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Alterations of the Lymphocyte Subsets and the Natural Killer Cell Activity in the Pregnant Mouse

수태중인 생쥐에 있어서 림프구아형 및 자연살해세포 활성도의 변화

  • 신주옥 (연세대학교 이과대학 생물학과) ;
  • 고기석 (건국대학교 의과대학 해부학교실) ;
  • 최임순 (연세대학교 이과대학 생물학과)
  • Published : 1996.12.01

Abstract

The conceptus which are resulted by mating between two genetically non-identical partners can be considered to be an allograft to the mother science which is not rejected by the mother's immunological attack. The present studies have been, therefore, attempted in order to elucidate the mechanism by which protection of the fete-placental allograft, between the C3H/HeJ female mouse and DBA/2 male mouse occurred. For this purpose, firstly systemic immunity was investigated by measuring T and B lymphocytes subsets. Natural killer cell activity in maternal splenic tissue and by observing the effects of pregnancy serums, progesterone and hCG on immune systems. Secondly, local immunity also investigated by measuring T lymphocytes subsets, natural killer cell activity in lymph nodes draining the uterus. The subsets of Thy-1.2$^+$ cells and L 3T4$^+$ cells decreased slightly while the subsets of Ly2$^+$ cell in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with those of the control group beyond the mid-gestational stage. The subsets of B cell gradually in-creased from the mid-gestational stage untill delivery. The natural killer cell activity in the maternal splenic tissue significantly increased during the period of 5th to 8th day of gestation. The natural killer cell activity was significantly suppressed by the pregnancy serums and non-pregnant serums compared with those of serum-free group. The treatment of hCG significantly suppressed natural killer cell activity in the dose dependent manner (1 unit/ml-1000 unit/ml) while pro-gesterone increased the natural killer cell activity at phamarcological dose only. In the lymph nodes draining the uterus, the subsets of Thy-1.2$^+$ cells significantly increased during the period of implantation and L3T4$^+$ cell subsets slightly increased during the mid-gestational stage. The subsets of Ly2$^+$ cell increased significantly during the mid-gestational stage, but decreasing slightly be-fore delivery. The natural killer cell activity was significantly elevated after the implantation period in the lymph nodes draining the uterus. The natural killer cell activity of the lymph nodes draining the uterus was higher than those of splenic tissue during the same periods of gestation. It is therefore, concluded that during the pregnancy, the phenomena which the fete-placental allograft has not been rejected and rather protected from the maternal immunological attack might be due to local immune suppression in fete-maternal interface tissues rather than systemic immune suppression. And the subsets of Thy-1.2$^+$ cells and L3T4$^+$ cells mainly contribute to accepting allograft in early stage of pregnancy, while the subsets of Ly2$^+$ cell and the subsets of B cell in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with those of the control group beyond the mid-gestational stage, so their role in systemic immunity and local immunity gradually increased from the mid-gestational stage until delivery.

수태기간중 태아가 모체에 의해 면역학적으로 거부반응을 일으키지 않고 동종이식 상태로 유지되는 기작을 밝히는 연구의 일환으로 C3H/HeJ계의 암컷 생쥐와 DBA/2계의 수컷 생쥐를 교배하여 모체에서 발생되는 체계적인 면역기능 및 국소적 면역기능현상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수태기 간별로 비 장 및 자궁으로 들어가는 림프절에서 T세포 및 B세포의 아형을 측정하였고 자연살해 세포의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수태혈청 및 수태성 호르몬이 자연살해세포의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각 수태기간별로 비장세포에 있어서 T세포와 B세포의 아형을 관찰한 결과, Thy-1.2$^{+}$세포는 수태기간중 중기 이후에 감소하기 시작하여 수태 4기에는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수태말기에는 회복하였다. L3T4$^{+}$세포도 Thy-1.2$^{+}$ 세포와 비교하여 비슷한 경향으로 감소 또는 증가하였다. Ly2$^{+}$세포는 수태중기 이후부터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B세포는 수태중기 이후부터 수태말기까지 계속 증가하였다. 비장에 있어서 자연살해세포의 세포독성은 수태 5일에서 수태 8일 사이에 가장 증가하였으며 그 이후는 대조군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정상혈청 및 수태혈청의 자연살해세포의 세포독성에 대한 영향을 수태시기별로 조사한 결과, 정상혈청과 수태혈청 모두 자연살해세포의 세포독성을 유의하게 억제하였으며, Progesterone은 시험관내실험과 생체내 실험 모두 약리적인 농도이상에서 농도에 의존적으로 자연살해세포의 세포독성을 증가시켰으며, HCG는 5 unit/ml에서 5000 unit/ml까지 처리농도에 비례하여 자연살해세포의 세포독성을 억제하였다. 자궁으로 들어가는 림프절에서 T세포의 아형은 Thy-1.2$^{+}$세포는 수태 2기부터 증가하여 대조군에 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L3T4$^{+}$세포의 유의한 변화없이 Ly2$^{+}$세포가 수태 2기 이후부터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분만 직전에는 조금 감소하였다. 자궁으로 들어가는 림프절에서의 자연살해세포의 세포독성은 착상직후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수태중기와 수태후기에도 대조군에 비하여 세포독성이 증가하였으며, 같은 시기의 비장세포의 자연살해세포의 세포독성보다 높게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