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자극과 반응

Search Result 1,398,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Effect of Electrical Stimulation of the Spinal Cord on Pressor Response in the Cat (고양이 척수의 전기적 자극에 의한 심맥관 반응)

  • Kim, Kee-Soon;Randall, Walter C.;Peiss, Clarence N.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
    • v.4 no.2
    • /
    • pp.83-89
    • /
    • 1970
  • 전기적 자극법은 심맥관계기능의 신경성조절을 이해하기위해 널리 이용되는 방법이며, 일반적으로 중추신경에는 고빈도, 말초신경에서는 저빈도 자극에 의해 최대반응이 유발된다고 알려지고 있으며, 이는 흥분파의 민도가 말초로 내려오며 감소되기 때물이라 해석되고 있다. 또한편 신경계의 어떤 단위위에서건 자극민도가 어느 한계를 넘으면 유발된 반응은 유지되지를 못하고 감쇠소실되는 것으로 이는 주로 시납스간 흥분파전달능 부전에 기인될 것이라고 믿어지고있다. 그러나 고위주추계와 말초를 연결하고 있는 척수에 있어서는 아직 최적전기적 자극조건도 분명히 알려져 있지 않을 뿐 아니라 이 부위에서도 고빈도자극시에 반응이 어느 정도 감쇠하는지에 대한 보고가 없기에 이를 추구코자 저자는 고양이의 상부경수를 면수와 연결부에서 완전 절단하기 전후 여러가지 자극조건으로 자극하여 몇 가지 결론을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1) 연수와 연결부에서 완전절단을 하기 전에는 경수$(C_1{\sim}C_2)$의 백질, 회백질의 여러부위에서 심맥관반응이 유발되었으나 절단후에는 백질중의 만두부위(좌 $2{\sim}3\;mm$, 배면으로 부터 $0.3{\sim}1.0\;mm$$2.5{\sim}3.5\;mm$)에만 반응이 유발되었으며, 이 두 부위는 심맥관계기능을 지배조절하는 원심성 섬유의 통로라고 사료되었다. 2) 최대반응은 자극조건(빈도 자극파지속시간 강도) 100/sec-1 mesc-3V 및 20/sec-3 msec-3V에서. 최장지속반응은 20/sec-3msec에서 유발되었으므로, 후자가 척수부에 있어 심맥관계반응을 유발키 위한 최적자극조건으로 생각된다. 3) 자극면도 20/sec 이하에서 반응유지가 잘된다는 결과는 생리적 조건하에서 척수를 통과하는 흥분파의 빈도가 20/sec를 넘지 않을 것이란 것을 시사한다. 4) 반응지속정도는 최초의 최대반응의 반으로 감쇠되기까지 소요되는시간 즉 50% 반응감쇠시간으로 표시하였으며, 척수에서는 대뇌피질 및 간뇌에서보다 심맥관계반응의 50%반응감쇠시간이 현저히 긴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Effects of Congruence and SOA of distractors on target detection in Normal Children and ADHD Children (정상아와 ADHD 아동에서 방해자극의 일치도와 SOA가 목표자극 탐지에 미치는 영향)

  • Kim, Sung-Hee;Do, Kyu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Cognitive Science Conference
    • /
    • 2010.05a
    • /
    • pp.18-24
    • /
    • 2010
  • ADHD 아동의 주의장애 원인이 반응 결정에서의 억제의 미숙인지, 전반적인 주의 기능의 미숙인지 알아보기 정상아동과 ADHD 아동을 대상으로 flanker 과제를 실시하였다. 실험 1 에서는 방해자극과 목표자극의 일치 (3: 일치, 불일치, 중립), 방해자극과 목표자극의 SO (3: -100, 0, 100 ms), 집단 (2; 정상, ADHD)의 3 요인 실험을 실시하였다. 정상아와 ADHD 아동간에 반응시간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정상아동에 비해 ADHD 아동이 부정확 반응을 더 많이 하였다. 특히 방해자극이 100 ms 먼저 제시되기 시작하는 SOA -100 ms 조건에서 두 집단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이 결과가 반응결정 단계에서의 억제에서 비롯되는 것인지 알아보기 위해 실험 2 에서는 목표자극의 반응 set(좌, 우)에 포함되지 않는 방해자극(상, 하로향함)을 제시하는 무관련조건을 추가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1 과 같이 불일치조건에서는 정상아동에 비해 ADHD 아동이 오반응을 더 많이 산출하였다. 그러나 무관련조건에서는 정상아와 ADHD 아동 간에 오반응에서 차이가 없었다. 즉 두 집단 모두에서 중립조건보다 무관련 조건에서 반응시간은 길었으나, 오반응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즉 정상아와 ADHD 아동 모두 전반적인 주의에서는 차이가 없다는 것을 시사하였다. 두 실험의 결과는 정상아에 비해 ADHD 아동이 반응 결정 단계에서의 억제에서 차이가 나는 것을 시사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 PDF

Environmental Stimuli and Aesthetic Response (환경적 자극과 미적 반응)

  • Im, Seung-Bi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13 no.2
    • /
    • pp.1-12
    • /
    • 1985
  • 인간은 역사적으로 의식주와 같은 기본적 생존과는 무관한 '아름다움'을 왜 그토록 열렬히 추구해 왔는가\ulcorner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의 해답을 찾고자 실험미학자인 벌라인 (Berlyne)의 이론을 중심으로 미적 반응에 관한 고찰을 하였으며 다음의 사항을 다루고 있다. 1) 미적 반응을 '자극-반응'의 동적 과정으로서 이해하고 이러한 종적 과정의 구조적 측면을 고찰하였다. 2) 미적 반응의 심리생물학적 작용을 고찰하였다. 3) 미적 반응을 초래하는 자극의 특성을 고찰하였다. 4) 미적 반응의 하나인 시각적 선호에 관한 기존의 연구를 검토하였으며, 시각자원연구에의 응용 가능성이 높음을 고찰하였다.

  • PDF

Residual Neuromuscular Sensing Platform Development using Sensor of Nerve Stimulation Response Measurement during Anesthesia (신경자극반응 측정 센서를 이용한 마취 시 잔여근이완 감지 플랫폼 구현)

  • Shin, Hyo-Seob;Kim, Young-Kil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4 no.6
    • /
    • pp.1505-1510
    • /
    • 2010
  • Response to nerve stimulation platform for implementing measures to detect finger movement has been functioning as an important factor. The finger movement of the muscle response to nerve stimulation and sensing Actuator for the H/W development is needed. In addition, a low power embedded CPU based on the top was used. H/W configuration portion of the isolation power, constant current control, High impedance INA, amplifier parts, and the stimulus mode and the Micro-control the status of current, AD converter Low Data obtained through the processing system is implemented.

Effects of Stimulus-response Compatibility In Hangul Typewriting Behabior (한글 타자행동에서 자극-반응 합치도 효과)

  • Cho, Yang-Seok;Hwang, Tae-Wung;Lee, Mahn-You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4.11a
    • /
    • pp.268-281
    • /
    • 1994
  • 본 연구에서는 한글 타자 행동에서 자극-반응 합치도 효과가 나타나는 지를 알아보았다. 타자에 생소한 남녀 피험자 40명을 자극-반응 합치도가 높은 조건과 낮은 조건의 자판으로 20명씩 나누어 배치하였고 반응 시간을 측정하였다. 한글 타자 행동에서 자극-반응 합치도 효과는 세로 모음이 있는 철자에서 반응 개시 시간에 나타났다. 이는 한글 전사 타자 행동에서 글자 자극부호를 운동 부호로 전환하는 단계에서 자극-반응 합치도 효과가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 PDF

Development of an Auto Stimulus Breaker During the Electric Pulp Testing using Human Responses (전기 치수 검사 시 인체 반응을 이용한 자극 제어기의 개발)

  • 남기창;안선희;이승종;김덕원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C
    • /
    • v.41 no.6
    • /
    • pp.43-49
    • /
    • 2004
  • Electric pulp test is a method to examine the vitality of dental pulp using physical and chemical stimulation. During the pulp test, the current stimulates intradental nerve, and it makes patients painful. In this paper, we measured each activating response EMG in anterior belly of digastric muscle, voice, and finger movement during the pulp test by increasing stimulus intensity gradually. We also measured excessive stimulus time from the activating responses (EMG, voice, and finger movement) to the end of the stimulation. We measured and analyzed excessive stimulus time for each stimulus detecting method. As a result, we developed automatic stimulus breaker using the human responses to stimulus during electric pulp test. We reduced the excessive stimulus time by disconnecting the pulp tester stimulus output rapidly in 10 ms after activating human response.

The Effect of Stimulus-Response Compatibility on Hangul Transcription Typing Behavior (한글타자 행동에서 자극-반응 합치도 효과)

  • 조양석;황태웅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 /
    • v.5 no.2
    • /
    • pp.25-45
    • /
    • 1994
  • The presnt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stimulus-response compatibility (S-R compatibility) on Hangul transcription typing. In this experiment, two condition were manipulated, the first was a low S-R compatibility condition in which consonants were typed with left hand and vowels with right hand; the second was a high S-R compatibility condition in which hands for consonants and vowels were reversed. Subjects were requested to type the letter presented on the screen as accurately and immediately as possible. It was found that the compatibility interacted with the vowel shape. That is, in the high S-R compatibility condition, the response time was shorter when letters of vertically- shaped vowel were typed than when those of horizontally-shaped vowel were typed. In the low S-R compatibility codition, however, the response time was shorter for letters of horizontally-shaped vowel than for those of vertically-shaped vowel.

  • PDF

Neural Correlates and Electrodermal Activity Produced by Humor and Joy (유머와 기쁨에 따른 뇌 활성화와 말초의 피부전기 반응)

  • Suk Ji-A;Jang Eun-Hye;Lee Ok-Hyun;Lee Young-Chang;Sohn Jin-H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5.11a
    • /
    • pp.373-376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뇌의 반응과 말초신경계의 변화를 통하여 유머와 기쁨의 긍정적인 정서의 구분이 가능한가를 밝히고자 하였다. fMRI와 말초신경계 반응 측정 실험 각각을 수행하는 동안, 유머와 기쁨정서를 유발하는 동영상 자극(2분)이 제시되었고, 실험이 끝난 후 심리적인 평가도 함께 수행되었다. fURI 실험은 boxcar design으로 한 session 내에 두 block으로 구성되었다. 말초신경계 반응실험에서는 안정상태와 정서상태에서의 피부전기 반응을 측정하였다. fMRI 결과, 유머자극과 기쁨자극 제시 시 공통적으로 precentral Cortex, temporal Cortex, precuneus 가 활성화 되었고, 유머자극은 기쁨자극에 비하여 우측 middle temporal cortex, 우측 inferior frontal cortex, 좌측 middle frontal cortex 에서 큰 활성화를 보였다. 피부전기 반응(EDA) 분석 결과 두 정서 모두 안정상태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유머자극은 기쁨자극에 비하여 피부전도수준(SCL)과 피부전도반응의 수(NSCR)에서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utomatic measurement of voluntary reaction time after audio-visual stimulation and generation of synchronization and generation of synchronization signals for the analysis of evoked EEG (시청각자극후의 피험자의 자의적 반응시간의 자동계측과 유발뇌파분석을 위한 동기신호의 생성)

  • 김철승;엄광문;손진훈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3.05a
    • /
    • pp.36-40
    • /
    • 2003
  • 근래에 들어 질병으로 인하여 의사표현이 곤란한 환자에게 뇌파에 기초한 BCI(Brain Computer Interface)와 같은 새로운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BCI를 위한 기초 연구로서 특정 자극에 대해 유발되는 뇌파의 측정과 분석은 BCI를 위한 뇌파의 패턴과 인터페이스의 설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시청각 자극 인가후 피험자의 반응 시간을 측정하는 시스템을 EEG와 같은 생체 신호 계측 시스템과 연동이 가능한 형태로 개발하는 것이다. 제안된 시스템은 기능적으로 자극 신호 발생부, 반응시간 측정부, 유발뇌파 측정부, 동기신호발생부로 나뉘어진다. 자극신호 발생부는 실험에 이용되는 자극신호를 제작하는 부분으로서 Flash를 사용하여 구현하였다. 반응시간 측정부는 문제에 대한 답 선택 요청시각으로부터 피험자의 반응까지의 시간을 측정하는 부분으로서 마이크로 컴퓨터(80C31)를 이용하여 구현하였다. 우발뇌파 측정부는 시판용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그대로 사용하였다. 동기신호 발생부는 전체 시스템의 동기를 맞추기 위한 신호를 발생하는 부분으로서 문제제시, 답요구와 동기한 화면상의 명암 신호와 이를 검출하는 광센서로 구성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방법에서는 기존의 유발진위 측정 및 자극시스템에 특정 모듈(반응시간 측정 장치, 동기신호 발생장치)만을 추가하여 실험자의 의도에 맞는 시스템을 설계할 수 있어 유발 뇌파 및 반응시간 측정을 필요로 하는 연구를 가속화 할 것이 기대된다.

  • PDF

Emotional Evaluation about IAPS in Korean University Students (IAPS 자극에 대한 한국 대학생의 정서 평가)

  • Park, Tae-Jin;Park, Sun-Hee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 /
    • v.20 no.2
    • /
    • pp.183-195
    • /
    • 2009
  • We made Korean IAPS through measuring Korean university students' emotional response(arousal and emotional valence) about the whole 956 IAPS pictures made by Lang et al.(2005). In addition, we examined the emotional difference between American and Korean by comparing the response of original American IAPS and those of Korean IAPS. The results showed that both response of arousal and emotional valence in Korean were highly correlated with those in American respectively. In details, two groups showed differences as well as similarities. Korean showed higher arousal response than American, but in both groups women showed higher arousal response than men. When examining the emotional valence of positive, neutral, and negative stimuli categorized by American IAPS, Korean showed more modest emotional valence than American, and this group difference was the same in both men and women. In particular, Korean women showed more negative emotional valence than Korean men, but American women showed more extreme emotional valence than American me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re are some cultural and sex differences in the emotional response, and that researchers have to consider them when studying with IAPS stimuli.

  • PDF