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자아통제

Search Result 248,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저소득층 편부모의 자아통제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Kim, Mi-Suk;Won, Yeong-Hui
    • 한국사회복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3.05a
    • /
    • pp.359-376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저소득층 편부모의 자아통제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봄으로써 이들 대상의 심리적 안녕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정색적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편의표본추출방법에 따라 저소득층이 밀집된 48개 지역에 거주하는 635명의 편부모를 대상으로 구조화된 자기 기입식 설문지를 이용만 우편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종속 변수인 심리적 안녕감은 우울증, 자존감, 삶의 만족도 등이며, 독립변수로 인구사회적 배경 요인(모델 1), 사회적 지원 요인(모델 2), 자아통제 요인(모델 3) 등이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 초점인 자아통제 요인은 내외통제성, 적극적 대처, 소극적 대처 등으로 구성되었다. 자료분석은 위계적 다중회귀분석(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이 활용되었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우울증 모델에서는 자아통제 요인이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내적 통제감이 높고 소극적 대처력이 낮고 적극적 대처력이 높을수록 우울증이 낮게 나타났다. 다른 유의한 변인은 건강상태로 건강할수록 우울증이 낮았다. 2) 자존감 모델에서는 자아통제 요인 중 내외통제청과 적극적 대처력이 유의한 변인으로 판명되어, 내적 통제감이 놓고 적극적 대처를 많이 하는 편부모일수록 자존감이 높았다. 또한 고연령이고, 건강상태가 좋고, 종교를 갖고 있으며 자녀와의 관계가 가까울수록 자존감이 높았다. 3) 삶의 만족도 모델에서는 자아통제, 소극적 대처, 적극적 대처가 유의한 변인으로 분석되어, 내적 통제감이 높고, 소극적 대처는 낮으며 적극적 대처력이 높은 편부모가 삶의 민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입, 건강, 종교, 자녀와의 관계는 두 모델에서는 유의하였으나, 자아통제 요인을 첨가하자 의미성이 없어졌다. 예상외로 부모, 형제, 친구, 공공기관, 종교기관으로부터 받는 사회적 지지는 거의 모든 모델에서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저소득층에게 제공되어지는 사회적 지지가 미미한 편으로 변이가 없기 때문으로 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저소득층 편부모에게 사회적 지지는 물론 자아통제를 제고하는 것이 그들의 심리적 안녕감을 높게 하는 주요 방안이라 팔 수 있다. 앞으로 저소득층 편부모의 자아통제를 제고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 및 이의 적극적 실행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 PDF

Relationship between Internet Game Addiction, Self Control and Impulsivenes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초등학생(初等學生)의 인터넷 게임중독(中毒)과 자아통제(自我統制), 충동성(衝動性)과의 관계(關係))

  • Woo, Joung-Ryae;Hong, Jee-Young;Lee, Moo-Sik;Na, Baeg-Ju;Lee, Jin-Yong;Hwang, Ji-Hye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0.11b
    • /
    • pp.751-754
    • /
    • 2010
  • 본 연구는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인터넷 게임중독과 자아통제, 충동성과의 관계를 파악하여 올바른 인터넷 사용 문화를 장려하고, 과도한 인터넷 사용 방지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자료는 2009년 11월 9일에서 11월 30일까지 익산시내 3개 초등학교를 임의로 선정하여 5, 6학년 학생 927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WIN(12.0 한글판)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카이제곱검정,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 다중회귀분석의 통계적 방법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는 대상자의 인터넷 게임중독 정도는 '정상' 483명(54.3%), '중독초기' 363명(40.8%), '중독중증' 43명(4.8%)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인터넷 게임중독 정도를 분석한 결과 성별(p<0.01)이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컴퓨터 사용 특성에 따른 인터넷 게임중독 정도는 이용장소(p<0.05), 주요활동(p<0.01), 평일 이용시간(p<0.01), 주말 이용시간(p<0.01)이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인터넷 게임중독과 자아통제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인터넷 게임중독 경향이 높을수록 자아통제 점수가 낮으며, 자아통제 점수가 높을수록 인터넷 게임중독 경향이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p<0.01) 인터넷 게임중독과 충동성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인터넷 게임중독 경향이 높을수록 충동성 점수가 높은 것으로 조사 되었는데, 이는 충동성 점수가 낮을수록 인터넷 게임중독 경향이 낮음을 의미한다(p<0.01). 자아통제와 충동성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자아통제가 낮을수록 충동성이 높으며, 자아통제가 높을수록 충동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나서 자아통제와 충동성은 서로 반대 개념인 것을 알 수 있었으며(p<0.01) 인터넷 게임중독과 자아통제, 충동성과의 다중회귀분석 결과 유의한 영향을 주는 변수는 성별(p<0.01), 학교성적(p<0.01), 주요활동(p<0.01), 평일 이용시간(p<0.01), 주말 이용시간(p<0.01), 자아통제(p<0.01), 충동성(p<0.01)이었다. 여학생보다 남학생이, 학교성적이 높을수록, 주요활동이 비학습관련인 경우, 평일 이용시간이 1시간이상 이용할수록, 주말 이용시간이 2시간이상 많이 이용할수록, 자아통제가 낮을수록, 충동성이 높을수록, 인터넷 게임중독 경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인터넷 게임중독 경향이 높을수록 자아통제 정도가 낮게, 충동성 정도는 높게 나타나고, 인터넷 게임중독 경향이 낮을수록 자아통제 정도가 높게, 충동성 정도는 낮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자아통제와 충동성은 상반된 개념으로 자아통제 정도가 높을수록 충동성은 낮아지고 자아통제 정도가 낮을수록 충동성이 높아짐을 알 수 있다.

  • PDF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Esteem on the Association between Academic Stress and Self-Control in Adolescents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와 자기통제에 있어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

  • Kim, June-Y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hild Welfare
    • /
    • no.40
    • /
    • pp.229-253
    • /
    • 2012
  •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capacity of Korean adolescents' self-esteem to buffer against the negative impact of academic stress on self-control. Based on the prevention science perspective, the conceptual framework for this study was developed from the strength model of self-control. Data for the present study were taken from the fourth wave of Korean Youth Panel Study. A sample of 2,169 students in the eleventh grade was analyzed to identify relationships between the study variables. As expected, self-esteem moderated the association between academic stress and self-control. Implications for the study findings are discussed.

Associations between Youth Self-Differentiation, Perceived Parental Control, and Psychological/Behavioral Problems -Mediating effects of Self-differentiation- (청소년의 자아분화 수준, 부모통제에 대한 지각과 심리 및 행동문제의 관계 -자아분화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Chang, Kyung Moo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5 no.2
    • /
    • pp.845-854
    • /
    • 2014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ssociations between youths' perceived parental control, psychological/behavioral problems, and self-differentiation in a sample of 355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sex differences in these variables, and the influences of perceived parental control and self-differentiation on youths'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problems were analyzed.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differentiation between parental control and youths' psychological/behavioral problems, and between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problems were also investigated. Some sex differences in the variables were found. Youths'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problems were influenced by self-differentiation and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 differentiation were significant either complete or partial way.

Effect of Self-regul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on Self-esteem and Self-control of Adolescents on Probation (자기조절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보호관찰소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영향)

  • Heo, Jeong-Cheol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8 no.10
    • /
    • pp.236-246
    • /
    • 2018
  • This study aimed to analyse the effects of a self-regulation group counselling program on self-esteem and self-control in adolescents on probation. In respect to sub-areas of the effects the self-regulation group counselling program had on self-esteem in adolescent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eral self-esteem, social self-esteem and family self-esteem. Also,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the areas including impulse control and emotional control as sub-areas of self-control. Such results experimentally showed that the self-regulation group counselling program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elf-esteem and self-control in adolescents on probation.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probability of repeating their crimes will decrease greatly if the subjects have self-esteem and self-control enhanced through the group counselling program. It is suggested further studies on the self-regulation group counselling program and its practical use are needed to enhance self-esteem and self-control in adolescents on probation.

Effects of Sense of Self-Control and Depression on Pregnant Women's State-Anxiety (임부의 자아통제감과 우울이 불안에 미치는 영향)

  • Hwang, Ran Hee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8 no.3
    • /
    • pp.207-215
    • /
    • 2020
  • This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ense of self-control, depression and factors influencing on state-anxiety in pregnant women an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state-anxiety. Data were collected 160 pregnant women. Data were analyzed using ANOVA, t-test,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ense of self-control on variable such as income.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depression on variables such as occupation, living together with family-in-laws, planned pregnancy.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tate-anxiety on variables such as age, history of childbirth. State-anxiet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depression. State-anxiety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ense of self-control. Depress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ense of self-control. Factor influencing State-anxiety were sense of self-control, depression and history of childbirth, which explained 51.4%. Therefore, prenatal management programs need to be developed giving consideration to the emotional change in order to promote psychological stability in the pregnant women.

MMORPG에서 길드 구성원들의 사회적 지지를 통한 심리적 요인들이 플로우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Kang, Ju-Seon;Go, Il-Sang;Go, Yun-Jeong
    • 한국경영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6a
    • /
    • pp.897-902
    • /
    • 2008
  • 이 연구에서는 MMORPG 게임의 길드 내에서 사회적 지지가 캐릭터와 길드를 통해 플로우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MMORPG 게이머들을 대상으로 포커스그룹인터뷰를 한 결과 사회적지지 요인을 발견하였고, 인터뷰 결과와 선행연구를 토대로 캐릭터통제력, 사회적 지지를 독립변수로 제시하였고, 매개변수로 캐릭터 동일시, 길드 동일시, 자아존중감을, 종속변수로 플로우, 충성도를 도출하여 연구모형을 개발하였다. WoW(WorldofWarcraft) 이용자 244 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전체적인 연구모형의 구조적 적합도를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모델(SEM)분석을 이용하였다.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주요 연구결과를 밝혀냈다. 첫째, 사회적지지는 캐릭터 통제력, 캐릭터 동일시, 길드 동일시, 자아존중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캐릭터 통제력은 캐릭터 동일시, 길드 동일시,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캐릭터 동일시는 자아존중감과 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길드 동일시는 자아존중감과 플로우,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아존중감은 플로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 PDF

Effect of AIDS Knowledge, Self Esteem, Sense of Control and Optimistic Bias on Condom Use among Male College Students (일 지역 남자 대학생들의 에이즈 지식, 자아존중감, 자기통제감, 낙관적 편견이 콘돔 사용에 미치는 영향)

  • Kwon, Sue-Young;Lee, Dong-Suk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6 no.1
    • /
    • pp.251-262
    • /
    • 2018
  • This study aimed to explore how the AIDS knowledge, self esteem, sense of control and optimistic bias affect condom use among male college students. The survey was done among 323 male students within a university in B city and analyzed according to descriptive statistics, ANOVA, Pearson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students had optimistic bias regarding AIDS, and the scores on the AIDS knowledge, self esteem, and sense of control were all rated high. Self esteem and sense of control, sense of control and optimistic bias, sense of control and condom use on sexual intercourse with steady sex partner, condom use on with casual sex partners and with steady sex partner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Self esteem and sense of control were predictors of condom use on sexual intercourse with steady sex partner. Additional studies among various groups should be follow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and condom use.

The Mediating Effects of Aggression and Self-Estee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arental Attachment and Self-Control of Army Soldiers (부모애착과 자기통제력과의 관계에서 공격성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육군병사를 중심으로)

  • Han, Young-Joo;Ha, Chang-Soo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6 no.12
    • /
    • pp.805-814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aggression and self-estee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arental attachment and self-control of soldiers. A convenience sample of 507 soldiers was employed, the following conclusions obtained. Parent attachmen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elf-control, aggress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elf-control and self-esteem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elf-control. On the other hand, parental attachment had a indirect influence on self-control which was mediates through aggression and self-esteem as well as direct influence on self-control, and the mediating effect was much further aggression than self-esteem. Based on the above mentioned result, implication for counseling practice and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The Effect of Participating Motives for Lifelong Education on the Releasing of Controlled Inferiority, the Gratification of Retained Desire, and Voluntary Resocialization (평생교육 참여 동기가 통제된 열등의식 해소, 유보된 욕망 충족, 자발적 재사회화에 미치는 영향)

  • Kim, Chulho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2 no.11
    • /
    • pp.515-530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empirical effect of participating motives for lifelong education on the releasing of controlled inferiority, the gratification of retained desire, and voluntary resocialization. The motives for lifelong education were divided into an external viewpoint focusing on consumers' behaviors and an internal viewpoint based on activity of the ego. External motives were divided into pragmatic, entertaining, and relational motives, while internal motives were divided into self-realization, self-existence, and self-participation motives. The results show that the pragmatic motive and the self-realization motive, the entertaining motive and the self-existence motive, and the relational motive and the self-participation motive are highly related to each other. It was found that the pragmatic motive and the self-realization motive affected the lifelong education participants' release of controlled inferiority relatively stronger, the entertaining motive and the self-existence motive affected participants' gratification of retained desire relatively stronger, the relational motive and the self-participation motive affected participants' voluntary resocialization relatively strong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