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자녀 관계 만족도

검색결과 183건 처리시간 0.03초

간호사의 업무스트레스와 양육스트레스 및 양육태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f nurses' working stress, child-rearing stress and parenting attitude)

  • 오재우;문영숙;박인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0호
    • /
    • pp.469-481
    • /
    • 2013
  • 본 연구는 학령전기의 자녀가 있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간호사의 업무스트레스, 양육스트레스 및 양육태도의 정도와 이들 간의 관련성을 확인하고 간호사의 업무스트레스가 양육스트레스,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간호사의 양육태도의 중재를 위한 기초자료를 파악하고자 시도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피어슨 상관 계수로 분석하였다. 간호사의 업무스트레스는 평균 평점이 3.48점이었으며, 간호사의 양육스트레스는 평균 평점 2.47점이었다. 간호사의 양육태도 평균 평점은 3.61점 이었다. 업무스트레스에 유의한 차이를 보인 일반적 특성은 근무장소, 월별 주말 근무횟수였으며,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양육스트레스의 차이는 아내연령, 남편연령, 총수입, 남편과의 관계 만족, 근무경력 및 자녀수, 자녀 돌보는 분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간호사의 업무스트레스, 양육스트레스 및 양육태도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한 결과 간호사의 업무스트레스와 양육스트레스(r = .32, p=.000)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간호사의 업무스트레스, 양육스트레스 및 양육태도와의 관계를 경험적으로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으며, 본 연구의 결과가 간호사의 업무스트레스와 양육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바람직한 양육태도 형성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노인의 비동거 자녀와의 결속력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olidarity with Non-Cohabiting Children of the Elderly on Successful Aging)

  • 이수진;홍소형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7호
    • /
    • pp.47-56
    • /
    • 2021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된 이차자료분석 연구이다. 2018년 제7차 고령화연구패널 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65세 이상의 노인 중 비동거 자녀가 1인 이상이고 연구 변수에 결측치가 없는 4,10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는 빈도분석, 교차분석, 독립표본 t검정,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노인의 성공적인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연령, 배우자 유무, 교육 수준, 주거 형태, 주관적 건강, 운동, 음주, 비동거 자녀와의 비대면 접촉 빈도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24.1%였다. 자녀 결속을 중심으로 노인이 성공적 노화를 영위하기 위해서는 자녀가 가까이 살고 자주 만나는 것보다 노인의 삶의 위로가 되고 관계의 연속으로 삶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비대면 연락 빈도가 중요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코로나19(COVID-19) 감염 우려로 인해 사회적으로 고립되어 있는 노인들의 성공적인 노화를 위한 다양한 전략이 필요하다.

중·장년기 가구주의 경제적 부양부담 영향요인 (Factors on the Economic Burden of Middle Age Householder Supporting the Family)

  • 김혜선;박효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7호
    • /
    • pp.555-563
    • /
    • 2016
  • 본 연구는 노부모와 자녀를 경제적으로 부양하고 있는 중 장년기 가구주의 경제적 부양부담의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이다. 현재 우리 사회의 중 장년층의 고용환경은 안정적이지 않다. 그에 더하여 노부모와 자녀를 경제적으로 부양하고 있는 중 장년기 가구주들은 본인의 노후준비도 해야하는 경제적 부담이 상당히 큰 세대이다. 이 과정에서 불안정한 고용환경에 있는 중 장년기 가구주는 비자발적으로 자신의 노후준비에 소홀하게 되고, 향후 노인빈곤층으로 유입될 우려가 높아진다. 노령화 사회에서 노인빈곤층의 증가는 사회적 비용의 증가를 초래하고, 사회구성원 전체에게 부담을 가중시킬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 장년기 가구주의 경제적 부양부담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찾아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복지패널의 데이터를 활용하였고, 연구대상은 40대-60대 중 장년기 가구주 중 노부모와 자녀의 경제적 부양을 동시에 하고 있는 사람들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본 연구에서는 연령, 성별, 교육수준, 미취업, 주거자가보유, 취업가구원수, 원소득, 가족관계만족도의 요인들이 중 장년기 가구주의 경제적 부양부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 장년기 가구주의 경제적 부양부담의 경감을 위해서는 교육정책, 사회보장 및 소득재분배정책, 고용정책의 정책적 대안이 필요할 것이다.

기본심리욕구와 산후우울의 관계: 배우자지지, 결혼만족도의 매개 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Postpartum Depression: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Spousal Support and Marital Satisfaction)

  • 배연욱;유금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518-528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자기결정성이론과 선행 연구들을 바탕으로, 자기결정성이론 중 하나인 기본심리욕구가 배우자 지지와 결혼 만족을 매개로 산후 우울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출산 후 1년 이내의 자녀를 양육하는 산모 313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구조방정식 모형(SEM)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가설모형과 측정모형은 모두 자료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모든 변인간 경로를 설정한 가설모형과 비교했을 때, 배우자 지지에서 산후 우울로 가는 경로를 제외한 경쟁모형이 적합도에서 차이가 없으면서 비교적 간명해 이를 최종 모형으로 선택하였다. 최종 모형에서의 구체적인 경로를 살펴보면, 기본심리욕구의 좌절은 산후 우울에 직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기본심리욕구의 좌절은 배우자 지지와 결혼 만족을 통해 간접적으로 산후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 결혼 만족은 배우자 지지와 산후 우울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산후 우울과 관련한 상담에서 기본심리욕구 충족 상태와 배우자와의 관계, 결혼 만족 정도를 우선 파악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으로 확인되었다.

노년기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적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cological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among the Elderly People)

  • 배나래;박충선
    • 한국노년학
    • /
    • 제29권2호
    • /
    • pp.761-779
    • /
    • 2009
  • 본 연구는 노인의 삶의 질과 관련된 생태체계 요인의 구성요소들을 살펴보고, 이들이 노인의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대구와 부산을 중심으로 한 경상남·북도 지역과 대전·충청지역에서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60세 이상 남성노인 171명, 여성노인 272명 총 443명이다. 연구결과는 첫째, 노인의 삶의 질을 영역별로 신체적경제적·정서적·사회적 영역으로 나누었다. 영역별 만족도 중 가장 높은 점수를 보인 것은 정서적 영역이였으며, 신체적 영역, 사회적 영역, 경제적 영역 순으로 나타났다. 노인의 전반적 삶의 만족도는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 요인을 살펴보면, 개인체계 요인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은 자기효능감, 건강상태, 생활수준으로 나타났다. 미시체계 군에서는 배우자와의 친밀감, 자녀와의 친밀감, 자녀의 효의식으로 나타났다. 중간체계 군에서는 지역사회환경으로 나타났다. 거시체계에서는 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미한 요인은 노인차별주의로 나타났다. 셋째, 삶의 질에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인 요인은 학력, 건강상태, 생활수준,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배우자와의 친밀감, 자녀와의 친밀감, 자녀의 효의식, 사회참여, 지역사회환경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노인의 삶의 질에 기여하는 관련체계 요인들의 상대적 중요도를 살펴보면, 사회인구학적 요인에서는 학력 요인이 노인의 삶의 질에 상대적으로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개인체계 요인군에서는 자기효능감과 생활수준이, 미시체계 요인군에서는 자녀와의 친밀감과 배우자와의 친밀감이 노인의 삶의 질에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중간체계에서는 상대적으로 중요한 요인이 나타나지 않았다. 거시체계 요인군에서는 자녀중심주의가 노인의 삶의 질에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청소년이 지각한 아버지 의사소통 유형과 학교적응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ived Father's Communication Style and School Adjustment of Adolescents)

  • 한영숙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71-82
    • /
    • 2005
  • 가정 내의 바람직한 부모-자녀 의사소통 관계는 하나의 사회적 지지로 작용하여 가정 내의 적응을 잘하는 청소년은 학교에서도 적절한 역할을 해내리라고 기대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아버지와의 의사소통과 학교적응의 관계를 살펴보고 청소년이 지각하는 아버지와의 의사소통 유형이 학교생활적응에 어떤 관련이 있는지 연구하고자 한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인구학적 배경변인에 따라 학교적응의 차이가 있었으며, 청소년의 연령, 아버지의 직업이 가장 큰 차이를 보이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이 지각한 아버지의 의사소통 유형은 학교적응과 상관이 있었으며, 아버지의 의사소통 유형이 회유형일수록 학교적응에 있어 만족도가 가장 높았다.

  • PDF

초등학교 4학년 아동과 어머니가 인지한 아동의 신체만족, 건강상태, 부모-자녀애착과 아동의 건강행위와의 관계 (Relationship of Body Satisfaction, Self-rated Health, and Parent-Child Attachment to Health Behavior of Children as Perceived by 4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ir Mothers)

  • 오진아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7권3호
    • /
    • pp.161-166
    • /
    • 2011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examine body satisfaction of children, self-rated health of children and parent-child attachment as perceived by children and their mothers in relation to children's health behavior an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health behavior of children. Ultimate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to develop health promotion programs for children. Methods: Participants were 140 couples, 4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ir mothers residing in Busan. Data collection was done during June 1 and July 31, 2010.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paired t-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ith PASW 18.0 program. Results: Children and mothers rated body satisfaction of the child differently. Children's responses for body satisfaction of child and parent-child attachment were associated with health behavior of children. Self-rated health perceived by children was also a factor affecting health behavior, as were body satisfaction perceived by children and mothers' perception of body satisfaction of child in that order. These variables explained 18.2% of the total variances in health behavior of children. Conclusion: The findings indicate that body satisfaction and self-rated health of children are important variables to target within intervention research and treatment programs for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children at home and school.

부모자녀간 의사소통과 관계향상을 위한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및 적용: 중학교 1학년 '가족구성원간의 의사소통' 단원을 중심으로 (Development of a Teaching and Learning Plan for a Communication Unit for Family Members and Its Effect on Teenagers' Functional Communications and Relational Satisfaction with Their Parents)

  • 주현정;조병은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8권8호
    • /
    • pp.51-65
    • /
    • 2010
  • This research explored the importance of conflict resolution in communication between adolescents and their parents. A teaching and learning plan on communication using the Active listening, I-message method and no-lose conflict resolution method was developed and applied to teaching the 'Communication among Family Members' unit in the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and technology textbook. The experimental class of 203 students using the active listening, I message and no-lose conflict resolution method in communication was compared with a comparative class of 163 students using only the active listening and I message method, investigating the amounts of communication, conflicts, functional communication and degree of satisfaction the students perceived regarding relationships with their parents via pre and post tests. Both groups showed significant increases in their amounts of communication and functional communication. However, only the experimental class showed an increase in their degree of relationship satisfaction with their parents. Both groups evaluated the lesson positively.

부모교육과 사회적 지지 프로그램이 부모의 자녀와의 관계에 대한 태도, 부모역할 만족도 및 체벌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Parent Education and Social Support Program on the Parental Attitudes toward Their Children, Parenting Satisfaction and Attitudes toward the Use of Corporal Punishment)

  • 윤혜미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43권
    • /
    • pp.246-269
    • /
    • 2000
  • This paper describes the results from a prevention program for low-income mothers of children under the age of 13 aiming at the positive change on parental attitudes toward their children, parenting satisfaction and attitudes toward the use of corporal punishment. The program duration was 8 weeks and consisted of two parts: parent education on understanding parent-child relationship, communication skill improvement, techniques of problem solving, non-punitive child rearing techniques; and the recognition and use of existing social support network including networking of the neighborhood resources. The pre-post test control group design was employed. The results are: the program is effective on bringing some positive changes on an three variables: parental attitudes toward their children, parenting satisfaction and attitudes toward the use of corporal punishment. Increased social support was found to have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above variables except the attitudes toward corporal punishment. To decrease the risk factors as well as to increase the protective factors of child abuse, well designed parent education and social support program is recommended on every community level.

  • PDF

어머니의 취업배경, 역할만족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 (Mother's Occupational Background, Role Satisfaction, and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 김회진;정영숙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647-658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mother's occupational background, their role satisfaction, and their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60 working mothers having 3 to 6-year-old children and 56 teachers of the children drawn from 8 preschools and 7 kindergartens in Cheongju city.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mother's occupational background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mother's age, educational level, job type, mother's income, family finances and the existence of a supporter for bringing up children. Second, mother's role satisfac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mother's income and the existence of a supporter for bringing up children. Third, children's social competenc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children's sex, age, mother's age, educational level, job type, mother's income and family finances. Finally, there were significantly meaningful correlations between mother's occupational background, their role satisfaction, and their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