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자아 존중 감

검색결과 1,860건 처리시간 0.03초

노인의 자아존중감 향상 프로그램 개발 (Self-esteem enhancement program developed in the elderly)

  • 손명동;박천규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5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315-316
    • /
    • 2015
  • 노년기에 발생 할 수 있는 다양한 신체적, 경제적, 심리 사회적 문제들과 더불어 자아존중감은 정신건강의 문제 측면에서 새롭게 대두되고 있는 시점에서 노인의 정신건강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다. 본 연구를 통하여 사회복지 실천적 측면에서 노인들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새로운 변화를 모색 할 수 있으며 노인의 자아존중감 향상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자아존중감을 회복함으로 노인 스스로 자신감 있는 모습과 어려움의 사건들에 대해서도 적극적으로 대처하고, 늘 긍정적 요소를 찾고 생활의 부정적인 상황으로부터 자신을 보호 할 수 있는 영역을 활성화하는 체계를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 PDF

노인의 문제음주 DB 정보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 우울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Effects of Elderly problem drinking DB Information on suicidal thought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and self-esteem)

  • 이선화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10호
    • /
    • pp.1197-1204
    • /
    • 2015
  • 본 연구는 한국복지패널 8차 데이타 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65세 이상 노인의 문제음주 수준이 우울과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를 보면, 먼저 문제음주 수준은 자살생각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우울감은 문제음주수준과 자살생각 간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문제음주는 자아존중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회귀계수의 부호를 통하여 문제음주수준이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낮아진다는 부(-)적 관계의 가능성은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노인의 문제음주에 대한 대책 마련과 함께 노인자살에 대한 보다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청소년활동이 청소년의 개인, 가족, 학교측면 결과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Youth Activity by Aspects of Individual, Family, and School Life on Youths -Focusing on Mediated Effects of Self-Esteem -)

  • 김순규;최혜정;박신애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4권4호
    • /
    • pp.189-207
    • /
    • 2012
  • 본 연구는 청소년활동이 청소년의 개인과 가족, 학교측면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더불어 자아존중감을 매개변수로 고려하여 청소년의 건강한 발달에 청소년활동이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전라북도지역 중, 고등학교 청소년 1,088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최종 1,063명의 자료를 SPSS 19.0과 Amos 18.0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청소년활동은 청소년의 개인과 가족, 학교차원에 정(+)적인 방향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청소년활동은 개인차원에서 자아존중감이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족과 학교차원에서는 자아존중감이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청소년활동이 청소년의 건강한 성장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를 자아존중감이 매개한다는 것을 경험적으로 검증하였다. 결론에서는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청소년 활동의 활성화 방안을 위한 실천적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였다.

  • PDF

일부지역 대학생들의 자아존중감과 정신건강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Mental Health of College Student in Some Regions)

  • 유은영;윤치근;양유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274-283
    • /
    • 2012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정신건강과의 관계를 파악하여 대학생활에서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고 건전한 정신건강을 유지 향상시킬 수 있도록 효과적인 교육 및 상담 활동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G시에 소재한 2개 종합대학, 3개 전문대학 재학생을 대상으로 2010년 10월 2일부터 12월 2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468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일반적 특성과 인지적 자아, 평가적 자아 및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에서는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일반적 특성과 정신건강과의 관계에서는 경제상태, 입학동기, 학과 만족도, 교우관계, 건강상태에서 정신건강 하위영역과 유의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 셋째, 인지적 자아, 평가적 자아 및 자아존중감 간에는 순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인지적 자아, 평가적 자아 및 자아존중감은 강박증, 적대감, 대인예민, 신체화, 불안, 편집증, 정신증에서 역상관관계가 있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결과를 기초로 하여 대학생들의 자아존중감을 증진시키고 정신건강을 완화할 수 있는 정규적인 건강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요구되며, 그에 따른 효과를 검증할 수 있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노인의 우울감과 자아존중감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독거노인과 비독거노인의 비교를 중심으로 (Effects of Depression and Self-Esteem on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Comparison between Elderly People Who Live Alone and Those Who Live with Others)

  • 최정현;최소연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12호
    • /
    • pp.49-58
    • /
    • 2021
  • 본 연구는 독거노인의 우울감, 자아존중감, 생활만족도의 수준을 비독거노인과 비교하면서 선행변수가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2020년에 진행된 한국복지패널 15차 데이터를 활용하여 독거노인 1,533세대와 비독거노인 3,130세대를 대상으로 t-검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독거노인은 비독거노인에 비해 우울감은 높고 자아존중감과 생활만족도가 낮았다. 독거노인은 여성의 생활만족도가 높은 반면, 비독거노인은 남성의 생활만족도가 높았으며, 독거, 비독거노인 모두 나이가 많고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높았다. 우울과 자아존중감은 독거노인과 비독거노인 모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쳤으나 자아존중감 (𝛽=.40, .41)의 영향이 우울 (𝛽=-.28, -.29)의 영향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우울과 자아존중감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독거노인 (R2=.409)이 비독거노인 (R2=.398)보다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독거노인의 자아존중감을 제고하며 생활만족을 증진하기 위한 정책 및 실천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웹 사이버문화 - 온라인 게임의 아바타 사용자 중심으로 - (Self-esteem of Adolescents and Web Cyber Culture Style - the Users' Avatars of Online Game -)

  • 이향재;한지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197-204
    • /
    • 2009
  • 본 연구는 청소년의 현실적 자아존중감과 아바타에 대한 그들의 의식을 연구하였다. 청소년들의 웹 가상문화에 대한 독특한 삶의 방식을 근본적인 측면에서 이해하려는 의도이다. 청소년기는 자아존중감 형성에 중요한 시점으로 웹 문화가 청소년의 심리적 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연구방법은 유저의 자존감과 아바타에 대한 호감도 그리고 타인의 아바타에 대한 의식을 분석하여 그들의 심리 사회적 성숙도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는 청소년의 현실적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웹사이버문화의 아바타에 대한 호감도가 높게 상승하고 타인의 아바타를 인식하는 태도도 상승하는 것으로 나왔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들은 자기소유의 아바타에도 자기에 못지않은 자존감을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청소년의 자존감 형성과 수준 여하에 따라 건전한 웹 사이버문화가 형성될 수 있는 심리적 성숙면의 자아정체감(self identity)의 중요성이 인식된다.

자기효능감 증대를 위한 STEAM 기반 스마트 창의체험 프로그램 (STEAM-based Smart and Creative Experience Program to Enhance Self-efficacy)

  • 김동정;김석희;강인성;정광식;유헌창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3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085-1088
    • /
    • 2013
  • 현대는 가정의 경제적 어려움이 많은 사회적 배려계층의 아동이 증가되고 있다. 이 계층의 아동들은 일반계층의 아동들보다 자기효능감과 자아존중감이 낮다. 본 연구는 스크래치 프로그래밍을 이용하여 STEAM기반 창의체험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초등학교 3, 4학년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스크래치와 아동들이 흥미를 가질 수 있는 기술들을 적용하여, 자기효능감이 일반 학생들보다 낮은 사회적 배려계층 학생들의 자기효능감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자기효능감을 키워줌으로써, 스스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과 자아를 존중하게 생각하는 자아존중감의 변화도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센서와 연동시키는 스크래치 프로그래밍 학습을 통해 창의적인 사고력과 논리력의 향상뿐만 아니라, 자기효능감과 자아존중감의 변화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강점기반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보호관찰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진로성숙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Strengths-Based Group Counseling Program of Self-esteem and Career Maturity of Adolescents on Probation)

  • 허정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639-648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강점기반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보호관찰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진로성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G광역시 보호관찰 여자청소년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각각 15명씩 배치하였다. 본 연구결과 강점기반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보호관찰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영역가운데 일반적, 사회적 자아존중감 향상에서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지만, 가정적 자아존중감 향상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이는 보호관찰 청소년들의 가정적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해서는 가정 환경적 개입을 통해 부모와의 긍정적인 관계 회복, 가족기능의 회복을 도와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강점기반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보호관찰 청소년의 진로성숙 영역 가운데 계획성, 자기이해, 직업지식, 진로준비 영역에서는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지만, 독립성 영역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보호관찰 청소년들이 스스로 자신의 진로에 대해서 관심을 갖고 준비하는 독립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가정과 사회가 더욱더 관심을 갖고 진로지도에 대해 구체적인 지원을 해야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강점기반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보호관찰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진로성숙 향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보호관찰 청소년들이 자신과 타인을 존중할 줄 알며, 자신의 진로에 대해 구체적으로 계획을 세우고, 책임감 있게 행동할 수 있는 성숙한 인간으로 성장하도록 돕기 위해서는 더욱더 강점기반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대학생 멘토들을 활용해서 보호관찰 청소년들을 도울 수 있는 다양한 방안들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성역할 정체성 및 성역할 불일치가 여성과 남성의 외모만족도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비교 (Gender Differences in the Influence of Sex Roles on Appearance Satisfaction and Self Esteem)

  • 이윤정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436-446
    • /
    • 2006
  • 본 연구는 성역할 정체성 및 성역할 불일치가 남성과 여성의 외모만족도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는데 목적이 있다. 일치이론, 양성성 이론, 남성성 이론, 자아불일치 이론 등이 성역할이 외모만족도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의 예측을 위해 고찰되었다. 자료수집을 위해서는 서울과 수도권에 거주하는 20-40세의 남성 125명과 여성 197명이 편의표집 되었다. 공변량 구조분석으로 분석한 결과, 남성의 경우, 외모만족도와 자아존중감모두 지각된 남성성만이 영향을 미쳤다. 이에 비하여, 여성들의 경우, 외모만족도에는 지각된 여성성, 여성성 불일치, 남성성 불일치가 영향을 미쳤으며, 자아존중감에는 지각된 여성성, 지각된 남성성, 여성성 불일치, 남성성 불일치가 영향을 미쳤다. 신체질량지수는 여성 경우에만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의 곁과는 여성과 남성에 대한 사회적 기대의 차이를 반영하는 것으로, 신체이미지 카운슬러 등의 실무자들이 젊은 여성들의 자아존중감과 외모만족도를 고양하는 데 중요한 시사점이 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