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Comparison Study Against Preference Colors and Emotional Image of Car Colors According to an Age and Gender

나이, 성 별 선호색과 감성이미지에 의한 자동차 색에 대한 비교 연구

  • 이창민 (동의대학교 산업경영공학과) ;
  • 신광현 (동의대학교 산업경영공학과)
  • Received : 2011.11.02
  • Accepted : 2012.01.06
  • Published : 2012.01.31

Abstract

Depending on the launch of the emotional generation, many researches developing the automobile preference color which reflects the preference color of the consumers are advanced. This study investigate preferred colors and emotional image of the car color reflecting the product design and consuming psychology. According to surveyed ages and gender, there are eight categories (women/20 's, 30 "s, 40 's, and 50 's and men/20 's, 30 "s, 40 's, and 50 's) based on the 30 persons. Preferred color is black, white, sky blue, purple, pink, and orange order. If black, white and gray are excluded, remained in the order of blue, yellow, and purple. There are big deferences on preference color when emotional preference color of cars is showed or not. Practically, the preference color is following in sensitivity. However the car image is recognized actually with conservativeness, they hesitates selection of the bright chromatic color car.

감성 세대로의 진입에 따라 소비자들의 선호 색을 반영한 자동차 선호 색상을 개발하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제품 디자인과 소비 심리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계층별 선호색과 감성 이미지에 의한 자동차 색에 대하여 조사 하였다. 조사 대상은 연령대 별, 성별에 따라 남, 여 20대, 30대, 40대, 50대 이상을 기준으로 8분류로 나누어 각각 30명씩 실시하였다. 선호 색상은 검은색, 흰색, 하늘색, 보라색, 분홍색, 주황색 순으로 나타났으며 검은색, 흰색, 회색을 제외한 색상은 파란색, 노란색, 보라색 순으로 나타났다. 감성적인 자동차 색상을 색상으로 보여주었을 때와 색상으로 보여주지 않았을 때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좋아하는 색상은 감성에 따르고 있으나 실제로 자동차 이미지가 보수적으로 인식되어 밝은 유채색 차의 선택을 주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즉 아직은 감정표출에 있어 소극적임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윤주미, "국내 자동차 외장색채의 시대별 특성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2. 김오국, "승용차 디자인의 이미지 개선을 위한 감성공학적 접근,"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3. Misuo Nagamachi, "An Image Technology Expert System and Its Application to Design Consulting,"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Computer Interaction, Vol.3, No.3, pp. 269, 1991.
  4. 김정인, "개인적 신체적 특성에 맞춘 의류 추천 방법", 힌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제14권, 제 8호, pp. 1061-1069, 2011.
  5. 이영주, "제품 감성평가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기술원 석사학위논문, 1996.
  6. 日本産業技術振興協會, "人間生活科學技術에 관한 生活테크니션," 3-7항, 1991.
  7. 현대자동차 디자인센터 디자인 기획팀, "자동차 인테리어 디자인과 감성공학," 자동차공학회지, 제22권, 제4호, pp. 76-79, 2000.
  8. 최명식, "감성공학적 접근방법에 의한 의자디자인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9. 박연실, "휴대폰디자인의 색체에 관한 연구," 경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10. 최윤영, "색채심리학적 접근을 통한 배색교육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11. 林知己夫, 駒澤免, "數量化와 데이터 處理," 朝倉書店, 1995.
  12. 長町三生編, 感性工學, 海文糖, 1989.
  13. 진혜연, "컬러디자인의 감성 공학적 접근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Cited by

  1. 자동차 시트커버의 만족도와 고급감 vol.41, pp.3, 2017, https://doi.org/10.5850/jksct.2017.41.3.446
  2. 소비자의 심미적 선호도에서 디자이너의 인지차이에 대한 연구 - 제품 CMF를 중심으로 - vol.24, pp.4, 2012, https://doi.org/10.9717/kmms.2020.24.4.6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