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자연공원시설

검색결과 169건 처리시간 0.022초

지속가능한 수목장림을 위한 추모 서비스 개선방안 (Improving Memorial Services for Sustainable Forest Burials)

  • 이정선;차성수
    • 서비스연구
    • /
    • 제14권2호
    • /
    • pp.37-47
    • /
    • 2024
  • 현재 화장문화의 정착으로 인해 화장후 장법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커지고 있다. 또한, 현대에 들어와 자연 친화적인 장법에 대한 인식 확산으로 자연장의 대표격인 수목장과 수목장림의 수요가 늘어나고 있지만, 나무에 의존하는 현재의 방법이 지속된다면 수목장 (림)이 숲을 훼손하여 또 다른 묘지로 만들 수 있다는 우려가 적지 않다. 수목장림은 우리가 가진 자연이라는 공간으로 인간이 회귀한다는 시간적 의미가 깃들어져 인간은 자연에 순응하여 돌아간다는 철학적 의미를 담는 장법이다. 이렇듯, 수목장림은 우리가 익히 아는 전통적인 장사시설이 아님에도 시설과 운영시스템의상당 부분이 공원묘지 기준을 차용하면서 법령상의 자연장보다 더 엄격한 기준과 제한을 두고 있다. 이러한 경직성은 숲을 보존하기 위함이기도 하지만, 수목장림의 확장성과 운영에 제한을 주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지속 가능한 수목장림 운영을 위한 구체적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외국의 자연장 유형을 살펴보고, 국민들의 정서와 효과적으로 적용하여 정착할 수 있는 수목장림의 방향을 찾는다. 구체적인 개선 방안으로는 추모목에 의탁하지 않는 안치 방법, 익명이나 무기명 수목장림의 운영, 그리고 참배 추모 방식의전환, 그리고 다양한 산골방법 등을 소개함으로써 국내 지속가능한 수목장림의 대안을 제안한다. 수목장림이 시행되는 곳은 산림, 다시 말해 숲 자체이다. 장사시설이 아닌 숲을 통한 고인의 진정한 자연회귀의 정신을 기릴 수 있는 장소가 되어야 한다. 그렇게 됨으로서 숲이 가진 공익적 가치, 즉 숲의 사회적 기능을 친환경적인 장사서비스라는 이름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친수시설 홍수위험도 평가를 위한 Nays2D 모형의 현장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ield Application of Nays2D Model for Evaluation of Riverfront Facility Flood Risk)

  • 구영훈;송창근;박용성;김영도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5권3호
    • /
    • pp.579-588
    • /
    • 2015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강우강도와 홍수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여름철 태풍으로 인한 침수피해의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대하천 사업 이후 하천의 홍수터를 활용하여 생태공원이나 체육시설 등과 같은 다양한 친수시설들이 조성되었으나 태풍으로 인한 하천의 홍수위 상승은 이와 같은 친수시설들에 대한 직접적인 침수피해를 야기할 수 있다. 이러한 홍수터 친수시설에 대한 수리학적 영향 분석이나 안정성 평가를 위해서는 수치해석이 선행되어야 하며, 수위의 상승 및 하강에 의해 발생하는 마름/젖음 현상에 대한 처리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마름/젖음 해석이 가능한 Nays2D 모형을 이용하여 마름/젖음이 발생하는 단순 지형에 대한 적용성을 분석하고, 마름이 발생하는 자연하천에 적용하였다. 실제 태풍 사상에 대한 모형의 현장 적용결과를 수위관측소에서 실측된 실측수위와 비교했으며, 그 결과 $R^2$, AME, RMSE 값이 각각 0.988, 0.208, 0.239로 통계적으로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모형의 결과를 이용하여 홍수위험도 지수를 산정하였으며, 연구결과를 통해 홍수터 친수시설 홍수위험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시가지내 산악경관관리를 위한 조망점의 수직상향 동의 검증 (The Examination of the Validity of a Vertically Upward Shifting of the Landscape Control Point(LCP) for the Management of Cities Mountain Landscape)

  • 정정섭;권상준;조태동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66-374
    • /
    • 2004
  • 본 연구는 관광지의 유인속성과 관리속성에 대한 중요도-성취도분석 (Importance - Performance Analysis: IPA)을 통해 관광객 인식을 기반으로 하는 보다 효율적인 강원 관광지 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설문조사는 강원도의 대표적인 관광지로서의 특성을 지니고 있는 설악산국립공원. 경포대 및 낙산해수욕장, 그리고 원주시 간현국민관광지를 목적지로 선택한 관광객을 대상으로 응답자 직접기입방식으로 이루어졌으며 총 399매를 유효표본으로 하였다. 관리속성으로서 사회환경, 자원환경. 관리환경, 시설환경의 21개 속성들에 대해 방문객들이 느끼는 중요도와 현재의 질적 상태를 의미하는 성취도를 측정한 결과 전 속성에서 중요도에 비해 성취도는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되었다. 각 관광지별 전체 속성에 대한 중요도는 유사했으나 성취도는 경포$.$낙산 지역이 가장 낮았고 간현국민관광지의 경우는 보통 이상 수준을 보였다. 속성별로 실행격자상에 위치화한 결과 지속적인 관리노력이 필요한 속성은 6개(자연자원의 상태. 휴식 및 숙박시설의 상태, 환경오염 정도, 관리자의 친절도, 관광지 안전문제)로 나타났으며 우선 시정되어야할 속성이 4개(위생 및 편의시설의 상태. 관광지 물가수준, 교통시설 이용 편의성), 저 우선순위가 7개(입장료 및 시설사용료 수준 관광안내시설의 상태, 관광객의 혼잡수준, 다른 관광객들의 행위, 호객행위, 특징적인 먹거리 및 살거리), 과잉노력 지양 속성이 5개(역사문화 자원, 휴양기회 제공의 다양성, 이용규제 수준. 안내시설, 지역주민의 환대성)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결과는 측정도구. 조사지역과 조사시기의 제한으로 인한 연구의 한계점에도 불구. 강원도 소재 관광지의 단위별 관리전략의 수립에 있어 유용한 기초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중요도-성취도 분석을 기초로 한 관광지 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강원도 소재 관광지를 중심으로- (Destination Management Strategy Based on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A Case Study in Kangwon-do Province, Korea-)

  • 김정민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76-284
    • /
    • 2003
  • 본 연구는 관광지의 유인속성과 관리속성에 대한 중요도-성취도분석 (Importance - Performance Analysis: IPA)을 통해 관광객 인식을 기반으로 하는 보다 효율적인 강원 관광지 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설문조사는 강원도의 대표적인 관광지로서의 특성을 지니고 있는 설악산국립공원. 경포대 및 낙산해수욕장, 그리고 원주시 간현국민관광지를 목적지로 선택한 관광객을 대상으로 응답자 직접기입방식으로 이루어졌으며 총 399매를 유효표본으로 하였다. 관리속성으로서 사회환경, 자원환경. 관리환경, 시설환경의 21개 속성들에 대해 방문객들이 느끼는 중요도와 현재의 질적 상태를 의미하는 성취도를 측정한 결과 전 속성에서 중요도에 비해 성취도는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되었다. 각 관광지별 전체 속성에 대한 중요도는 유사했으나 성취도는 경포$.$낙산 지역이 가장 낮았고 간현국민관광지의 경우는 보통 이상 수준을 보였다. 속성별로 실행격자상에 위치화한 결과 지속적인 관리노력이 필요한 속성은 6개(자연자원의 상태. 휴식 및 숙박시설의 상태, 환경오염 정도, 관리자의 친절도, 관광지 안전문제)로 나타났으며 우선 시정되어야할 속성이 4개(위생 및 편의시설의 상태. 관광지 물가수준, 교통시설 이용 편의성), 저 우선순위가 7개(입장료 및 시설사용료 수준 관광안내시설의 상태, 관광객의 혼잡수준, 다른 관광객들의 행위, 호객행위, 특징적인 먹거리 및 살거리), 과잉노력 지양 속성이 5개(역사문화 자원, 휴양기회 제공의 다양성, 이용규제 수준. 안내시설, 지역주민의 환대성)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결과는 측정도구. 조사지역과 조사시기의 제한으로 인한 연구의 한계점에도 불구. 강원도 소재 관광지의 단위별 관리전략의 수립에 있어 유용한 기초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하동송림의 사회적 기능변화와 관리문제

  • 박구원
    • 한국환경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과학회 2005년도 봄 학술발표회지 제14권(제1호)
    • /
    • pp.45-49
    • /
    • 2005
  • 최근 해안송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고, 이를 효과적으로 보전, 활용해야한다는 목소리가 높지만, 국내에서는 이러한 해안송림이 어떻게 변천되고 지역에 어떻게 기능해 왔는지 아직 알려지고 있지 않다. 본고는 해안송림의 기초연구로서, 하동송림을 대상으로 이러한 해안송림의 사회적인 기능과 관리문제를 검토한 것에 있다. 하동송림을 사례로 조사한 결과, 해안송림은 송림이 지역과 밀착함으로써 주민의 레크레이션기능은 물론 외부관광객을 끌어들일 수 있는 지역발전의 중요한 소재가 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해안 송림이 지역주민의 일상생활과 밀접히 연관되고 지역발전의 한 축으로서 기능하면서, 송림에 대한 관리 및 주체의식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지역발전의 실질적 기능 및 자연스러운 관리의식의 고양은 일반 공원이나 원거리 해안림 등에서는 쉽게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서, 마을 숲(해안송림 등)이 갖고 있는 하나의 중요한 잠재력이 아닌가 생각된다. 그러나 관리측면에서는 하천오염이 해결되지 않고, 송림확장계획이 중지되고, 소나무재선충 방지책에 의문에 제기되는 등 적지 않은 문제가 나타나고 있다. 또한 이러한 문제발생의 원인으로는 해안송림에 대한 기본적인 인식의 부족, 책임 있는 관리주체의 부재, 구체적인 연구의 부족 등이 검토된다. 해안송림의 기능과 식생은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지역 환경에 따라 끊임없이 변화되는 것에 있어, 변화에 대응하는 개발논리가 필요하다. 따라서 이러한 특수성을 일반적 임업관리나, 시설보수 차원에서의 접근은 소중한 지역의 자산과 발전기회를 잃은 거와 다르지 않다. 소중한 지역자원의 가치를 빛내고, 보다 효과적인 활용을 위해서는, 보다 체계적이고 파지티브한 관리 및 활용 정책이 요구되는 것에 있고, 이를 위해서는 책임 있는 관리주체를 조직하는 것과 함께, 토지사병에 기초한 송림의 이용 및 식생 변화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수목원의 포지셔닝 전략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ositioning Strategies of Arboretum)

  • 강신구;문종태;한상열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8권6호
    • /
    • pp.703-711
    • /
    • 2009
  • 본 연구는 수목원을 포함한 대표적인 산림휴양지들 간의 비교를 통해, 수목원의 이미지 및 타시설과의 경쟁관계를 분석하여 효율적이고 차별화된 수목원 관리 및 운영 전략 설정을 위한 정책 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수목원과 유사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대구 경북지역의 6개 산림휴양지 방문객 447명을 대상으로 각각의 산림휴양지에 대한 이미지 포지셔닝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수목원은 자연성이 상대적으로 높아 체험 및 관찰활동과 자연환경보전기능 수행에 적합하고, 산책 등을 통한 건강증진에 도움이 되며, 물가수준은 적당하며, 볼거리와 즐길거리가 비교적 많은 곳으로 인식되는 등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이미지를 보이고 있었다. 그러나 자연휴양림 및 국립공원과는 여러 속성에서 심한 경쟁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향후 수목원 조성 운영 관리 전략에는 수목원만의 독특한 산림휴양 문화 설정을 통한 경쟁력 향상과 효율성 제고 방안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삼천포천의 수생태계 건강성 향상 방안 연구 (Study on Improvement Measure for Ecosystem Health of Samcheonpo Stream)

  • 정길상;최한수
    • 생태와환경
    • /
    • 제56권4호
    • /
    • pp.414-419
    • /
    • 2023
  • 삼천포천은 제방을 따라 제내지에 인공구조물이 설치되어 있으며, 하상구조가 인간활동으로 교란되어 있다. 본 연구결과 부착조류와 저서성 무척추동물의 생물다양성이 여타 하천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생태하천 복원 시 제방의 제외지와 제내지를 동시에 친환경적으로 복원을 고려함으로써 생물다양성 증대를 도모하고 하상 복원 등을 통해 회유성 어류들이 하천생태계로 유입되어 생태계의 안정성 및 건강성을 회복해야 할 필요가 있다(Palmer et al., 2014). 이를 위해서는 생태하천 복원시 사용되는 재료는 무생물적 재료를 지양하고 과거부터 주로 서식하는 자생식물 등을 주재료로 사용하고 하도 구조는 하상의 현재 유로형상 (flow channel pattern)을 유지하도록 유도해야 한다. 유로 연장이 필요한 경우 직강화 등에 의해 축소되어서는 안되며 축소된 유로는 복원을 권장한다. 분절된 지류는 본류와 연결시키고 연력이 곤란한 웅덩이는 대상하천에 맞게 소택형 습지를 형성하도록 유도한다. 또한 생태통로(Eco-corridor) 확보 및 추이대 조성을 통해 생태환경 기능을 개선할 필요가 있으며 제내지의 폐천 부지는 하천구역으로 편입하여 생태습지 등으로 이용을 적극 고려해야 한다(Choi and Lee, 2019). 생태적 복원을 위해 주차장, 체육시설 및 공원 등은 배제해 자연성을 유지하되 주민의 활용도를 고려하는 것도 중요하다. 이를 통하여 삼천포천의 자연성 회복을 통한 생물다양성 증진 및 주민에게 다양한 문화 휴식 공간 제공 등의 생태계 서비스 능력을 향상을 기대한다(Bennett et al., 2009).

지속 가능한 에너지스케이프의 설계 - 해남 솔라시도 태양광 발전단지 내 '태양의 정원' 설계안을 중심으로 - (Designing a Sustainable Energyscape - Based on the 'Sun-Garden' Project in Solaseado Solar Power Plant, Haenam -)

  • 김보경;이병철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52권3호
    • /
    • pp.103-113
    • /
    • 2024
  • 본 연구는 전남 해남에 개발 중인 신도시 '솔라시도'에 위치한 '솔라시도 태양광 발전단지' 내 '태양의 정원' 설계 프로젝트를 바탕으로 한다. 통합적이고 지속 가능한 에너지스케이프를 창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세 가지 측면의 설계 원칙을 바탕으로 한 설계 프레임워크를 구축하였고 이에 따른 공간 프로그램을 도출하여 설계에 반영하였다. 첫번째는 경제적 측면으로, 자연과 기술이 어우러진 다기능적 공간을 창출하여 장기적인 지속가능성과 추가적인 경제적 가치를 추구하였다. 두 번째는 자연적 측면으로, 생태계 보존과 개선을 위한 식재환경 조성과 지역 특화 수종의 도입, 생태계 서비스의 유지 및 지속 가능한 자원 사용을 강조하였다. 세 번째는 경관적 측면으로, 자연과 기술의 미적 조화를 통해 탄소중립 정원도시 솔라시도를 상징하는 랜드마크로서의 기능과 더불어 방문자들에게 감각적이고 교육적인 경험을 제공하였다. 솔라시도 태양광 발전단지는 '태양의 정원' 조성을 통해 단순한 에너지 생산 시설을 넘어 경제적, 환경적, 경관적 가치가 통합된 지속 가능한 에너지스케이프로 자리잡았다. 이는 조경학 분야에서 에너지 전환과 환경 보전이라는 시대적 요구에 대응하는 새로운 접근법을 모색하는 데 기준을 제시하며, 향후 관련 연구와 실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치악산국립공원의 시각적 경관자원 인벤토리 구축 및 등급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ventory and Grade Evaluation of the Visual Landscape Resource in Mt. Chiak National Park)

  • 이숙향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57-65
    • /
    • 2016
  • 치악산국립공원을 형성하는 자연자원 및 인문자원을 대상으로 경관자원 인벤토리 구축 및 등급평가를 실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국립공원의 경관은 해양경관, 산악경관, 마을경관, 사찰 사적경관의 4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7개 주요 탐방로에서 현장조사를 통해 총 120개소에 대한 목록을 작성하였다. 탐방로별 경관목록 비율은 구룡-비로봉 31%(37개소), 성남-남대봉 22%(26개소)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금대-남대봉 16%(19개소), 부곡-행구 16%(19개소), 황골-입석사 6%(8개소), 향로봉-남대봉 5%(6개소), 곧은재-원통골 4%(5개소)의 순으로 목록화되었다. 경관평가 항목은 조망성, 고유성, 이용성, 역사문화성, 자연성의 5가지 항목으로 구분하고, 상(4), 중(3), 하(2), 1의 평가기준을 제시하였다. 각 경관유형별로 평가항목 점수에 따라 1차적으로 경관평가를 실시하였고, 추가적으로 델파이 조사를 통해 얻은 경관유형별 가중치를 반영하여 2차 경관평가를 실시하였다. 2차 경관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경관유형별로 3개의 경관등급으로 구분하였다. 산악경관은I등급이 72개소, II등급 26개소, III등급 7개소, 사찰 사적경관은 I등급 4개소, II등급 7개소, III등급 4개소로 평가되었다. 산악경관의 등급은 조망성 및 자연성, 사찰 사적경관은 역사문화성, 자연성, 이용성과 관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산악경관에는 외부 경관자원이 포함되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외부 경관자원이 포함된 곳은 등급이 높게 나타나, 이는 조망성과 관련이 있었다. 인벤토리 및 평가된 결과를 토대로 산악경관, 사찰 사적경관의 유형별로 등급이 매우 우수한 지역의 보전을 위한 경관관리가 필요하다. 향후 개선방안으로는 구룡-비로봉 구간의 산악 및 사찰경관이 조화로운 대표경관으로 판단되어 중점관리지역으로 보전해야할 것이다. 산악경관의 경우 조망점 유지를 위한 수목 전정 등의 정비 및 경관저해를 최소화한 목재전망대, 경관 해설 안내판 등을 설치하는 개선방안이 필요하다. 사찰 사적경관은 인공 시설물 설치 시 주변 경관과의 조화로운 소재 사용 및 시설 제한의 기준 등을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내장산국립공원(內藏山國立公園)의 식물군집(植物群集) 및 이용행태(利用行態)에 관한 연구(硏究)(II) -이용객(利用客) 영향(影響) 및 행태(行態)- (Studies on the Structure of Plant Community and Visitor's Activities in Mt. Naejang National Park(II) -User's Impact and Activity-)

  • 이경재;오구균;조재창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7권4호
    • /
    • pp.401-413
    • /
    • 1988
  • 내장산국립공원 내장사지구의 이용객심리행태 및 환경에 대한 이용객영향을 조사하기 위해서 3개의 주요피크닉지역에서 설문조사와 순간밀도조사를, 주요통과지점에서 출입객 수 조사를 하였으며 환경영향은 실측조사를 하였다. 총탐방객 수는 1984년부터 100만명/연 수준으로 안정을 보이고 있었다. 환경영향은 등산로와 케이블카 종점부근, 전망대와 금선계곡간 사면에서 매우 심하였다. 봄철 피크시에는 약 5,000명, 가을 단풍철 피크시에는 약 53,000 명이 동시에 체류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총입장객 중 약20% 가금선 및 원적계곡을 이용하였고, 나머지 80%는 잔디광장, 케이블카만 이용하고 퇴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특성은 원거리형 국립공원형이었으며, 가을철 단풍구경이 주이용동기이었다. 이용면적증가에 따른 이용객의 만족도는 유의하게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직각회전방법에 의한 인자분석결과, 이용객의 만족도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제1인자는 주변경관에 관한 인자로 자연파괴, 혼잡도, 소음, 주변청결상태 순으로 부하되어 있었다. 다음으로 영향을 미치는 제2인자는 시설관리인자로서 화장실 수, 쓰레기통 수, 식수량, 안전성 순으로 부하되어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