세포에 대한 세포성 방어능을 나타내는 자연살해(natural killer(NK))세포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기 위하여 사료를 C57BL/6마우스에 노출시킨 후 NK세포활성을 MTT시험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정상 및 시료노출군 마우스의 NK세포활성은 표적세포인 Yac-1세포에 대한 사멸세포백분율(percent dead cell)로서 측정하였다. 정상마우스의 비장세포에 B(a)P를 노출시켰을 때 노출군들은 시료농도에 따른 활성도에 큰 변화는 없었으니 낮은 농도($2.5^{\mu}g/ml$)의 노출에서도 정상에 비하여 현격히 낮은 활성치를 보였다. 정상마우스에 시료를 투여한 후에 분리한 비장세포의 NK세포활성치는 E/T ratio 200/1에서, 1회 투여보다는 2-3회 투여군에서 유의한 감소를 나타냄으로서 반복노출의 효과를 보였다. 본 시험을 통하여 B(a)P는 마우스 면역계에 미치는 효과중 암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주는 NK세포활성을 크게 저하시킴을 알 수 있었다.

  • PDF

치료 중인 유방암 환자의 신체적 증상과 자연살해세포 활성도의 관계 (A Study on Relationship of Symptom Distress and Natural Killer Cell Cytotoxicity in Breast Cancer Patients)

  • 채영란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4권2호
    • /
    • pp.69-77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of symptom distress and natural killer cell cytotoxicity in breast cancer patients who had been radiation therapy and/or chemotherapy after surgery. Symptom distress measured by modified Lee's(1994) physical symptom questionnaire. For measuring the natural killer cell cytotoxic activity. 8ml to 10ml blood was collected from the subjects. Mononuclear cell was isolated by centrifuge of the blood and cultured by putting $Cr^{51}$, and reacted with target cell, K562 cell. Amount of $Cr^{51}$ was measured, and %lysis was calcula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Symptom distress score was 42.18, which is moderate symptom distress. 2) Natural killer cell cytotoxic activities were 42.18%lysis(effector : target cell ratio=100 : 1) and 28.05%lysis(effector : target cell ratio=50 : 1). 3) Correlation coefficients of symptom distress and natural killer cell cytotoxic activity were $-.134{\sim}-.461$. Though significant correlation was not found between total score of symptom distress and natural killer cell cytotoxic activity, 3('pain' 'feel hot on radiation site' and 'difficulty in breathing') of 19 symptom distress items and natural killer cell cytotoxic activity showe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p<.05). These findings suggest that 1) breast cancer patients who had been radiation therapy and/or chemotherapy after surgery have moderate symptom distress and decreased natural killer cell cytotoxic activity. 2) The symptom distress was not related to natural killer cell cytotoxic activity.

  • PDF

Cyclosporin A로 유도된 생쥐 림프절의 세포성 면역억제에 관한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T 림프구, IL-2 수용기 및 NK세포의 변화를 중심으로- (Immunohistochemical Study on the Suppression of Cell mediated immunity in Lymph node of mouse by Cyclosporin A -Based on the change of T lymphocytes, Il-2 receptors, and NK cells-)

  • 김진택;박인식;안상현;최난희;김동환
    • 동국한의학연구소논문집
    • /
    • 제6권2호
    • /
    • pp.99-107
    • /
    • 1998
  • 본 실험은 cyclosporin A(CsA)에 의한 시간의 경과에 따른 림프절에서의 세포성 면역억제를 조사하기 위해서 시행된 것으로 BALB/C계 생쥐에 10일동안 CsA(45mg/kg/day) 투여 후 림프절에서의 T 림프구, IL-2 수용기 그리고 자연살해(NK)세포의 분포 변화를 관찰하였다. 대조군의 림프절에서는 L3T4(CD4)에 양성반응을 보이는 도움 T림프구, Ly2(CD8)에 양성반응을 보이는 세포독성 T 림프구 그리고 CD25R에 양성반응을 보이는 IL-2 수용기를 가진 세포는 곁피질(paracortex)과 수질동(medullary sinus)에서 분포하였다. CsA 투여 후 처음 3일까지는 이들 양성반응세포의 분포 변화는 없었으며 양성반응성의 변화도 없었다. 그러나 CsA 투여 7일부터 양성반응 세포수의 감소와 양성반응성의 약화가 관찰되기 시작하였으며 이러한 변화는 시간이 경과하여 14일에 이르렀을 때 가장 큰 감소추세로 나타났다. 한편 NK1.1(CD56)에 양성반응을 보이는 자연살해세포는 피질과 수질에 분포하였으며 CsA 투여 후 시간의 경과에 따라 양성반응 세포수가 감소하였으며, 이러한 감소는 14일에서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보아 CsA 투여는 림프절에서의 IL-2 분비저해를 통해 T 림프구와 NK세포의 활성을 차단하여 선택적이면서 효과적인 세포성 면역억제작용을 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운동 프로그램이 유방암 환자의 자연살해세포 활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Exercise on Natural Killer Cell Cytotoxic Activity in Breast Cancer Patients)

  • 채영란;최명애;김미정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4권2호
    • /
    • pp.59-68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exercise program on natural killer cell cytotoxic activity(NKCA) in breast cancer patients who had been radiation therapy after surgery. The subjects in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ed of 11 breast cancer patients, while the subjects in the control group consisted of 15. Subjects in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exercise program for 8 weeks. Exercise program consisted of shoulder stretching, arm weight training and treadmill walking exercise. They started to exercise on treadmill for 20 minutes per day, 3 times a week at 40% of maximum heart rate, and increased intensity and duration of exercise so that they were running 30 minutes/day at 60% of maximum heart rate from the 3rd week to the 8th week. Natural killer cell cytotoxic activity were determined before and after the exercise program. For measuring the natural killer cell cytotoxic activity, 8ml to 10ml blood was collected from the subjects. Mononuclear cell was isolated by centrifuge of the blood and cultured by putting $Cr^{51}$, and reacted with target cell, K562 cell. Baseline demographic and medical data were compared between groups with the Fisher's exact test and Mann-Whitney U test. For effects of the exercise program, repeated measures ANOVA was used. The result was as follows; Natural killer cell cytotoxic activity(NKCA) in experimental group comparing with control group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the exercise program in case of effector cell : target cell ratio is 100 : 1(p<0.05). The above result suggest that the exercise program for breast cancer patients undergoing radiation therapy after breast surgery may increase the natural killer cell cytotoxic activity.

  • PDF

말초혈액 자연살해세포 분획 및 세포용해 활성도 분석을 통한 습관성 유산 위험군의 진단적 유용성에 관한 연구 (Increased Peripheral NK Cell Fraction and Their Cytolytic activity in Patients with History of Recurrent Spontaneous Abortion)

  • 최지영;황수진;한애라;유지희;박동욱;박찬우;김혜옥;차선화;김진영;송인옥;궁미경;강인수;양광문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7권2호
    • /
    • pp.115-124
    • /
    • 2010
  • 목 적: 임신 전 $CD3^-/CD56^+/CD16^+$ 말초혈액 자연살해세포 (pbNK cell)의 분획과 세포용해 활성도를 정상군과 습관성 유산의 기왕력을 가진 환자군으로 나누어 비교, 분석하고 습관성 유산의 위험도를 제시할 수 있는 각각의 cut-off value를 설정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전향적 연구로서 습관성 유산의 기왕력이 있는 여성을 환자군 (n=35)으로 하였으며, 대조군으로 불임이나 습관성 유산의 기왕력이 없으며 정상아의 출산 경험이 있는 여성을 대조군 (n=15)으로 설정하였다. 유세포분석기를 이용하여 pbNK cell 분획 및 세포용해 활성도를 측정 후 그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pbNK cells의 분획은 습관성 유산 환자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결과를 보였다($14.2{\pm}5.2$ vs. $9.4{\pm}3.7%$, p=0.002, 95% confidence interval [CI] 1.8~7.8).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ROC) 곡선을 이용하여 pbNK cell의 분획에 대한 cut-off values을 12.1%로 정하였을 때 습관성 유산의 위험도는 8.4배 증가하였다. pbNK cell의 K562 세포용해 활성도를 3가지 다른 Effector to Target (E:T) 비율 (50:1, 25:1, 12.5:1)을 사용하여 측정한 결과 각각의 경우에 있어 습관성 유산 환자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된 결과를 보였다 ($48.3{\pm}19.0$ vs. $31.3{\pm}11.9%$ in 50:1 ratio, p=0.002; $37.0{\pm}18.1$ vs. $20.2{\pm}9.2%$ in 25:1 ratio, p<0.001; $23.5{\pm}12.7$ vs. $12.4{\pm}7.3%$ in 12.5:1 ratio, p=0.001). ROC 곡선을 이용하여 각각 E:T 비율에서 세포용해 활성도의 cut-off values (43.1% in 50:1, 26.9% in 25:1, and 17.4% in 12.5:1)을 설정하여 분석한 결과 습관성 유산의 위험도는 각각 10.0배, 11.4배, 그리고 15.0배 증가된 결과를 보였다. 결 론: 원인이 분명하지 않은 습관성 유산 환자에서 pbNK cell의 분획과 세포용해 활성도를 측정하는 것은 면역학적 원인, 특히 동종면역 요인에 의한 습관성 유산의 유용한 진단 지표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향후 동종 면역반응에 의한 습관성 유산 환자에서 면역학적 원인의 치료 전, 후 pbNK cell의 분획과 세포용해 활성도를 측정, 비교하여 그 효과를 증명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EL-4 암세포주(癌細胞株) 이식(移植)마우스에서의 혈중(血中) prostaglandin E2 농도(濃度) 및 자연살해세포(自然殺害細胞) 활성도(活性度)의 변화(變化) (The changes of plasma prostaglandin E2 level and natural killer cell activity in EL-4 leukemia cells bearing mice)

  • 김성호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469-474
    • /
    • 1989
  • The changes of plasma prostaglandin $E_2$ level, natural killer cell activity and tumor cell growth were assayed after transplantation of EL-4 leukemia cells in C57BL/6 mice.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Plasma prostaglandin $E_2$ level was increased in EL-4 bearing mice, but indomethacin treated mice group showed low level. 2. The tumor-derived prostaglandin $E_2$ inhibited the post-target binding cytolytic process of natural killer activity. 3. Indomethacin inhibited the growth of prostaglandin secreting EL-4 solid tumo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