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자동차디자인

검색결과 255건 처리시간 0.031초

최근 한국승용차의 색채경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lor trend of recent korean passenger car)

  • 박택용
    • 디자인학연구
    • /
    • 16호
    • /
    • pp.53-63
    • /
    • 1996
  • 고도의 경제성장과 더불어 우리들의 생활이 윤택해지면서 과거 부(富)의 상징으로 느껴졌었던 자동차가 지금은 우리들에게 없어서는 안될 생활필수품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이러한 시대적 변화는 MY-CAR시대를 맞이하게 되었고, 그 수요는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추세에 비하여 우리의 자동차 개발 기술 수준은 선진국들 처럼 질(質)과 양의 측면에서 균형을 이루지 못하고 있어 아직도 개인의 기호를 만족시키기에는 역부족임을 실감케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동차 개발기술과 품질의 균형 있는 발전을 꾀하기 위하여 현재까지 관심사가 적었던 자체 색 분야를 죽 연구대상으로 하여 주거의 연장으로서 필요한 상황과 최근 한국 승용차의 색상경향, 시대적 환경 요인들을 조사, 분석하고 색상개발 시 제한될 수 있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파악하여 현대인의 기호에 맞는 승용차 색상개발 시에 참고 자료로 제시하여 보다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차체 색을 개발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충분히 예상된다.

  • PDF

웨이브테이블 신디사이징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엔진 사운드 디자인 (Engine Sound Design for Electric Vehicle through Wavetable Software Synthesizer)

  • 배준;김장영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2권12호
    • /
    • pp.1639-1644
    • /
    • 2018
  • 전기자동차는 엔진 소음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엔진 소리가 없으면 보행자의 안전과 운전자의 주행 상태 인지에 문제를 가져온다. 이러한 문제를 피하기 위해 전기자동차 제조업체는 보통 샘플링 방식으로 엔진 소리를 녹음하여 재생하는 방식으로 엔진소리를 만들어 만든다. 그러나 샘플링 방식의 엔진 소리는 자연적인 엔진 소리를 만드는 것에 몇 가지 제한을 가진다. 이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우리는 소프트웨어 신디사이저를 이용하는 두 가지 방법을 연구했다. 그 둘은 감산형(subtractive)신디사이징과 웨이브테이블(wavetable) 신디사이징 방식으로 실제 엔진, 샘플링 방식, 감산형 방식과 비교한 결과 웨이브테이블 신디사이징 방식이 실제 엔진소리와 가장 유사함을 발견했다. 또한 데이터 사용과 제작비용에서 샘플링방식과 감산형 신디사이징 방식에 비해 유리함을 확인했다.

AR 시스템 기반 자동차 교육 플랫폼 연구 (A Study on Education Platform for Automobile Students Using AR System)

  • 루오잉;장완석;반영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12호
    • /
    • pp.243-250
    • /
    • 2019
  • 디자인 분야에서 온라인, 모바일을 통한 융합교육의 보급이 빠르게 확장되고 있다. 특히 증강현실 기술을 응용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점차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 글은 우선, 증강현실 기술의 현재 상태와 장점을 검토함으로써 교육 응용 분야에서 증강현실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둘째, 필자는 새로운 유형의 교육 시스템인 "AR + E" 교육 클라우드 플랫폼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 시스템은 일반 종이 교과서, 범용 휴대용 이동 단말기와 APP 등 3가지로 구성된다. 본 연구는 자동차 정비 전공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AR + E" 교육 시스템의 유용성 및 성능 실험을 통해 "AR + E" 시스템이 학습 효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조사하였다. "AR + E"시스템은 전통적인 학습 그룹과의 비교 실험을 통해 AR 대화식 미디어를 사용하여 학습자의 학업 성과를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재미와 참여도 및 연속성을 향상시키는 결과를 얻게 되었다. 끝으로, 사용자 경험, 행위와 기호에 대한 관찰과 인터뷰를 통해 AR 기반 교육 프로그램 소프트웨어를 디자인하고 개발하여 제안하고 있다.

자동차 차체 형태 디자인이 공기역학 성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Research on the Effect of Car Body Design on CFD Aerodynamics Performance)

  • 김정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1호
    • /
    • pp.501-506
    • /
    • 2020
  • 본 실험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네 가지 타입의 승용차 차량형태에 대한 공기역학(공력) 성능 분석, 측면 유리의 각도에 따른 공력 성능 분석, 엔진후드(엔진 덮개)의 각도차이에 따른 공력 성능 분석, 루프 라인의 각도 차이에 따른 공력 성능 분석을 통해 차량의 형태 변화에 따라 공력 성능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종합적으로 분석해 보았다. 실험결과 비스듬히 떨어지는 후면 유리 라인은 공력 성능을 저하시켰고, 루프의 각도 차이에 따른 공력 성능 차이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며 일찍 떨어지는 후면 라인은 공력 성능에 가시적인 영향을 끼치지 않았다. 차량의 루프라인이 수평으로 늦게까지 이어지다 천천히 떨어지는 후면 유리 라인은 스타일링에 도움이 될지언정 공력 성능은 저하시켰다. 후방 디퓨저의 경우 차체의 형태에 따라 그 성능 효과가 달라지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19세기 청화백자에 표현된 문양을 활용한 자동차 시트 직물 패턴디자인 개발 (The Development of Textile Pattern Designs for Car Seats Using Patterns Expressed on Nineteenth-century Blue and White Porcelain)

  • 정진순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72-385
    • /
    • 2022
  • In this study, the patterns expressed on nineteenth-century blue and white porcelain among Joseon white porcelain were selected as the material for the development of the car seat fabric design. It was intended to be applied to car seat design by incorporating Korea's own traditional patterns to fit modern sensibility. First, seven pieces of nineteenth-century blue and white porcelain were selected through the literature, and motifs were produced using adobe illustrator, a computer graphic program. Seven car seat fabric designs were developed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method and development method of the produced motif. Work 1 was designed to elicit a soft and feminine atmosphere using the peony pattern shown in Table 1-1. Work 2 aimed to express a luxurious atmosphere using the image of the mountain expressed in Table 1-2 as a design material. Works 3 was designed by freely arranging the letters of luck expressed in Table 1-3 to form a free and dynamic image. Work 4 was intended to express a stable and rhythmic atmosphere by horizontally arranging the images of the gently curved wings, tail, and rhythmical tail feathers of the phoenix expressed in Table 1-4. Work 5 was designed in a vertical arrangement using the patterns and silhouettes of the tiger's back expressed in Table 1-5. Work 6 was designed using the wave pattern expressed in Table 1-6 to replicate the rhythmic atmosphere. Work 7 was designed using the images of rocks, waves, and the sun in Table 1-7 to express a calm and antique atmosphere.

감성분석을 기반으로 한 자동차용 방향제 용기 디자인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of Aromatic Case for Car Based on Human Sensibility Analysis)

  • 윤형건;정미선
    • 디자인학연구
    • /
    • 제15권2호
    • /
    • pp.205-212
    • /
    • 2002
  • 현대 소비자들은 물질적 풍요와 함께 자신의 취향과 기호에 맞는 소비 제품을 선호하게 되었다. 따라서 이제는 기능, 품질, 가격만으로는 소비자들의 감성을 만족 시켜 줄 수 없으므로 소비자의 필요욕구(Needs), 또는 내재욕구(Seed)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제품 개발 기법이 요구되었다. 이에 대한 해결 방법의 하나의 대안으로 감성공학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 선정된 제품은 자동차용 방향제 용기로 경제가 풍요로워짐에 따라 여유로운 생활을 하게 되면서 생겨난 신 자동차 문화 속에 자신의 내부를 '안락한' '쾌적한' 실내 환경을 요구하는 소비자들의 욕구 충족 기능으로서 실용품이자 액세서리로 등장한 제품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자동차용 방향제 용기 제품에 대하여 감성공학 방법에 의해 소비자가 제품에 대해 가지고 있는 감성 이미지를 추출함으로써 소비자에게 만족시킬 수 있는 디자인 방향 제시를 가능케 하였다.

  • PDF

상업 시설의 주차공간을 활용한 생활밀착형 전기차 충전 서비스 디자인 (Designing a Daily Routine Charging Service at Commercial Sites for Electric Vehicle Users)

  • 김정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4호
    • /
    • pp.429-434
    • /
    • 2020
  • 전 세계적으로 전기차 판매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환경오염물질 배출(CO2, 질산화물 등)을 줄이는 데 큰 도움이 되고 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전기차 충전기는 비즈니스 지구 및 주택 지구등을 포함하는 도심 지역에 설치되어 있기에 교외에 거주하는 전기차 사용자들은 정기적 충전 루틴을 확립하기가 매우 어려운 상황이다. 상황 개선을 위해 국내 거주 전기차 사용자들이 손쉽게 접근할 수 있는 거리 범위 내에 위치한 편의점 및 식당(주차장을 보유한) 등과 연계한 생활 밀착형 전기차 충전 서비스를 제안하였다. 사람들이 카페나 식당에서 짬짬이 스마트폰을 충전하는 것처럼 쇼핑과 식사를 하면서 전기차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본 서비스가 지향하는 목표이다. 전기차의 충전과 유지보수에 관한 현재 사용자의 니즈를 파악하기 위해 유저 다이어리 연구와 포커스 그룹 인터뷰 연구를 진행하였고, 그 결과를 본 서비스 디자인 개발과정에 적용하였다. 추가적으로 본 서비스가 타게팅하는 상업시설에 손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디자인된 두 가지 유형의 충전 장치인 벽걸이형 스마트 소켓 및 폴형 스마트 소켓장치를 설계 및 제작하였다.

어린이 보호구역 방재디자인 연구 (A Study on the Disaster Prevention Design Of School Zone)

  • 김영준;노황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868-876
    • /
    • 2021
  • 어린이 보호구역은 교통사고의 위험으로부터 어린이를 보호하기 위해 학교, 보육시설, 학원 등과 같은 시설 가운데 지정된 일정 구간을 말한다. 어린이 보호구역은 1995년 9월 제정된 이래, 2021년 1월까지 총 9번의 개정을 통해 강화가 됐음에도 어린이 보호구역 사고는 줄어들지 않고 있다. 본 논문은 방재디자인 기반의 어린이 보호구역 표준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문헌조사, 실증조사, 인식도 조사를 진행했다. 인식도 조사 대상은 어린이, 학부모, 운전자를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하였다. 환경 조사 대상으로는 횡단보도, 자동차도로, 보행자도로, 신호등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차량 운전자의 어린이 보호구역 시각적 인지가 어렵다는 점이 발견되었고, 보행자 도로를 이용하는 오토바이가 어린이에게 매우 위협적인 요소로 다가왔음을 알게 되었다. 이에 따라 방재디자인 중심의 개선된 어린이 보호구역 표준모델 디자인을 제시하였다.

디자인 초기단계에서의 3차원 가상인간(Virtual Human) 활용에 관한 연구 - 지게차 레이아웃 결정 단계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3D Virtual Human in the prior stage of Design Works - With the emphasis on the determining design layout of a forklift truck)

  • 김관명
    • 디자인학연구
    • /
    • 제12권4호
    • /
    • pp.294-303
    • /
    • 1999
  • 최근 들어 컴퓨터 환경의 비약적인 발전에 따라 디자인 과정도 크게 변화하고 있다. 자동차나 지게차 등과 같은 운송기기의 디자인이나, 작업장의 디자인의 경우 초기 디자인 과정중에서 레이아웃을 결정하고 인체 공학적인 데이터를 추출함에 있어서 설문이나 2D의 라인드로잉에 의존해 오고 있다. 이러한 방법의 문제점은 신뢰성이 많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2D 마네킨을 사용하므로써 실제 사각으로 움직이는 인간 몸체의 움직임이 고려되지 못하며, 움직임 범위가 확정된다 하더라도 그 범위내에서의 움직임에 대한 인체의 피로도나 안락도 정도에 관해서는 전혀 측정할 수가 없었다. 컴퓨터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비약적인 발전은 일반 생활환경 뿐 아니라 디자인환경에서도 가상환경 (Virtual Environment) 이라는 큰 흐름을 가져 왔다. 특히 기존의 컴퓨터를 응용한 디자인에서는 Visualization이나, CAD&CAM을 통한 데이터의 교환이 주된 관심사였으나, 최근 들어 빠르게 소개되고 있는 가상환경에서는 디자인초기단계에서 디자인 레이아웃 결정 뿐 아니라 사용자가 느끼게 되는 미세한 감각까지도 데이터화할 수 있게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이 디자인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가상환경의 일반적인 특성를 밝히고, 초기 디자인 과정에서 디지털화된 환경의 이용가능성을 모색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실제 지게차 디자인의 사례를 통하여 살펴보았으며 이 사례연구를 통하여 디자이너가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과 문제점이 무엇인지 밝혔다. 마지막으로 3차원 가상인간의 적용을 통해 초기 디자인 단계에서 새롭게 적용될 수 있는 디지털화 디자인 작업의 잇점에 대하여 논의 하였다.

  • PDF

나이, 성 별 선호색과 감성이미지에 의한 자동차 색에 대한 비교 연구 (The Comparison Study Against Preference Colors and Emotional Image of Car Colors According to an Age and Gender)

  • 이창민;신광현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166-178
    • /
    • 2012
  • 감성 세대로의 진입에 따라 소비자들의 선호 색을 반영한 자동차 선호 색상을 개발하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제품 디자인과 소비 심리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계층별 선호색과 감성 이미지에 의한 자동차 색에 대하여 조사 하였다. 조사 대상은 연령대 별, 성별에 따라 남, 여 20대, 30대, 40대, 50대 이상을 기준으로 8분류로 나누어 각각 30명씩 실시하였다. 선호 색상은 검은색, 흰색, 하늘색, 보라색, 분홍색, 주황색 순으로 나타났으며 검은색, 흰색, 회색을 제외한 색상은 파란색, 노란색, 보라색 순으로 나타났다. 감성적인 자동차 색상을 색상으로 보여주었을 때와 색상으로 보여주지 않았을 때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좋아하는 색상은 감성에 따르고 있으나 실제로 자동차 이미지가 보수적으로 인식되어 밝은 유채색 차의 선택을 주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즉 아직은 감정표출에 있어 소극적임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