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자생초화류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41초

자생초화류 뿌리의 전단강도 보강효과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increase in shear strength of soil by root systems of indigenous plants)

  • 우철웅;최상운;장병욱
    • 한국농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공학회 2002년도 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 /
    • pp.325-328
    • /
    • 2002
  • Recently, attempts to use indigenous plants have been made for the recovery of nature of slopes and making permanent vegetation group, harmonizing with surroundings from the ecological perspective. For surface failure prevention of slopes, indigenous plants are known as superior to those of exotic grasses, but studies how much indigenous plants influence shear strength of soil is lacking. Therefore, in this study, strength increasement of the root-soil system were investigated for four indigenous plants.

  • PDF

자생초화류의 고속도로 조경식물 활용성 연구 (Utilization of Native Plants for Highway Landscaping)

  • 전기성;정태건;소재현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권4호
    • /
    • pp.74-84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gure out the utilization of native plants for highway landscape. The field and nursery experiments were conducted from January of 1996 to December of 1998 on the Chonju Arboretum and Honam highway in Korea Highway Corporation. We have investigated thirty species of native plants and came to a conclusion that Chrysanthemum zawadskii var. latilobum, Aster koraiensis, Iris nertschinskia, Fennisetum alopecuroides, Viola kapsanensis are very suitable for highway landscaping. And, if the problems raised during this investigation are resolved, it is clear that Polygonatum odoratum var. plurijlorum, Belamcanda chinensis, Allium thunbergii, Ophiopogon japonicus, Dianthus superbus var. longicalycinus, Disporum sessile, Lilium tigrinum, Caryopteris incana, Aquilegia flabellata var. pumila, Pulsatilla koreana, Aster spathulifolius etc. can be useful plants at highway landscaping.

  • PDF

몇 가지 요인이 산꼬리풀 분화재배에 미치는 영향 (Several Factors Affecting of Veronica rotunda var. subintegra (Nakai) T.Yamaz. for Pot Cultivation)

  • 이상인;연수호;이승연;이철희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87-87
    • /
    • 2019
  • 현대인의 생활수준의 향상에 따른 관상식물의 관심이 증가하여, 자생초화류를 활용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산꼬리풀[Veronica rotunda var. subintegra (Nakai) T.Yamaz.]은 국내 특산식물로서 산지의 초원에서 자생하고, 쪽빛을 내는 화기는 청아한 느낌을 주어 관화식물로서 이용가능성이 높다. 본 연구는 산꼬리풀의 분화 재배기술을 확립하고자 2018년 7월 2일부터 10월 15일까지 수행하였다. 대조구는 플라스틱 화분 10호에 원예상토를 충진한 다음 200구에 셀당 4립 파종하여 생산된 유묘를 정식하였다. 실험은 식재용기(플라스틱 8, 10, 12호 화분, 비닐포트 3, 4치), 토양종류[원예상토 단용, 중화 피트모스:펄라이트(3:1, 4:1), 마사토:중화 피트모스(2:1, 3:1)], 묘의 소질[파종립수(1, 2, 4, 6립), 파종용기(162, 200, 288구 트레이)] 등이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식재용기에 따른 생육은 플라스틱 화분 12호에서 왕성하였고, 포트의 용적량이 클수록 경직경, 측지수, 마디수, 엽수, 개화율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토양종류에 따른 생육은 원예상토에서 가장 왕성하였고, 측지수, 경직경, 마디수, 엽수 및 개화율이 모두 우수하여 관상용 재배에 적합하였다. 피트모스 혼용토는 생육이 억제되는 동시에 잎이 황화되는 현상이 나타났다. 마사토 혼용토의 경우, 생육이 억제되는 결과를 보였다. 셀당 파종량을 달리한 유묘를 정식하여 재배한 결과, 초장, 절간장은 파종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고, 포트당 마디수와 엽수는 증가하였으나, 1립 파종묘를 제외하고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개화율은 4립 파종묘(44.4%)가 1, 2, 6립 파종묘(20.8~25.0%)보다 높았다. 육묘용기별 생육은 초기생육이 우수하였던 162구 생산묘가 정식 후 재배에도 왕성한 생육을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산꼬리풀의 최적의 분화재배를 위해 플라스틱 화분 12호에 원예상토를 충진한 다음 162구 트레이에 포트당 엽수와 개화율이 높은 4립 파종하여 생산된 유묘를 정식하여 재배하는 것이 우수할 것으로 판단된다. 경제적 측면을 고려하여 토양은 비교적 생육이 양호하였던 마사토의 활용방안을 검토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몇 가지 자생 초화류의 사면녹화 특성 (Characteristics of Several Korean Native Herbaceous Plants for Cut Slope Revegetation)

  • 송정섭;장영득;이상정;방창석;허건양;정명일;정현환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0-16
    • /
    • 2005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study on application of several Korean native plants by seed spray methods for cut slope revegetation, and possibility of replacement almost imported tall fescue seeds by native herbaceous plants. So, we investigated growth and covering rate after sowing native plants seeds at the artificial slope plots in Suwon and the rock exposed cut-slopes in Wonju city. Emergence rate after seed spray at artificial slopes were higher Elsholtzia splendens and Dianthus superbus var. longicalycinus, showing the highest in E. splendens. Also, E. splendens, D. superbus var. longicalycinus, and Agrostemma coronaria were possible to use for seed spray at the rock exposed cut-slopes. The plots of mixed native plants show more seasonal scenery than that of tall fescue. Soil surface run-off by Typhoon was less in plot sown native plants than those of lawn grass, resulting fresh weight of roots was heavier. Thus, we found that the mixed seed spray of several native herbaceous plants, E. splendens, D. superbus var. longicalycinus, and Agrostemma coronaria, were well covered the slopes as tall fescue.

관리조방적 옥상녹화에 적합한 자생초화류와 식재토양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Native Plants and Planting Soil for Extensive Rooftop Greening)

  • 강규이;이은희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23-31
    • /
    • 2005
  • Green spaces in cities were insufficient and decreased as artificial structures increase. Accordingly, greening rooftop space contributed to urban ecosystems as green space. Especially, since 2002 Seoul supported rooftop greening and introduced 'Ecology-area rates'. Thus rooftop greening had the potentiality of extension. This prepared the extensive rooftop greenings within planting-base for extensive management rooftop greening system to be easily popularized. The extensive rooftop greening conducted from 1997-2005 reported that soil depth was 8cm and soil mixtures were 5 types. And plant were Crysanthemum zawaskii var. latilobum, Aster hayatae, Crysanthemum zawaskii herb. ssp. coreanum, Sedum sarmentosum, Sedum rotundifolium, Sedum oryzifolium, Sedum takemensis, Sedum middendorffianum, Sedum telerium var. purpureum, Sedum spectabile, Carypteris incana, Dianthus superbus, Hosta minor. As a result, for nine years after the modular type rooftop greening established, survival plants were Sedum takemensis, Sedum sarmentosum, Sedum spectabile, Sedum middendorffianum, Carypteris incana, Crysanthemum zawaskii var. latilobum, Sedum telerium var. purpureum, Sedum rotundifolium, Dianthus superbus. Also effect of greening was possibled soil depth 8cm. And growth of plants from 1997 to 2005 were fine on two soil mixtures of 'perlite+peatmoss+vermicompost+moisturizer' and 'perlite+moisturizer+bark(mulching)'. Invasive plants are Ixeris dentata Nakai, Ixeris chinensis var. strigosa, Youngia sonchifolia, Eragrostis ferruginea, Aster pilosus Willd., Ixeris japonica Nakai, Valpia myuros, and Setaria viridis. In conclusion, selection of suitable native plants was possible extensive management rooftop greening with effect of continuous greening. The extensive rooftop greening were lightweight and simple preparation without management and can popularize readily.

자생 숙근초화 및 바닥재의 종류가 뗏장 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veral Korean Native Wild Perennial Flowers and Kinds of Basal Sheets on Sod Formation)

  • 정정학;한인송;이성호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4권4호
    • /
    • pp.19-24
    • /
    • 2001
  • 숙근초화의 뗏장 생산에 적합한 초종과 바닥재를 선발하기 위해서 동자꽃, 톱풀, 큰꿩의비름, 섬기린초 등 자생식물 10종을 포함한 숙근초화류 14종의 뗏장 형성여부를 살펴보았다. 1. 재식장소에 따라서는 일반적으로 포트에 이식하여 노지에 정식하였을 경우보다 바크(bark)에 정식하였을 때 생육이 좋은 경향이었다. 2. 사용 바닥재의 종류에 따라서는 일반적으로 부직포에서 지면을 완전 피복할 때까지 걸리는 소요일수가 짧아지며, 뗏장형성능력이 좋았다. 특히 황마를 바닥재로 사용하였을 경우에는 기판이 부패하여 바크와 뿌리의 결속력이 크게 떨어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3. 백리향, 좀씀바귀, 땅채송화, 바위채송화 등 포복성식물들은 꿩의비름, 애기개미취 섬쑥부쟁이 등의 직립성 초종에 비해 초고가 낮고 피복성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