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자녀양육 스트레스

검색결과 203건 처리시간 0.023초

문제 해결을 위한 모-자 상호작용시 어머니 행동과 관련된 변인 : 결혼 만족도, 자녀양육 스트레스, 애착 안정성 (Maternal Behavior during Mother-Child Problem Solving : Effects of Marital Satisfaction, Parenting Stress, and Attachment Security)

  • 박경자;권연희
    • 아동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53-70
    • /
    • 2002
  • Maternal interactions during mother-child problem solving tasks were analyzed by marital satisfaction, parenting stress, and child attachment security. Forty 36-to 52-month-old children and their mothers were observed at home. Mothers' ratings of marital satisfaction and parenting stress were collected by questionnaires, and Attachment Q-set assessed child attachment security. Marital satisfaction and child attachment security were negative1y related to parenting stress. Marital satisfaction, parenting stress, and attachment security were related to maternal behaviors. The relations between child's attachment security and maternal behaviors were mediated by parenting stress. Stronger child attachment security was related to lower parenting stress, which in turn contributed to competent maternal behaviors during problem solving.

  • PDF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 아동의 증상,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양육행동간의 관계 (Relationship Among Children's ADHD Symptoms, Parenting Stress and Behavior Regarding Nurturing)

  • 김세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0호
    • /
    • pp.330-339
    • /
    • 2012
  • 본 연구는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DHD)의 증상,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양육행동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ADHD의 증상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소아정신과 3곳에서 ADHD로 진단받은 만 4~12세 아동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어머니의 양육행동, ADHD 증상 척도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양육스트레스, 양육행동, ADHD 증상은 각각 한국판 부모 양육스트레스 축약형 검사, 수정한 Maternal Behavior Research Instrument(MBRI), 부모용 한국형 ADHD Rating Scale(K-ARS)를 사용하였다. 총 59부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으며, 빈도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ADHD 증상은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정적상관을 보였으며, 다중회귀분석 결과 양육스트레스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F=12.88,p<.01).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양육행동 중 애정적 태도와 부적상관을, 거부적 태도와 정적상관을 보였으며,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양육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F=10.23, p<.001). ADHD 증상은 양육행동 중 거부적 태도와 정적상관을 보였으며, 양육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F=5.64, p<.01). ADHD 자녀를 둔 부모의 긍정적인 양육행동을 위해서는 아동의 ADHD 증상에 대한 치료적 접근와 함께 양육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직접적인 개입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영아기 첫 자녀를 둔 어머니의 임신 및 출산, 양육 변인에 관한 연구: 2002년과 2007년 실태 비교를 중심으로 (Prevalence Study of Mothers' Perception on Pregnancy, Childbirth, and Childcare: Comparison Between Years 2002 and 2007)

  • 김양은;조복희;정민자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68-85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36개월 미만 첫 자녀를 둔 어머니 270명(2002년 183명, 2007년 87명)을 대상으로 어머니의 임신 및 출산, 양육지식과 양육스트레스 수준의 변화 추이를 살펴보았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1) Knowledge of Child Development Inventory(KCDI)(Larsen & Juhasz, 1985), 2) 양육스트레스(김기현, 강희경, 1997)와 양육관련 설문지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초통계와 신뢰도 검사, t-test 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2002년에 비해 2007년에는 결혼 후 첫 자녀를 임신 하는 시기는 빨라졌고, 자연분만으로 출산을 하는 비율이 증가하고 있었다. 출산 시 남편이 분만실에서 같이 출산에 참여하는 비율이 높아졌으며, 산후조리는 친정이나 시댁에 의존하던 비율이 줄어들고, 산후조리원이나 고용인을 두고 조리를 하는 것으로 바뀌고 있었다. 반면, 남편의 육아에 대한 참여 수준은 2002년과 2007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어머니의 양육지식 수준은 2002년에 비해 더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양육에 대한 어머니의 스트레스는 2002년에 비해 더 높은 수준으로 지각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지난 5년간 의 영아모의 임신 및 출산에 관한 여러 환경의 변화를 살펴본 것으로, 향후의 변화추이를 예상해 볼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학령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 자아탄력성, 사회적지지 및 자녀성적의 영향 (Parenting Stress in Mothers of School-aged Children : Effects of Ego-resilience, Social Support and School Grades of Children)

  • 정명숙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6권6호
    • /
    • pp.107-121
    • /
    • 2008
  •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ego-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on parenting stress perceived by mothers of school-aged children. The effects of demographic variables(including school grades of children) on the mothers' parenting stress were also investigated.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ego-resilience of mothers was found to have the greatest predictive power on mothers' parenting stress. The more ego-resilient the mothers were, the less parenting stress was perceived. Second, social support also played an important role in alleviating maternal parenting stress. Emotional support of spouses was particularly effective in reducing mothers' parenting stress. Third, the only demographic variable that influenced mothers' parenting stress was their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s. Finally, mothers perceived high parenting stress in relation to their children's school grades, while they perceived relatively less parenting stress concerning their children's temperament or the relationship with their children. The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첫 자녀 출산 후 취업모와 전업모의 양육스트레스 변화 : 자녀가치, 양육지식, 자녀미래기대가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Parenting Stress Changes in Both of Continuous Working and Non-Working Mothers After the Birth of Their First Child : A Focus on the Effects of the Values, Knowledge and Expectations about Their Children)

  • 송영주;이미란;천희영
    • 아동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15-35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arenting stress changes in both continuous working and continuous non-working mothers after the birth of their first child and their relationships with the cognitive variables about child-rearing, using the 3rd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PSKC) by the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KICCE).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parenting stress of the non-working mothers was higher than the stress experienced by the working mothers. The increase in stress was only found both groups between the second year and the third year of childbirth. The total explanatory power of the knowledge, values and expectations regarding their children saw stress increase for the working mothers, but saw it decrease for the non-working mothers. Finally, the emotional value surrounding parenthood was the most powerful variable for both groups, with the exception of the non-working mothers' stress, as experienced in the first year.

발달위험군 영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우울에 대한 종단연구 (A Longitudinal Study on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Depression: Focused on the Mothers of Developmental Risky Infants Group)

  • 김균희;김현정;이완정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0권6호
    • /
    • pp.333-346
    • /
    • 2014
  • 본 연구는 만 3세 이전 발달위험군 영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우울의 변화궤적을 살펴보고, 양육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지속적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육아정책연구소에서 실시한 한국아동패널 2008년부터 2011년도까지의 총 4차년도 데이터를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으며, 만 3세 이전에 발달위험 증상을 보인 아동 476명의 어머니를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위험군 영아 어머니들의 양육스트레스는 출산 후 4년 간 유의미하게 증가하였고 개인별로 증가폭도 차이가 있었으나, 우울의 경우 유의한 증가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발달위험군 영아 어머니들은 자녀를 출산한 해의 양육스트레스 수준이 높을수록 당해의 우울 수준이 높고, 출산 직후 4년간 양육스트레스의 증가폭이 클수록 우울의 증가폭도 커졌다. 본 연구의 결과는 만 3세 이전 영아기에 발달위험 증상을 보인 자녀를 둔 어머니들의 양육스트레스를 줄이는 노력을 통하여 우울 수준도 감소할 수 있으며, 이러한 노력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