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자연과학

검색결과 6,083건 처리시간 0.028초

일본 견문기(Ⅴ)

  • 이종수
    • 과학과기술
    • /
    • 제30권3호통권334호
    • /
    • pp.90-91
    • /
    • 1997
  • 일본인들의 새로운 용어를 만들어내는 재능과 번역어를 이끌어내는 재주는 보통을 훨씬 웃돈다. 우리의 자연과학 뿐만 아니라 학문의 근간을 이루는 용어들이 거의 일본인에 의해서 만들어졌다는 사실을 알 필요가 있다.

  • PDF

새해 저술의 흐름-자연과학

  • 김명자
    • 출판저널
    • /
    • 통권205호
    • /
    • pp.6-6
    • /
    • 1997
  • 이데올로기로 양분됐던 동서구도가 무너지면서 과학기술이 새로운 국제질서로 부상하고 있다. 과학기술 개발의 변화는 한바탕 격동기임을 실감케 한다. 정보통신기술은 국가정책으로 두드러진 성장세를 보이고 인체게놈계획에 따른 생물기술의 관심이 활성화될 전망이다.

  • PDF

과학기술, 그 뿌리와 현주소 - 지질학편(상)

  • 최덕근
    • 과학과기술
    • /
    • 제32권6호통권361호
    • /
    • pp.18-21
    • /
    • 1999
  • 문명이 발전함에 따라 인류는 자연을 이용하는 방법을 깨우치기 시작했다. 그래서 인류가 시작한 최초의 자연과학을 지질학이라고 할 수 있다. 고대 그리스의 학자 헤로도투스, 스트라보 등이 지질학의 출시를 이루고 있으며 종교개혁 이후 레오나르도 다빈치가 등장했으나 종교적 박해로 그의 주장을 올바르게 펴지 못했다. 17세기 아일랜드 대주교 어셔와 덴마크 출신 의사 스테노 등이 암석 등 지구의 생성과정을 본격 연구했고 18세기 들어 스코틀랜드의 허튼이 관찰한 풍화와 침식의 과정이 발표됨으로써 현대 지질학이 탄생된 것이다.

  • PDF

철학자가 보는 과학기술 - 자연파괴의 결과에 철학적 성찰 절실하다

  • 박이문
    • 과학과기술
    • /
    • 제29권5호통권324호
    • /
    • pp.84-85
    • /
    • 1996
  • 과학기술의 힘이 크면 클수록 파괴적 잠재력도 커지고 이러한 기술문명의 발달로 환경오염ㆍ자연파괴현상도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다. 오늘날의 과학기술결과는 우주의 질서, 인간의 위상, 인류역사의 의미 그리고 생태학적 결과에 대한 새삼스러운 철학적 성찰을 요구한다.

  • PDF

인문학과 자연과학은 어떻게 만날 수 있는가?: 통섭 개념에 대한 비판을 토대로 삼아 (How Could Humanities and Natural Science Meet Together?)

  • 이남인
    • 철학연구
    • /
    • 제87호
    • /
    • pp.259-311
    • /
    • 2009
  • 이 글은 최근 한국 사회의 학계 안팎에서 두루 사용되고 있는 통섭개념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통해 인문학과 자연과학 사이의 학제적 연구가 어떻게 이루어져야 할지 모색하면서 양자 사이의 학제적 연구가 올바른 방향으로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함을 목표로 한다. 이러한 목표를 위해 필자는 우선 1장에서 이 글의 논의 전개를 위해 필요한 한에서 윌슨의 통섭 개념의 핵심적인 내용을 정리할 것이다. 윌슨은 자연과학적 방법을 사용해 자연과학과 인문학을 하나의 지식 체계로 통섭하는 일이 원칙적으로 가능하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필자의 견해에 의하면 윌슨이 제시하는 통섭의 프로그램은 원칙적으로 완벽하게 수행될 수 없다. 필자는 2장에서 인문학의 다양한 분야의 지식이 가지고 있는 특성을 제시하면서 통섭의 프로그램을 완벽하게 수행하는 일이 원칙적으로 불가능하다는 사실을 해명할 것이다. 거기에 이어 3장에서는 인문학과 자연과학 사이의 학제적 연구가 필요한 이유를 해명하면서 양자 사이의 학제적 연구와 관련해 윌슨의 통섭 프로그램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검토하고 4장에서는 양자 사이의 학제적 연구에는 어떤 유형의 것이 있을 수 있는지, 그것은 어떤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는지, 그리고 학제적 연구 및 교육 단위는 어떤 방식으로 설정될 수 있을지 하는 등의 문제를 살펴볼 것이다. 5장에서는 앞으로 인문학과 자연과학 사이의 다양한 학제적 활동이 보다 더 탄탄한 토대 위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통섭 개념에 대한 보다 더 철저한 논의와 반성적 성찰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지적하면서 이 글의 전체적인 논의를 마무리 지을 것이다.

스크래치를 이용한 교사교육이 과학교사의 모델에 대한 이해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eacher Education Using Scratch on Understanding of Science Model)

  • 백성혜;김성기;최희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7년도 제56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5권2호
    • /
    • pp.380-383
    • /
    • 2017
  • 과학에서 사용하는 모델은 자연 그 자체가 아니면 자연을 단순화하여 표현한 표상이다. 그렇기 때문에 각 모델은 자연을 표상하기 위한 특정한 알고리즘을 갖는다. 그러므로 과학 모델에 대한 이해는 자연을 표상하기 위한 특정한 알고리즘이 무엇인지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다. 이러한 특정한 알고리즘에 대한 이해와 이를 바탕으로 한 다른 현상의 예측과 설명을 위한 도구로 본 논문은 스크래치를 활용하였다. 또한 과학의 모델에 대한 이해의 소재로 대학생뿐만 아니라 많은 과학교사 조차도 대안개념에 머물러 있는 뜨거나 가라앉는 현상을 선정하였다. 연구대상은 K대학원 교육대학원 멀티미디어와 과학교육을 수강한 17명의 과학교사이며, 스크래치를 통해 기본 알고리즘 3시간, 응용 알고리즘 3시간을 투입하였다. 모델에 대한 이해를 위해 뜨거나 가라 앉는 현상에 때한 LP설문지를 사전, 사후검사에 실시하였다. 1차적으로 양적변화를 통해 이 현상에 대한 개념의 수준의 변화를 알아보았으며, 2차적으로 인터뷰와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모델에 대한 이해를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과학교사들은 현상에 대한 개념에 대한 수준이 상승하였으며, 질적자료 분석 결과, 모델에 대한 깊은 이해(depth)와 전이능력(transfer)이 증가하였다. 이는 스크래치를 통해 과학 모델의 이해를 높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 PDF

Galileo의 태양흑점 발견과정을 토대로 과학의 본성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믿음 탐색

  • 이소정;김용기;오준영
    • 천문학회보
    • /
    • 제37권2호
    • /
    • pp.102.2-102.2
    • /
    • 2012
  • 이 연구의 목적은 거시적인 관점에서 NOS의 중요한 요소들을 강조한 Flow map(oh, 2011)를 이용한 명시적이고 암시적인 교육의 본성교육이 얼마나 이루어졌는가를 알아본다. 과학의 본성은 지식의 내용뿐만 아니라 지식이 어떻게 형성되었는가에 있다. 이러한 과학의 본성을 이해한다는 것이 현대의 과학의 중요한 목적중의 하나인 과학적 소양을 얻는 것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실현하는 교수 모형으로 가장 중요한 이론의 생성과 실험에 의한 확증과 이론의 확증을 미시적인 관점으로 연구를 전개하였다. 따라서 먼저 Kuhn(1996)의 과학철학 이론과 NOS를 통한 Flow map 개발에 이론적 배경이 된 과학의 본성의 정의, 과학의 본성에 대해 합의된 핵심 요소들, Kuhn(1996)의 과학철학 이론을 바탕으로 한 Oh(2011)가 제안한 Flow map의 구조를 알아본다. 연구방법은 귀추(abduction)를 통한 가설의 생성과정과 확증을 보여주는 Oh(2012)의 자연과학의 추리과정을 이용하여 충북대학교 천문우주학과에서 자연과학캠프에 참여한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Galileo의 흑점발견과정"으로부터 현대의 태양의 흑점 모형을 이해하도록 한다.

  • PDF

과학 기술연구자들의 정보환경에 관한 연구 (Information Environment on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Researcher)

  • 김태승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5-18
    • /
    • 1996
  • 과학기술분야 연구자들의 정보환경과 각종 정보의 이용실태를 분석하였다. 자연과학 분야의 4개 연구소와 대학을 표본집단으로 선정하여 연구업무에 종사하고 있는 연구원과 교수, 연구자이면서 대학원생인 정보이용자들 113명에 대해 25개 항목으로 구성된 조사표를 작성하여 이중에서 일정한 유의 수준을 갖는 항목 14개를 분석하여 정보이용자들의 일반정보환경과 정보이용 형태를 분석하고 제시된 가설을 검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