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자녀 양육 스트레스

검색결과 203건 처리시간 0.026초

2-3세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신념, 효능감 및 스트레스가 양육 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aternal Parental Beliefs, Efficacy and Stress on Mother s Parenting Behaviors)

  • 안지영;박성연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53-68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parental beliefs, efficacy and stress on mother's parenting behaviors. The subjects were 243 mothers of two to three-Year-old children in Seoul. The main results showed that parental beliefs, efficacy and stress were significantly related with parenting behaviors. That is, the resets of mutiple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parental efficacy, beliefs and stress were significant variables predicting mother's parenting behavior. However, the predictive powers of these variables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parenting behavior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arental stress and parenting behaviors was mediated by mother's parental efficacy. To conclude, mother's cognitions such as parental beliefs, parental efficacy, and a perception of parenting stress turned out to be the vital factors in predicting parenting behaviors.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및 양육 효능감과 양육 행동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Efficacy on Parenting Behaviors in Mother with Young Children)

  • 김미숙;문혁준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3권8호
    • /
    • pp.25-35
    • /
    • 2005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efficacy and on parenting behaviors in mothers with young children. Ed. Note: confirm wording. A total of 222 mothers, each having children aged three to five,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frequency, percentile, mean, standard deviation,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parenting efficacy and stres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parenting behavior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behaviors was mediated by the mother's parenting efficacy. In conclusion, the mother's parenting efficacy and a perception of parenting stress turn out to be important factors in predicting parenting behaviors.

유아기 자녀 가족의 가족체계 기능과 부모의 양육행동, 양육분담, 양육스트레스 (Family system functioning and parenting behaviors, sharing, stresses in families with young children)

  • 옥경희
    • 한국가족관계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99-117
    • /
    • 2017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differences of fathers' and mothers' parenting behaviors, sharing, and stresses by levels of family system functioning in families with young children. Methods: The sample of this study included 1,611 first married couples having at least one child aged under 5 years in the 6th wave of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PSKC). Results: It was found that fathers' cohesion and flexibility were higher than mothers'. It was also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fathers' and mothers' parenting behaviors, sharing, and stresses by the level of family system functioning.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family system functioning are related to parenting in families with young children. Further implication were discussed for enhancing family system functioning and parenting behaviors of young children.

저소득층 가정 양육자의 양육스트레스와 아동 문제행동 간의 상호인과적 관계에 대한 종단연구 (A Study on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Children's Problem Behavior in Low Income Families)

  • 송미령;홍승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340-348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드림스타트 사업에 참여한 저소득층 가정 양육자의 양육스트레스와 아동의 문제행동 간의 상호 인과적 관계를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드림스타트 사업에 참여한 아동과 양육자이며, 2015년에 초등학교 1학년인 아동과 양육자를 3년 간 추적 조사하여 2017년까지 참여한 대상자의 자료를 반복 측정 하였다. 연구 방법은 양육자의 양육스트레스와 아동의 문제행동 간의 종단적 발달에 적용하는 아동 효과 및 양육자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자귀회귀교차지연효과모형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양육자의 양육스트레스와 아동의 문제행동의 자기회귀 계수가 모두 유의미하여 3년에 걸친 연구기간 동안 높은 수준의 안정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양육스트레스는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양육자의 양육스트레스와 아동의 문제행동 간 인과관계의 원인은 주로 양육자 효과로 설명 되었다. 즉 양육자의 양육스트레스로 인해 아동의 문제행동이 나타나는 것이다. 위의 결과들을 통해 저소득층 가정은 경제적 압박감으로 인해 양육자의 양육스트레스가 가중되고 누적되어 자녀와의 부정적인 상호작용으로 이어져 결국 아동의 문제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저소득층 가정의 누적된 양육스트레스를 경감하기 위해 다양한 양육자의 심리적 지원 방안이 강화되어야 함을 제언하였다.

심리전기적 심층면담(PII)이 부모의 통찰수준 및 부모-자녀 관계특성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Psychobiographical Intensive Interview on Parent's Insight and Parent-Child Relationship Characteristic)

  • 강상현;손정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5호
    • /
    • pp.495-503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심리전기적 심층면담(Psychobiograpical Intensive Interview: PII)이 부모의 통찰수준, 부모-자녀 관계특성 및 상담회기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학령기 자녀를 둔 어머니 10명을 대상으로 PII를 실시했다. PII는 심리전기적 정보탐색을 위한 심층면담과 이에 대한 해석상담이 포함되어 있는 반구조화된 형태이다. 연구결과 부모의 자녀 문제에 대한 통찰과 자신의 문제와의 관련성에 대한 통찰 수준이 의미 있게 높아졌다. 반면, 자녀와 의 관계특성에 대해 알아본, 부모효능감, 양육태도, 양육스트레스에 대한 평가에서는 양육스트레스 중 일부에서만 유의한 변화가 있었을 뿐이다. PII에 대한 상담 도구로서의 가능성을 상담회기영향평가를 통해 알아본 결과 과제영향, 관계영향 및 유익성 측면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맞벌이 가정 조모의 손자녀 양육경험와 양육갈등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조모와 취업모 관점에서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Child-rearing Experience and Conflict of Grandmothers in Dual-income Families: from the Grandmother's and Working Moms' Point of View)

  • 김미옥;송승민;이사라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239-269
    • /
    • 2015
  • 이 연구의 목적은 맞벌이 가정에서의 조모들의 손자녀 양육참여와 갈등을 알아봄으로써 공동양육자인 조모세대와 성인자녀세대의 조모 양육에 관한 견해들을 이해하고, 건강한 관계정립을 하여, 좀 더 나은 양육 환경을 조성하기 위함이다. 이 목적을 위해서 경기도 지역의 영 유아기 손자녀를 양육하는 6명의 조모와 그들의 성인자녀 중 6명의 취업모 총 1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14년 5월부터 2014년 12월까지이며, 개방형 반구조 면접지침에 따른 심층면접과 전자우편, 관찰을 통해 이루어졌다. 자료분석은 현상학적 방법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78개의 의미단위와 15개의 하위구성요소, 6개의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6개의 구성요소는 (1) 조모의 양육경험: 손자녀 양육을 통한 조모의 이중역할 (2) 취업모의 양육경험: 취업모의 모성이데올로기의 갈등 (3) 조모 관점에서의 긍정적 효과: 조모의 생성감 증가와 자녀세대와의 친밀한 유대관계형성 (4) 취업모 관점에서의 긍정적 효과: 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 감소 (5) 손자녀 양육경험의 부정적 효과: 조모의 양육 스트레스 증가와 취업 모의 낮은 양육 효능감 (6) 양육갈등: 두 명의 엄마와 충돌하는 양육 가치관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양육태도와 양육기술에 대한 두 엄마의 다른 가치관의 충돌은 서로에 대한 이해와 조율의 필요성이 제기됨으로 사회적인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다문화 가정 어머니의 자아분화와 학습된 무기력의 관계에서 양육 스트레스에 대한 매개효과 연구 (A Study on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ing Stress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lf-Differentiation and Learned Helplessness of mothers in Multicultural Family)

  • 설염추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9호
    • /
    • pp.420-431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 가정 어머니의 자아분화가 학습된 무기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양육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하고, 다문화 가정 어머니의 자아분화, 학습된 무기력, 양육스트레스 간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모형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는 다문화 가정에서 자녀를 양육하는 어머니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최종 193부가 자료 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 분석은 SPSS 23.0과 AMOS 23.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 가정 어머니의 자아분화는 양육 스트레스와 학습된 무기력에 부(-)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양육 스트레스는 학습된 무기력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 가정 어머니의 자아분화와 학습된 무기력의 관계에서 양육 스트레스는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다문화 가정의 어머니는 문화적 차이와 새로운 사회에 적응해야 하는 환경 속에서 자아분화 수준을 높이는 것이 양육 스트레스와 학습된 무기력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원가족 경험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아버지의 양육참여의 매개효과 검증 (Experiences in the Family of Origin with Fathers and Parenting Stress of Mothers: Significance Test of Mediating Effects by Parenting Participation of Fathers)

  • 김경화;조효숙;김연하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3권6호
    • /
    • pp.35-49
    • /
    • 2015
  •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experiences in the family of origin with fathers, parenting participation of fathers, and parenting stress of mothers. The subjects in this study consisted of 203 couples with children of ages 3, 4, and5 attending child care centers in the Gyeong-gi provinc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xperiences in the family of origin with fathers, have meaningful correlations with parenting participation of fathers and parenting stress of mothers. Also, parenting participation of fathers has meaningful correlations with parenting stress of mothers. Second, experiences in the family of origin with fathers have direct/indirect influence on parenting stress of mothers and parenting participation of fathers played a mediating role between the two variables. It is significant that these results give the basic research data for developing aparental education program that can lower parenting stress of mothers by parenting participation of fathers.

사회적 지원이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Infant Mother's Parenting Behavior: The Mediating Effects of Parenting Stress and Depression)

  • 문영경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0권3호
    • /
    • pp.165-177
    • /
    • 2012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infant mother's parenting behavior and mediating effects of parenting stress and depress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maternal parenting behavior. Participants were 2078 mothers of infant (4-10 month) in Korea. Data were analyzed by Structural Equation Model.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social support showed direct effect on maternal parenting behavior. That was the more mother receive social support, mother show responsive and warmer parenting behavior on infant. Second, maternal parenting stress mediated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maternal parenting behavior. That was the more mother receive social support, the less mother experience parenting stress, which in turn contribute to responsive and warm parenting behavior. Third, Maternal depression didn't mediate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maternal parenting behavior. However, social support and maternal parenting stress showed direct effects on maternal depression. This research suggest the needs for development of diverse social support policies and program to help mothers reduce maternal parenting stress and depression.

가구소득에 따른 부부관계와 자녀가치 및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영아기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력 비교 연구 (Maternal Parenting Stress of Infants from Different Income Groups : The Relative Importance of Father Involvement, the Marital Relationship, and Meanings of Parenthood)

  • 옥경희;천희영
    • 아동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205-221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ffects of father involvement, marital happiness and conflicts, and meanings of parenthood on maternal parenting stress and compare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ose variables in three (low, middle, and upper) income group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654 nuclear families which consisted of 3 family members, couple and their infant children aged between 4 months and 10 months. Data was taken from the 2008 Panel Data of Korean Childre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maternal parenting stress, father involvement,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and conflic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ccording to income levels. Second,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was the most significant variable in predicting father involvement, and mother's marital conflict was the most significant one in predicting maternal parenting stress. Third, the significance and numbers of variables which were impacted upon maternal parenting stress and father involvement varied according to income groups. Fourth, in all three income groups, the effects of father involvement on maternal parenting stress was not significant when marital relationship and meanings of parenthood underwent in regression analysis. However, father involvement was impacted upon maternal parenting stress by itsel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