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자기확산

Search Result 529,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기능적 자기공명영상 및 확산텐서영상을 이용한 전음성 난청과 감각신경성 난청군의 비교 연구: 예비 결과

  • 이재준;황문정;이영주;김인성;배성진;장용민;이상흔;우성구;강덕식
    • Proceedings of the KSMRM Conference
    • /
    • 2003.10a
    • /
    • pp.94-94
    • /
    • 2003
  • 목적: 기능적 자기공명영상과 확산텐서영상기법을 이용하여 전음성 난청과 감각신경성 난청에서의 뇌활성화 양상 그리고 청신경경로상의 차이점을 비교 연구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전음성 난청군 (n=4)과 감각신경성 난청군(n=5) 그리고 정상군(n=5)에서의 기능적 자기 공명영상과 확산텐서영상을 획득하였다. 기능적 자기공명영상의 경우 1.5T Siemens MR scanner에서 BOLD 기법을 이용하여 500 Hz 순음 청각자극에 대한 뇌활성화 영역을 검출하였고 영상촬영시 발생하는 기계적 소음을 차폐하기 위한 청각자극기를 특별히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뇌백질신경로를 영상화하는 확산텐서영상은 3.0T GE whole body MR scanner를 사용하였으며 미세한 확산운동을 검출하기 위해 초고속 영상기법인 EPI 기법을 사용하였다. 영상의 화질을 높이기 위해 공간적으로 25개의 다른 방향으로 확산경사자장을 가하였다. 청신경로의 비등방성 영상, 신경로 방향 영상등을 구현하기 위해 획득한 확산영상들에 대한 영상 후처리과정을 시행하였다.

  • PDF

Diffus ion-Weighted MR Imaging of Spinal Cord Infarction (척수경색의 확산강조자기공명영상)

  • 김윤정;서정진;임남열;정태웅;김윤현;박진균;정광우;강형근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v.6 no.2
    • /
    • pp.166-172
    • /
    • 2002
  • Purpose :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diffusion-weighted imaging(DWI) and quantitative apparent diffusion coefficient (ADC) maps in the patients with spinal cord infarction. Materials and methods : We studied 6 patients presented symptoms with spinal cord infarction, retrospectively (3 men and 3 women). We obtained multi-shot echo planar-based, DWI using 1.5T MR scanner at 5.4 mean days after the onset of ischemic symptoms. In six patients, signal intensity was acquired at conventional b value $1000s/\textrm{mm}^2$). The ADC value for the normal spinal cord and for infarcted lesions was measured from the trace ADC maps by using regions of interest positioned over the spinal cord. We analyzed signal intensity of lesion on MRI and DWI, and compared with ADC values in infarcted lesions and normal site. Results : T1-weighted MR image showed isosignal intensity in four of six patients and low signal intensity in two of six. T2-weighted MR image demonstrated high signal intensity in all of six. All DWI were considered to be diagnostic. All of six depicted a bright signal intensity on DWI. ADC values of infarcted lesion were measured lower than that of normal spinal cord on ADC map. The differences in ADC values between infarcted and normal spinal cord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Conclusion : It is possible to obtain DWI and ADC map of the spinal cord and DWI may be useful in the early diagnosis and localization of lesion site in patients with spinal cord infarction.

  • PDF

Application of FT - PGSE for Micelle Formation of Surfactant Solution (계면활성제 용액의 미셀형성에 있어 FT - PGSE의 응용)

  • Nam, K.D.;Choi, S.O.
    •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 /
    • v.16 no.1
    • /
    • pp.1-14
    • /
    • 1999
  • 계면활성제는 수용액에서 미셀을 형성함에 있어서 자기확산이 분자 운동과 상변화에 대하여 자세한 정보를 제공하고 공업적으로 응용할 수 있는 기술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계면활성제가 미셀을 형성함에 있어 자기확산 정도는 화학구조의 변화성과 상호 결합 및 회합현상에 매우 민감한 것은 사실이다. 특히 계면활성제 용액의 넓은 범위의 분자 시스템과 콜로이드 상태의 변화성은 다향한 물리, 화학적 성질에 기여됨이 많다. 더욱이 미셀 형성에서 자기확산 계수는 분자 치환에 직간접적으로 상호관계가 있어 NMR 분광학에서 스핀 이완속도의 해석과 분자의 재배열, 스핀 이완에 대한 모델선정 등에 많은 관심을 갖는다. 그중 미셀형성에 있어서 자기확산에 대한 측정 방법중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 Fourier Transform Pulsed Gradient Spin Echo(FT-PGSE) 측정법은 계면활성제의 미셀형성에 대한 상변화성 및 물리, 화학적 성질을 다루는데 새로운 도구로 제공되고 있다. 이는 이 계통의 기술적 측정방법에 있어서 적절한 개선과 새로운 응용분야를 확장하는데 있어서 많은 가능성을 갖고있다. 그리하여 이들에 대한 역사적 배경과 기초적인 이론을 가지고 미셀 형성에 있어 자기확산에 대한 개념을 말하고 그에 대한 응용성을 계통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Analysis of Magnetic Resonance Signals from Diffusion Weighted Imaging using Compressed Sensitivity Encoding Technique (압축감도 부호화를 사용한 확산강조영상에서의 자기공명신호 분석)

  • Jang, ji-sung;Choi, kwan-woo;Jeong, mi-ae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231-232
    • /
    • 2019
  • 최근 압축감도 부호화라는 새로운 기술의 개발로 인하여 기존보다 더 빠른 검사시간에 자기공명영상 검사가 가능하게 되었다. 감도 부호화를 이용한 터보 스핀 에코 확산강조 자기공명영상과 비교하였을 때, 압축감도 부호화를 사용한 확산강조영상에서 영상평가와 자기공명 신호 분석을 통해 적절한 영상품질을 유지하면서, 검사시간을 줄 일수 있어 확산강조영상에서에 유용하게 사용되리라 사료된다.

  • PDF

A Modified Diffusion Model Considering Autocorrelated Disturbances: Applications on CT Scanners and FPD TVs (자기상관 오차항을 고려한 수정된 확산모형: CT-스캐너와 FPD TV에의 응용)

  • Cha, Kyoung Cheon;Kim, Sang-Hoon
    • Asia Marketing Journal
    • /
    • v.11 no.1
    • /
    • pp.29-38
    • /
    • 2009
  • Estimating the Bass diffusion model often creates a time-interval bias, which leads the OLS approach to overestimate sales at early stages and underestimate sales after the peak. Further, a specification error from omitted variables might raise serial correlations among residuals when marketing actions are not incorporated into the diffusion model. Autocorrelated disturbances may yield unbiased but inefficient estimation, and therefore invalid inference results. This phenomenon warrants a modified approach to estimating the Bass diffusion model. In this paper, the authors propose a modified Bass diffusion model handling autocorrelated disturbances. To validate the new approach, authors applied the method on two different data-sets: CT Scanners in the U.S, and FPD TV sales in Korea. The results showed improved model fit and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model.

  • PDF

The Principles of Diffusion MR

  • 장용민
    • Proceedings of the KSMRM Conference
    • /
    • 2003.10a
    • /
    • pp.49-53
    • /
    • 2003
  • 확산텐서영상(Diffusion Tensor Imaging)의 개념은 1980년대 중반 확산강조영상(Diffusion Weighted Imaging)의 개념이 도입되면서 거의 동시에 도입되었지만 MR 장비의 기계적 한계등으로 인해 최근에야 임상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확산텐서영상(DTI)과 확산강조영상(DWI)의 방법론적인 차이점은 단순히 확산강조영상의 경우 세 개의 다른방향 (X-, Y-, Z-축)으로 확산측정용 경사자장을 가하는 반면 확산텐서영상의 경우 이보다 많은 방향 (최소한 6 방향)으로 확산측정용 경사자장을 가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차이로부터 금방 알 수 있는 점은 확산강조영상은 확산텐서영상의 일부라는 점이다. 즉, 확산텐서영상의 경우 더 많은 방향으로 확산측정용 경사자장을 가했으므로 더 많은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이중 세 개의 방향 (주로 X,Y,Z)에 대한 정보만을 이용하게 되면 확산강조영상이다. 이러한 이유로 확산텐서영상을 획득하면 확산강조영상에서 얻게 되는 방향별 확산강조영상, 등방성(isotropic) 확산강조영상, ADC (Apparent Diffusion Coefficient) map등도 기본적으로 얻게 되므로 추가로 확산강조영상을 획득할 필요가 없다. 본 강의에서는 이러한 확산(텐서)영상의 물리적 원리를 복잡한 수학적 설명보다는 개념 위주로 설명해 보고자 한다.

  • PDF

Acute Cerebral Infarction in a Rabbit Model: Perfusion and Diffusion MR Imaging (가토의 급성 뇌경색에서 관류 및 확산강조 자기공명영상)

  • Heo Suk-Hee;Yim Nam-Yeol;Jeong Gwang-Woo;Yoon Woong;Kim Yun-Hyeon;Jeong Young-Yeon;Chung Tae-Woong;Kim Jeong;Park Jin-Gyoon;Kang Heoung-Keun;Seo Jeong-Jin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v.7 no.2
    • /
    • pp.116-123
    • /
    • 2003
  • Purpose :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cerebral diffusion (DWI) and perfusion MR imaging (PWI) in rabbit models with hyperacute cerebral ischemic infarction. Materials and Methods : Experimental cerebral infarction were induced by direct injection of mixture of Histoacryl glue, lipiodol, and tungsten powder into the internal cerebral artery of 6 New-Zealand white rabbits, and they underwent conventional T1 and T2 weighted MR imaging, DWI, and PWI within 1 hour after the occlusion of internal cerebral artery. The PWI scan for each rabbit was obtained at the level of lateral ventricle and 1cm cranial to the basal ganglia. By postprocessing using special imaging software, perfusion images including cerebral blood volume (CBV), cerebral blood flow (CBF), and mean transit time (MTT) maps were obtained. The detection of infarcted lesion were evaluated on both perfusion maps and DWI. MTT difference time were measured in the perfusion defect lesion and symmetric contralateral normal cerebral hemisphere. Results : In all rabbits, there was no abnormal signal intensity on T2WI. But on DWI, abnormal high signal intensity, suggesting cerebral infarction, were detected in all rabbits. PWI (rCBV, CBF and MTT map) also showed perfusion defect in all rabbits. In four rabbits, the calculated square of perfusion defect in MTT map is larger than that of CBF map and in two rabbits, the calculated size of perfusion defect in MTT map and CBF map is same. Any rabbits do not show larger perfusion defect on CBF map than MTT map. In comparison between CBF map and DWI, 3 rabbits show larger square of lesion on CBF map than on DWI. The others shows same square of lesion on both technique. The size of lesion shown in 6 MTT map were larger than DWI. In three cases, the size of lesion shown in CBF map is equal to DWI. But these were smaller than MTT map. The calculated square of lesion in CBF map, equal to that of DWI and smaller than MTT map was three. And in one case, the calculated square of perfusion defect in MTT map was largest, and that of DWI was smallest. Conclusion : DWI and PWI may be useful in diagnosing hyperacute cerebral ischemic infarction and in e-valuating the cerebral hemodynamics in the rabbits.

  • PDF

확산 텐서 자기공명영상의 임상적 응용

  • 이승구
    • Proceedings of the KSMRM Conference
    • /
    • 2003.10a
    • /
    • pp.60-63
    • /
    • 2003
  • 확산 텐서 영상은 기존의 x, y, z 세 방향으로 가해지는 화산 경사자장 외에 추가 자장을 걸어준 뒤 계산을 통하여 얻어지는데 기존의 세 방향 경사 자장을 이용한 확산 강조 영상만으로는 스핀의 방향성을 표현하는데 한계가 있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도입된 개념이다 (1-3). 최근 그 임상적 응용이 증가되고 있으며 그 분야는 허혈성 뇌질환에서부터 퇴행성 질환 및 선천성 이상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으나 그 임상적 의미는 아직 불분명하며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단계이다.

  • PDF

MR Spectroscopy and Diffusion Weighted Imaging Findings of Primary Non-Hodgkin Lymphoma of the Breast: Two Case Reports (유방에 발생한 일차성 비호지킨림프종의 자기공명 분광법 및 확산강조 영상: 2예)

  • Nam, Sang Yu;Yoo, Eun Young;Choi, Hye-Young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v.18 no.2
    • /
    • pp.176-181
    • /
    • 2014
  • Primary non-Hodgkin lymphoma (NHL) of the breast is a very rare disease, and the mammographic and ultrasonographic findings of breast lymphoma are variable. There are several reports of magnetic resonance (MR) imaging findings in patients with breast lymphomas; however, few reports have described the findings observed on MR spectroscopy or the features of diffusion weighted (DW) imaging. The authors report the findings of classical MR imaging, MR spectroscopy and DW imaging of a 48-year-old woman and a 40-year-old woman with primary non-Hodgkin's lymphoma of breasts. Mammography and breast ultrasonography revealed a mass with circumscribed margin. The mass showed strong enhancement after contrast injection on MR imaging. DW imaging showed reduced diffusion and high-amplitude choline (Cho) peak at 3.22 ppm was detected by single voxel MR spectroscopy which was consistent with malignan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